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63461944
· 쪽수 : 204쪽
· 출판일 : 2024-10-15
책 소개
목차
추천사
프롤로그
교육과정의 핵심,
성취기준 핵심 Q&A 25
1. 성취기준의 도입
2. 성취기준의 의미
3. 성취기준의 3가지 유형
4. 성취기준의 3가지 성격
5.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성취기준은 어떻게 달라졌나요?
6. 성취기준이 너무 많아요!?
7. 성취기준 개수 감축이 체감되지 않는 이유는
8. 성취기준이 너무 애매모호해요
9. 성취기준과 핵심개념, 역량의 관계는?
10. 성취기준이 있는데 목표를 또 만들어야 하나요?
11. 성취기준은 차시 수업 기준인가요?
12. 성취기준을 활용하는 3가지 방법: 해석, 재구조화, 개발
13. 성취기준을 해석하는 4가지 방법
14. 성취기준의 재구조화란?
15. 성취기준을 개발할 때 고려할 점
16. 성취기준을 이용하는 것이 왜 좋은가요?
17. 성취기준이 반영된 평가 그리고 채점기준
18.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평가하고 있나요?
19. 성취기준 & 교과 평어: 어떻게 기술해야 하나요?
20. 「기초학력보장법」에서 말하는 ‘최소한의 성취기준’이란?
21. 모든 아이들이 성취기준에 도달할 수 있나요?
22. 성취기준은 출발점인가요, 도착점인가요?
23. 학교자율시간에 성취기준은 어떻게 활용되나요?
24. 성취기준과 IB 교육과정
25. 교육적 시사: 생각해 봅시다!
부록
1. 성취기준의 특징
2. 학교자율시간 운영 사례: 성취기준 재구조화형
3. 학교자율시간 운영 사례: 성취기준 개발형
표 & 그림 목록
참고문헌
에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