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트렌드/미래전망 > 트렌드/미래전망 일반
· ISBN : 9791164841103
· 쪽수 : 244쪽
· 출판일 : 2020-05-07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Part 1 동네북 된 태양광 사업
01 태양광 시장 현황 및 전망
02 태양광 발전 관련 언론 보도 빅데이터 분석
03 붕괴 직전의 태양광 생태계
Part 2 RPS 제도 및 REC 가격 동향
01 RPS 제도와 REC
02 재생에너지원별 REC 생산량
03 REC 가격 동향 및 특징
Part 3 향후 REC 가격 예측
01 이론적인 방법에 의한 REC 가격 예측
02 수요·공급 관점에서 REC 가격 예측
03 의무 공급량에 따른 REC 가격 예측
04 REC 가격 예측 종합
Part 4 RPS 제도 개선 방향
01 REC 가격 폭락으로 힘든 삶을 이어가는 A씨
02 REC 가격 폭락으로 불안에 떨고 있는 발전 사업자 수는?
03 REC 가격 폭락 원인
04 RPS 제도 개선 방안
저자소개
책속에서
2019년 말 기준으로, 우리나라에 설치된 사업용 태양광 발전의 총 설비 용량은 약 9,287MW1)다. RPS제도가 시작된 2012년 총 설비 용량이 244MW이었던 점을 감안한다면, 2019년까지 연간 약 540%의 초고속 성장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RPS 제도가 우리나라 태양광 발전 시장 확대에 기여했다는 점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부정적인 키워드가 포함된 기사는 전체 기사 37,654건 중 3,648건으로 약 9,69%를 차지했다. 이를 다시 연도별로 분류하면, 2018년이 898건으로 전체 기사의 14.84%를 차지하고, 다음으로 2019년 706건, 14.63%, 그리고 2017년 487건, 10.71%를 나타내어 최근 3년 동안 부정적인 기사의 비율이 높았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투자비 감소율 대비 SMP와 REC 가격 하락 폭이 크게 되면 투자에 따른 수익률이 감소하게 된다. 현재의 상황이 이러한 현상으로 REC 가격이 폭락하면서 태양광 사업 투자를 어렵게 만드는 원인이 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정부는 SMP, REC 가격이 투자비 감소율보다 크지 않게 유지하는 노력을 할 때 태양광 발전 사업에 대한 투자가 활성화될 것으로 판단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