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마케팅/세일즈 > 마케팅/브랜드
· ISBN : 9791162751534
· 쪽수 : 284쪽
· 출판일 : 2018-06-1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Ⅰ. 지역축제, 이대로 좋은가?
1. 지역축제를 바라보며
2. 사례를 통한 지역축제의 벤치마킹
3. 두 축제의 비교분석 방법
Ⅱ. 축제 들여다보기
1. 지역축제란?
1) 전통 축제와 오늘날 축제의 차이
2) 지역축제의 연구
2. 지역축제를 움직이는 힘 - 거버넌스
1) 거버넌스의 개념과 특성
2) 거버넌스의 연구
3) 로컬거버넌스의 개념 0
4) 지역 문화 및 지역 문화산업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 동향
5) 지역축제 거버넌스 및 평가에 관한 연구 동향과 과제
Ⅲ. 1등 축제가 되기까지
1. 우리나라 지역축제의 실태와 문제점
2. 사례지역축제의 지역성
1) 경상북도 안동(安東)의 사회문화적 특성
2) 경상북도 문경(聞慶)의 사회문화적 특성
3. 사례지역축제의 개요
1)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살펴보기
2) 문경전통찻사발축제 둘러보기
4. 사례지역축제의 발달과정
1)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의 발달과정
2) 문경전통찻사발축제의 발달과정
5. 사례지역축제의 파급효과
1) 설문조사대상자의 속성
2)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3) 문경전통찻사발축제
Ⅳ. 축제를 만드는 사람들
1.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거버넌스 구조의 특성
1) 거버넌스 주체의 성격과 역할
2) 거버넌스의 구조
3) 주체별 역할과 협력관계
2. 문경전통찻사발축제 거버넌스 구조의 특성
1) 거버넌스 주체의 성격과 역할
2) 거버넌스의 구조
3) 주체별 역할과 협력관계
Ⅴ. 축제, 무엇을 얻고 무엇을 잃었는가?
1. 거버넌스 평가 주체들의 속성
2.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1) 사회적 정당성에 대한 평가
2) 신뢰성에 대한 평가
3) 전문성에 대한 평가
4) 투명성에 대한 평가
3. 문경전통찻사발축제
1) 사회적 정당성에 대한 평가
2) 신뢰성에 대한 평가
3) 전문성에 대한 평가
4) 투명성에 대한 평가
Ⅵ. 거버넌스 관점에서 축제를 살펴보다
1. 사례지역축제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차별성
1) 지역축제 발달과정의 차별성
2) 지역축제의 파급효과와 의의의 차별성
2. 거버넌스 구조의 특성 비교
1) 거버넌스 구조의 비교
2) 축제 추진 단계별 주체 간 네트워크의 비교
3. 거버넌스의 구조에 대한 평가 비교
1) 거버넌스의 사회적 정당성에 대한 평가의 비교
2) 거버넌스의 신뢰성에 대한 평가의 비교
3) 거버넌스의 전문성에 대한 평가의 비교
4) 거버넌스 투명성에 대한 평가의 비교
4. 사례지역축제의 거버넌스 문제점과 개선방안의 비교
1) 거버넌스 문제점의 비교
2) 거버넌스 개선방안의 비교
Ⅶ. 1등 축제를 위하여
1. 지역축제가 나아가야 할 방향
참고 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최근 지역경쟁력 제고를 위한 정책적 수단으로 지역축제가 각광을 받으면서 각 지자체가 경쟁적으로 축제를 개최하는 과정에서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요인과 이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강조되면서, 이들 연구의 대안적 분석 도구로 각광을 받고 있는 것이 거버넌스 연구이다.
이 책의 여러 부분에서 강조한 바와 같이 유·무형의 모든 결과물은 객관적 분석방법을 통해 개선시킬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책은 지역축제의 거버넌스 분석의 객관적 기준을 제시하였다. 뿐만 아니라 지역축제의 성격과 거버넌스의 구조에 있어서도 차별성을 가지는 두 축제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거버넌스 구조의 특성과 지역성과의 관련성을 밝힘으로써 앞으로 지역축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모색함에 있어서 중요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 1등 축제의 지금 모습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과 문경전통찻사발축제의 발달과정에 있어서는,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은 기반 구축기(1997~1999년)와 성장기(2000~2005년)를 거쳐 현재의 정착기(2006년 이후)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개최 시기와 장소, 행사의 내용 나아가서 거버넌스 구조 등 축제 전반에 걸쳐 세계적 수준의 지역축제로 정착함으로써 문화체육관광부에서 평가하는 우리나라 지역축제의 최상위 수준에 해당하는 글로벌육성축제로 자리 잡았다.
문경전통찻사발축제는 기반 구축기(1999~2004년)를 거쳐 현재 성장기(2005년-이후)에 진입한 문화체육관광부가 선정한 대표축제로 발전하였다. 그 발달과정에서 개최 시기와 장소 그리고 축제의 내용 면에서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지역축제로 성장하였을 뿐만 아니라 국제적인 축제로서의 기틀도 마련되었다. 특히 우리나라 대부분의 지역축제와는 달리 전체 축제장의 유료입장화로 지역축제의 재정자립도를 제고하기 위한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였다.
- 본문 <지역축제가 나아가야 할 방향> 中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