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64404698
· 쪽수 : 348쪽
· 출판일 : 2023-10-29
책 소개
목차
감사의 글
머리말
제1장 인식론
1 | 독일 계몽주의가 19세기 미국 신학에 미친 영향
1. 계몽주의가 시작되다
2. 독일 계몽주의가 기독교 교리를 도덕적으로 재해석하다
3. 칸트와 슐라이어마허가 계몽주의적 구원론을 강화하다
4. 독일 계몽주의가 미국 신학에 영향을 미치다
2 | 스코틀랜드 상식철학이 미국 대학에 미친 영향
1. 상식철학이 계몽주의에 대한 저항으로 시작되다
2. 상식철학이 미국 대학에 전해지다
3. 상식철학과 프린스턴 신학 사이의 유사성이 제기되다
4. 상식철학과 프린스턴 신학 사이의 차이점이 제기되다
3 | 워필드와 칼뱅의 인식론 비교
1. 워필드 인식론의 상식철학적 요소가 비판을 받다
2. 워필드와 칼뱅이 내적인 자연계시에서 하나님을 인식하다
3. 워필드와 칼뱅이 외적인 자연계시에서 하나님을 확증하다
4. 워필드와 칼뱅이 죄가 인간 지성에 미친 영향을 강조하다
5. 워필드와 칼뱅이 객관적 특별계시를 강조하다
6. 워필드와 칼뱅이 주관적 특별계시를 강조하다
제2장 성경론
1 | 워필드 성경론의 중요성
1. 워필드 성경론이 복음주의 성경론을 형성하다
2. 워필드의 성경론이 비판을 받다
3. 워필드가 개혁주의 성경론을 계승하다
4. 워필드의 성경론이 한국 초기 장로교에 영향을 미치다
2 | 성경 권위에 대한 철학적 도전
1. 칸트가 성경보다 의지를 강조하다
2. 슐라이어마허가 성경보다 감정과 자의식을 강조하다
3. 리츨이 성경의 초자연적 요소를 부정하다
3 | 신비주의에 대한 워필드의 변증
1. 내재성과 범신론의 도전이 확대되다
2. 내재성이 성경론에 영향을 미치다
3. 워필드가 특별계시의 실재성과 가능성에 주목하다
4 | 합리주의에 대한 워필드의 변증
1. 합리성과 합리주의를 구분하다
2. 리츨의 합리주의가 성경 권위와 영감을 약화시키다
3. 맥기퍼트가 리츨의 합리주의를 미국에 확산시키다
4. 워필드가 ‘교회의 합의’로 성경의 영감을 변증하다
5. 워필드가 ‘사도성’으로 성경의 권위를 변증하다
6. 워필드가 성경 영감과 권위를 역사적으로 고찰하다
5 | 과학시대에서의 워필드의 성경 해석
1. 성경과 과학교과서의 차이점을 논하다
2. 정밀성과 정확성을 구분하다
3. 올바른 해석과 장르 이해의 필요성을 제시하다
4. 하나님이 제이원인과 협력하심을 강조하다
6 | 워필드의 성경해석 사례
1. 인간의 태고성이 신학적으로 중요하지 않다
2. 성경 본문이 젊은지구창조론/진화론의 해석을 지지하지 않다
3. 성경의 족보는 연대기적 계산을 목적으로 기록되지 않았다
4. 인류의 단일성은 신학적으로 중요하다
5. 성경은 인류의 단일성과 구원론을 연결시킨다
7 | 워필드 성경론의 실천적 특성
1. ‘협력’ 개념을 통해 신적 권위와 인간의 책임을 동시에 강조하다
2. 통합적 인간론에 기초한 성경론을 제시하다
제3장 기독론
1 | 기독론에 대한 철학과 신학의 도전
1. 리츨의 개신교 자유주의가 확산되다
2. 케노시스주의가 그리스도의 신성을 부인하다
3. 사바티에가 도덕적 속죄론을 주장하다
4. 데니가 통치적 속죄론으로 빠지다
5. 바이스가 자연주의적 기독론을 전개하다
2 | 그리스도의 신성에 대한 워필드의 변증
1. 구약의 신적 메시아를 그리스도의 신성과 연관시키다
2. 신약에서 그리스도의 두 본성 교리를 발견하다
3. 교부들로부터 그리스도의 두 본성 교리를 찾다
4. 칼케돈 신조의 기독론을 표준으로 삼다
5. 칼뱅의 기독론을 계승하다
3 | 워필드의 개혁파적 속죄론 변증
1. 속죄론을 다섯 가지로 분류하다
2. 속죄의 성경적 개념을 제시하다
3. 보편속죄를 반박하고 제한속죄를 지지하다
제4장 개혁주의생명신학적 적용
1 | 새로운 신학 모델의 필요성
1. 포스트모더니즘이 권위보다 공동체의 실천을 강조하다
2. 린드벡의 ‘문화-언어적 신학’이 성경 권위를 약화시키다
3. 밴후저의 ‘정경-언어적 신학’이 실천적 가능성에서 비판을 받다
4.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정경-언어적’ 접근법이 대안으로 제시되다
2 |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성경 권위 담론
1. 워필드의 성경 권위 담론
2. 장종현의 성경 권위 담론
3 | 교회 실천 담론 I : 신학의 회복
1. 튜레틴이 신학의 성향과 성격에 대해 논하다
2. 바빙크가 신학의 본질적 기초원리에 대해 논하다
3. 워필드가 신학의 원천과 목적에 대해 논하다
4. 개혁주의생명신학이 ‘생명을 살리는 신학’에 대해 논하다
5. 신학은 단순한 학문이 아니다
4 | 교회 실천 담론 II : 신학 교육의 회복
1. 워필드의 신학에서 실천적 강조점을 찾다
2. 워필드 사후 프린스턴의 상황에서 교훈을 찾다
3. 개혁주의생명신학의 방향성을 워필드로부터 찾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