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부동산/경매
· ISBN : 9791164840069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19-08-3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 4
1장 부동산, 제대로 알고 투자하자!
주택 시장의 본질 파헤치기 - 15
수요와 공급의 적시성 차이로 생기는 가격의 변동원리 - 20
위치의 독점성에 따른 희소성 원칙 - 25
물결효과(Ripple effect) : 갭 메우기, 키 맞추기, 순환매수 - 28
대체할 수 없는 편익(Convenience & benefit) 우위지역 - 31
시간과 목적이 만나는 학군의 힘 - 34
지역과 지역의 가격 차이를 파괴하는 교통망 - 38
부동산의 우량주 효과 - 42
수요자와 공급자의 동일성과 이질성 - 45
요점 정리 - 50
쉬어가기
부동산 시장을 이해하기 앞서 - 54
2장 상승과 하락에서 보여주는 통계의 의미
수요는 어디에서 오나? - 63
*적정 수요는 없다. 그렇지만 한계 수요는 있다! - 66
수요의 변화를 읽어내라 - 72
가장 중요한 것은 공급량과 한계 수요다 - 75
*상승과 하락의 변곡점은 이렇게 만들어진다 - 82
수요, 공급이 가격 움직임과 잘 맞는 도시, 잘 맞지 않는 도시 - 88
인구수와 가구수 어느 것이 더 중요한가? - 92
주택 거래량은 가격과 함께 어떻게 움직일까? - 96
부동산 심리지수는 가격의 선행지수인가? - 103
공급과잉의 시작, 미분양이 말하는 의미 - 109
전세가율이 말하는 시장의 환경 - 116
자가 보유율, 중요한 이유가 있다 - 121
현장 분위기의 바로미터, 매수우위지수 - 127
택지공급 실적과 인허가물량만 봐도 절반은 성공이다 - 131
3장. 시장의 해석 방법과 부동산 시장이 보여주는 의미
시장을 끌고 가는 힘의 주체는 누구인가? - 139
공급(입주물량)은 어디까지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가? - 143
첫 번째 가격 상승은 누가 만드나? - 147
가격의 변동성과 추세 - 151
상승추세와 하락추세 - 158
과거의 부동산 환경과 현재 공급되는 부동산 환경의 충돌 - 161
*상승과 하락, 그 변화의 시그널 - 166
4장. 부동산의 기본 상식을 뛰어넘자!
*입지보다 더 중요한 위치를 보면 고수다! - 195
도시의 모양, 구조와 기능이 중요한 이유가 있다 - 198
가격 상승과 가격 결정의 차이 - 201
눈에 보이지 않는 잠재 수요는 어떻게 움직이나? - 205
변수는 어떻게 해석할까? - 210
*상승의 원인도 바뀐다 - 216
시장을 이기는 정책 & 정책을 이기는 시장의 차이 - 220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의 상관관계는 있는가? - 223
5장. 앞으로 10년, 주택 시장의 중요한 트렌드 2가지
주택의 노후화에 따른 신축 효과 - 229
위치를 극복하는 브랜드 파워 - 232
6장. 공급으로 보는 도시의 사이클과 시장 예측 방법
시장의 전망은 어떻게 하나? - 237
공급으로 보는 시장의 사이클과 전망 - 240
1. 선행 시장 부산의 30년 공급량으로 보는 상승과 하락의 사이클과 시장 전망 - 240
2. 선두 시장 서울 수도권의 공급량으로 보는 상승과 하락의 사이클과 시장 전망 - 245
에필로그 - 252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수요와 공급으로 만든 변동성은 부동산 특성 중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이 책에서도 전반적으로 다룰 내용 또한 가격의 변동원리다. 앞서 이야기했듯 수요와 공급의 변화는 늘 시장에 존재한다. 그중 중요한 특성이 적절한 시기에 공급을 완성시키는 것이 공급의 적시성이다. 공급의 적시성을 가지지 못하는 주거 부동산의 특성으로 인해 수급 불일치가 생긴다. 이 수급 불일치로 생겨나는 시차 때문에 공급이 들어오기 전까지 가격이 상승하는 변동성이 생긴다.
가격의 상승과 하락에 영향을 주는 것들은 수없이 많다. 특히 부동산을 말할 때 대부분의 사람들이 빼놓지 않고 이야기하는 것이 첫째도, 둘째도, 셋째도 입지다. 결과로 보면 맞는 내용이지만, 입지가 가격 상승의 원인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 그래서 가격 상승이나 하락의 변동성에 대한 원인들을 찾고자 한다면 입지에 큰 의미를 둘 필요가 없다. 입지는 부동산의 중요한 한 부분이지, 가격 상승의 변동성을 만들어내는 근본은 아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