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소통과 무격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민속/한국전통문화
· ISBN : 9791164401895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22-06-24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민속/한국전통문화
· ISBN : 9791164401895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22-06-24
책 소개
‘무격(巫覡)’은 신과 인간의 중재자이다. 무격은 신과의 소통에 기반하고 있으므로 무의 역할을 찾기 위해서는 소통이 관건이 된다. 무격의 역할은 ‘소통을 통한 치유’라고 할 수 있다. 바로 이러한 점에서 인간의 정신과 육체의 치유는 물론이고 지구적 치유를 ‘소통’에서 찾을 수 있다.
목차
I. 序論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동향
3. 연구의 방법과 범위
Ⅱ. 巫覡의 기원과 전개
1. 무격의 기원론과 고유성
2. 무격의 종류
1) 신내림에 의한 분류
2) 전문성에 의한 분류
3. 무격의 전개
1) 고대사회 무격의 원형
2) 고려시대 占卜을 통한 국가정책 반영
3) 조선시대 淫祀 비판과 무격의 배제
Ⅲ. 巫覡信仰의 양상과 儒佛道 三敎의 교류
1. 무격신앙의 양상
1) 무격의 기복적 양상
2) 무격의 치병적 양상
2. 무격과 儒·佛·道 三敎의 관계
1) 유교의 무격 억압과 공존
2) 불교와 무격의 습합
3) 도교와 무격의 습합
Ⅳ. 巫覡의 사회적 기능
1. 司祭와 神靈의 뜻 전달 기능
1) 사제적 기능
2) 神靈의 뜻 전달과 神堂 관리의 기능
2. 豫言과 기우제 주재의 기능
1) 예언과 점복의 기능
2) 농경문화와 기우제의 주재 기능
3. 醫療와 놀이의 기능
1) 주술적 의료의 기능
2) 가무와 놀이의 기능
Ⅴ. 巫覡信仰의 특징과 과제
1. 무격신앙의 특징
1) 무격신앙의 의례적 특징
2) 무격신앙의 미학적 특징
3) 무격신앙의 종교적 특징
2. 무격신앙의 과제
1) 무격 불신 역사의 극복
2) 기복신앙 극복
3) 저주와 주술적 이미지 극복
4) 무격 대중화의 과제
Ⅵ. 結論
參考文獻
1.원전
2. 단행본
3. 논문류
1)학위논문
2)연구논문
4.기타
부록
저자소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