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64251674
· 쪽수 : 592쪽
· 출판일 : 2024-10-10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혼돈 속에서 교육의 길을 찾다. 박종훈 경상남도교육감
교육생태계의 변화와 혁신을 꿈꾸며. 이혁규 청주교육대학교 교수
교육트렌드 2025와 대한민국 교육개혁 상상. 함영기 전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정책국장
교육을 교육답게, 학교를 학교답게. 김용서 교사노동조합연맹 위원장
대한민국 교육의 위기를 극복할 답을 찾는 길잡이. 전희영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위원장
미래 끝의 온실을 찾는 여정을 멈추지 않음에 감사하며. 이만주 새로운학교네트워크 이사장
과거는 현재의 거울, 교육은 사회의 미래. 천경호 실천교육교사모임 회장
길을 잃은 한국 교육의 든든한 길잡이. 한성준 좋은교사운동 공동대표
1부. 2024년 한국 교육을 되돌아보다
통계로 본 2024년 한국 교육_ 김성식
정책으로 본 2024년 한국 교육_ 이광호
2부. 오늘의 대한민국 교육 현장
복잡해진 교육생태계, 학교문화의 현주소_ 최지윤
교육공동체 회복의 실마리, 학부모_ 채송화
공존의 교실을 위한 다문화교육의 오늘과 내일_ 박에스더
교육계의 화두, 교사 교(육)권과 학생 인권 논란_ 이장원
3부. 2025년 한국 교육의 변화와 전망
2025년 유보통합은 실현 가능한가?_ 박창현
2025년 늘봄학교 진단_ 정성식
AI 디지털교과서란 선택, 교실을 혁명시킬 것인가?_ 김차명
2025년 고교학점제 전면 도입, 무엇이 달라지는가?_ 이상수
의대 입학정원 확대와 무전공 입학이 가져올 2025학년도 입시 변화_ 장승진
위기의 지방교육재정교부금, 사회적 조정이 필요한 때_ 이혜진
교육자치제도와 교육감 선거는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_ 김성천
21대 국회 성찰과 22대 국회 교육 관련 과제_ 강민정
4부. 논쟁과 담론
특구 전성시대, 교육은 어떻게 될까?_ 김용
대학의 위기, 대학 체제는 어떻게 바뀌고 있는가?_ 홍창남
국가교육위원회, 2년의 평가와 제언_ 류방란
글로벌 환경 속 독일 교육: 도전과 혁신 방향_ 송경오
인구소멸 1호 국가, 저출산 정책과 교육의 미래_ 이쌍철
[특별 아카이브]
5·31 교육 개혁 30년, 한국 교육을 어떻게 바꾸었는가?_ 김성근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특정한 분야의 트렌드를 읽어내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니다. 모든 사람의 눈에 보이는 명료한 변화가 있는가 하면, 적지 않은 변화들이 현실에 언뜻언뜻 흔적을 남기며 이면에 숨어서 작동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트렌드를 포착하는 것은 고도의 전문성이 필요한 작업이다. 시간이 축적되어야 전문적 식견은 성장한다. 2025년 교육트렌드의 구성을 보면서 트렌드를 포착하고 서술하는 집필진의 촉수와 감식안도 계속 성장한다는 느낌이 들었다. 그리고 이런 작업이 매년 계속된다면 이 시리즈는 우리 교육 현실을 진단하고 담론을 정리하고 미래를 전망하는 훌륭한 보물창고가 되리라 확신한다.
이렇듯 교육이 어려운 때에 현장 교사를 포함한 교육전문가 집단이 참여한 『대한민국 교육트렌드 시리즈』는 해를 거듭하면서 더 좋은 내용과 실천적인 대안을 다루고 있다. 벌써 4년째 접어드는 이 작업은 그동안 교육 문제를 정책 대상의 입장에서 진단하고, 모두를 위한 대안을 모색하는 데 집중해 왔다. 새롭게 선보이는 『대한민국 교육트렌드 2025』에서는 서두에서 통계와 정책 분석으로 한국 교육을 개괄하고, 교사의 교육권과 학생인권, 학교문화, 학부모 문화와 다문화교육 등 문화적 측면에 초점을 두어 문제를 진단하고 대안을 제시한다.
교육트렌드의 진단은 과학적이고 논리적이다. 비판은 넘치고 신랄하다, 각자의 이해와 입장에 따른 대안도 제시했다. 그럼 이제는? 무엇을 할 것인가. 미래는 불확실하지 않다. 미래는 불확실하다며 쏟아내는 담론으로 방향성을 헷갈리게 하는 사람들의 이야기에 현혹되지 않기 위해서는 이 책을 꼭 읽어야 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