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16561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17-05-05
책 소개
목차
1부 헬레니즘 문화
1장 플라톤에서 중기 플라톤주의까지의 철학
2장 바울과 플라톤주의
3장 스토아주의와 신약성경
4장 기독교의 로고스
2부 신비종교
5장 히브리서: 시험 사례
6장 신비 종교의 개요
7장 특정 신비 종교
8장 신비 종교와 기독교 성례
9장 신비 종교와 기독교 핵심 신앙
10장 바울과 신비 종교
3부 기독교와 영지주의
11장 영지주의에 관한 질문의 중요성
12장 영지주의의 본질
13장 불트만의 영지주의적 주장
14장 헤르메스 문서와 바울
15장 기독교 이전 영지주의?
16장 결론
추가로 읽을 자료들
색인
책속에서
“초기 기독교는 본질적 신념과 실천을 헬레니즘 세계에서 빌려 왔는가?” 이 기본 질문을 검토할 때 나는 세 가지 부수적인 사안을 말해야만 할 것이다. 이 사안들은 1세기 그리스도인들에게 혼합주의적 신앙이 있었다고 주장하게 된 원인으로 제시된 세 가지를 다룬다. 이 책의 각 부에서 이 원인들을 하나씩 살펴볼 것이다. 1부는 헬레니즘 철학헬레니즘 철학이 신약성경에 끼쳤을 수 있는 영향들을 탐구할 것이다. 2부는 초기 기독교와 이교적 신비 종교 사이의 관계를 논의할 것이다. 3부는 초기 기독교와 영지주의 사이의 관계에 포함되는 복잡한 주제들을 살펴볼 것이다.
우리는 요한복음의 저자가 라는 용어를 헬레니즘 철학에서, 즉 유대인 플라톤주의자였던 필로의 작품에서 차용했다는 비난을 검토해보았다. 그 논지에 대한 구체적인 반박은 6장에서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요한의 로고스 교리의 원천이라는 두 가지 대안을 구약성경에서 찾아보았다. 그 원천은 또한 필로가 헬레니즘 철학과 유대교를 혼합하여 자신만의 사상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이러한 대안들이 있음은 요한의 로고스에 대해 헬레니즘적 원천을 찾는 일이 얼마나 불필요한지 보여준다.
이 책에서 다룬 질문은 이것이었다. 초기 기독교는 혼합주의 신앙이었는가? 초기 기독교는 핵심적인 신앙과 실천에 있어서 헬레니즘 철학이나 종교, 혹은 영지주의에서 차용한 것이 있는가? 증거는 이 질문에 대해 부정적으로 답할 것을 요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