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기초과학/교양과학
· ISBN : 9791163635116
· 쪽수 : 236쪽
· 출판일 : 2021-06-25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1장 우리 주변의 가전제품 속 과학
• 전자레인지로 어떻게 음식을 데우는 걸까요?
• 냉장고는 어떻게 음식을 차갑게 만들까요?
• 우리는 어떻게 텔레비전으로 영상을 볼 수 있는 걸까요?
• LED는 어떤 원리로 빛을 내는 것일까요? 왜 에너지 효율이 좋다고 하는 걸까요?
• 체지방계로 어떻게 몸속의 지방을 측정하는 걸까요?
• 기온이 높은데도 선풍기 바람을 쐬면 왜 시원하게 느껴질까요?
•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은 어떻게 소음을 차단할 수 있는 걸까요?
• 복사기는 어떻게 원고와 똑같은 모양을 인쇄할 수 있을까요?
• 110V 콘센트는 왜 이런 모양일까요?
2장 집 안에서 찾아볼 수 있는 과학
• 세제를 사용하면 어떻게 기름때를 지울 수 있는 걸까요?
• 물을 많이 흡수해도 종이 기저귀가 새지 않는 비결은 무엇일까요?
• IH 인덕션은 어떻게 불 없이도 요리를 할 수 있을까요?
• 김이 서리지 않는 거울은 어떤 원리로 되어 있는 걸까요?
• 금속에 닿으면 왜 차갑다고 느낄까요?
• 지워지는 볼펜은 어떻게 글자를 지울 수 있는 걸까요?
• 순간접착제가 ‘순간적으로’ 접착하는 비결이 뭘까요?
• 음식은 왜 상할까요?
• 항균 가공 제품은 어떻게 세균과 싸울까요?
3장 집 밖에서 발견할 수 있는 과학
• 거대한 비행기가 어떻게 하늘을 날 수 있을까요?
• 무거운 쇳덩어리 배가 어떻게 물 위에 뜰 수 있을까요?
• 자기 부상 열차는 어떻게 그렇게 빠를 수 있을까요?
• 전기 자동차는 휘발유 자동차와 어떻게 다를까요?
• 차가 급정거하면 왜 몸이 앞으로 기울어질까요?
• 교통 카드는 어떻게 갖다만 해도 인식이 되는 것일까요?
• 새는 왜 전선에 앉아도 감전되지 않는 걸까요?
• 일회용 손난로는 어떤 원리로 따뜻해지는 것일까요?
• 불꽃축제에서 쓰이는 다양한 색깔의 불꽃은 어떻게 만드는 걸까요?
4장 하이테크 기술에 숨겨진 과학
• 스마트폰은 어떤 원리로 통화나 통신을 할 수 있는 걸까요?
• 터치스크린은 어떻게 손가락의 움직임에 반응하는 걸까요?
• 디지털카메라는 어떤 원리로 사진을 찍는 걸까요?
• 어떻게 GPS로 내가 있는 위치를 알 수 있을까요?
• USB 메모리에 데이터를 어떻게 보존하는 걸까요?
• QR 코드의 무늬에는 어떤 정보가 입력되어 있나요?
• 얼굴 인식 기능은 어떻게 본인의 얼굴을 구분하는 걸까요?
• 스텔스 전투기는 어떤 원리로 ‘보이지 않는’ 걸까요?
5장 우리 몸과 병의 신기한 과학
• 낮에는 활기차다가 왜 밤이 되면 졸릴까요?
• 차가운 걸 갑자기 먹으면 왜 머리가 지끈지끈 아플까요?
• 모기가 물 때는 왜 아프지 않은 걸까요?
• 추울 때나 무서울 때 소름이 돋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 혈액형은 왜 여러 종류가 있는 걸까요?
• 병은 왜 전염되는 걸까요? 세균과 바이러스는 어떻게 다른 거죠?
• 복용한 감기약은 어떻게 작용하나요?
• 암이란 무엇인가요? 어떤 병이죠?
• 엑스레이 촬영을 하면 어떻게 몸 안을 볼 수 있는 걸까요?
6장 자연과 우주에 관련된 과학
• 하늘은 왜 파란가요? 저녁에는 왜 빨갛게 되죠?
• 천둥번개는 왜 치는 걸까요?
• 왜 장마철에는 비가 계속 내리는 걸까요?
• 밀물과 썰물은 왜 발생하는 걸까요?
• 바다의 소금은 어떻게 만들어지는 걸까요?
• 일본은 왜 그렇게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것일까요?
• 달을 보면 왜 항상 토끼 모양이 보일까요?
• 어떻게 몇 억 광년이나 떨어진 별을 볼 수 있을까요?
리뷰
책속에서
물 분자는 보통 각기 다른 방향으로 흩어져 있지만, 마이크로파를 쏘면 플러스 부분과 마이너스 부분이 방향을 일치시키려고 움직입니다. 물 분자는 마이크로파 전기의 힘에 의해 1초에 24억 5천만 번의 속도로 방향을 바꾸면서 고속 진동을 하게 됩니다. 이때 물 분자끼리 부딪치거나 스쳐서 생기는 마찰로 열이 발생하는 것이지요.
-전자레인지로 어떻게 음식을 데우는 걸까요?
실내의 기온이 체온보다 낮으면, 체온이 이 공기의 막으로 서서히 이동합니다. 실내 온도가 30도라고 하면 인체 주위의 기온은 30도보다 조금 더 높아지지요. 다시 말해, 인체는 보통 바깥공기보다 따뜻한 공기에 둘러싸여 있는 것입니다. 여기에 선풍기 바람을 쐬면 몸을 둘러싼 공기의 막이 부서지고 따뜻한 공기가 날아갑니다.
-기온이 높은데도 선풍기 바람을 쐬면 왜 시원하게 느껴질까요?
공기는 온도에 따라 머금을 수 있는 수증기 양이 다릅니다. 차가운 공기보다 따뜻한 공기가 수증기를 더 많이 머금을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따뜻한 공기가 냉각되면, 수증기 상태로 존재할 수 없게 된 수분이 액체 상태인 물로 바뀌게 됩니다.
-김이 서리지 않는 거울은 어떤 원리로 되어 있는 걸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