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91164137428
· 쪽수 : 880쪽
· 출판일 : 2021-02-22
책 소개
목차
5판본 서문
이 책을 활용하는 법
온라인 교육 자료를 활용하는 법
지은이
본 개정판에 추가된 내용
서문┃중동과 국제관계
루이즈 포셋 Louise Fawcett
┃1부┃ 이론 및 역사적 개요
1장┃국제관계 이론과 중동
프레드 H. 로슨 Fred H. Lawson
2장┃중동, 근대국가 체제의 도래
유진 L. 로건 Eugene L. Rogan
3장┃중동의 냉전 시대
피터 슬러그레트 Peter Sluglett, 앤드루 페인 Andrew Payne
4장┃냉전 이후의 중동: 진전 없는 움직임
바가트 코라니 Bahgat Korany
┃2부┃ 국제관계와 국제정치경제
5장┃중동의 국제관계 안에서의 석유와 정치경제
자코모 루치아니 Giacomo Luciani
6장┃중동의 정치 개혁 퍼즐
오거스터스 리처드 노튼 Augustus Richard Norton
7장┃중동 국제관계 속의 정체성 정치
레이먼드 히너부시 Raymond Hinnebusch
8장┃움마에서부터 민족국가까지
피터 맨더빌 Peter Mandaville
9장┃중동의 지역주의와 동맹
루이즈 포셋 Louise Fawcett
10장┃중동과 안보: 2003년 이라크 전쟁 이후 폭력의 정치
마리나 칼쿨리 Marina Calculli
┃3부┃ 주요 사건과 행위자들
11장┃중동의 외교정책: 복합현실주의
레이먼드 히너부시 Raymond Hinnebusch, 아누시라반 에테샤미 Anoushiravan Ehteshami
12장┃아랍-이스라엘 분쟁
찰스 스미스 Charles Smith
13장┃오슬로협정의 흥망성쇠
아비 슐레임 Avi Shlaim
14장┃걸프 지역의 국제관계
마테오 레그렌치 Matteo Legrenz
15장┃아랍의 봄: 국제적인 관계 안에서의 ‘시민들’
라르비 사디키 Larbi Sadiki
16장┃중동과 미국
마이클 C. 허드슨 Michael C. Hudson
17장┃러시아, 중국, 그리고 중동
로랜드 댄로이더 Roland Dannreuther
18장┃중동과 유럽
로즈메리 홀리스 Rosemary Hollis
추천사
참고문헌
찾아보기
책속에서
본서는 의도적으로 다양한 학제의 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내용을 담았을 뿐 아니라, 각 장의 집필을 맡은 개별 학자들의 핵심 논조와 연구 접근법을 그대로 전달하고자 하였다. 본서의 목적은 하나의 접근법으로의 통합보다는 다양한 관점 및 접근법을 제시할 뿐 아니라, 중동 지역에서 벌어지는 사건 및 의문점들을 각 장의 다양한 접근법에 적용 시도하는 데 있다. 만약 중동에 대한 한 가지 원칙이 있다면 그것은 역내 역사에 기반한 선별적 분석 접근 방법이 가장 유효하다는 것이다.
제1차 세계대전의 전후 처리는 몇 개의 신생국가를 탄생시켰다. 유럽에 의해 획정된 국경 범주 내에서 이러한 신생국가들은 제국주의 세력의 엄격한 통제하에 국가 형성 과정을 거쳤다. 특히 신생국가들의 외교관계는 식민 세력에 의해 절연되었다. 정치 행위는 절대적으로 국내정치에 국한되었고, 국내정치는 독립 쟁취 문제에 매몰되었다. 독립을 위한 투쟁은 개별 국가에 기득권을 형성하였고, 이는 ‘대아랍 국가’를 열망한 대중의 요구와 상충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독립을 획득한 거의 모든 중동의 신생국가는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상황과 비교하였을 때 결코 더 원만하게 국제외교 체제에 편입되었다고 볼 수는 없었다. 아랍 국가 간 관계 역시 경쟁과 파벌 싸움이 극심해서 아랍연맹 같은 역내 기구의 힘은 미약하였고, 각 아랍 국가는 유엔 같은 국제사회 무대에서, 그리고 강대국과의 외교에서 무능력한 모습을 보였다.
어쩌면 냉전이 증폭시킨 공산주의자, 또는 좌파에 대한 병리학적 두려움과 증오에서 비롯된 가장 불행한 결과는 세속적 저항운동이 중동 전역에서 지하조직화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치’는 굉장히 위험한 것이거나 아부 행위로 전락하였다. 집권 세력에 대한 비판과 반대는 종종 반역 행위로 간주되어 법의 제재를 받았다(Makiya 1998; Sassoon 2012). 그 결과 이슬람 국가에서는 정부가 궁극적으로 모스크를 폐쇄하지 못하기 때문에 좌파 세력들은 다양한 종교 조직으로 흘러 들어갔다. 이는 냉전이 야기한 더 큰 비극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좌파 세력을 박해하고 그들의 영향력을 억제하려는 집착은 두 가지 결과를 낳았다. 우선 매력적이지 않고, 대표성이 없으며, 정치적 특색이 없는 독재 권력이 유지되는 결과를 야기하였다. 둘째로 종교 우파가 대두되어 이성적인 정강보다는 ‘이슬람이 답이다’라고 믿거나 그렇게 주장하는 통제될 수 없는 세력을 목도하게 되었다. 소련은 붕괴하였고 냉전은 종식되었다. 그러나 냉전이 남긴 상흔은 중동에서 쉽게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