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트렌드/미래전망 > 트렌드/미래전망 일반
· ISBN : 9791164846382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23-11-30
책 소개
목차
PART1 요동치는 세계경제…진검승부의 시간이 왔다
1.2024년 ‘진짜’ 경제실력 드러난다
2.경제력 격차 커진다…신흥국 경제위기 재연 가능성
3.정치를 이해해야 경제가 보인다
4.고금리 시대는 계속 이어진다
5.고환율 시대 투자전략 바꿔라
6.인플레이션·불황을 수출하는 미국
7.12년 실력 발휘 못 한 한국 경제 2024년도 복병 많다
8.중국 경제 회복…정치에 달려 있다
9.일본 ‘잃어버린 30년’ 탈출했지만 낙관은 일러
PART2 불황에도 내 자산 지켜줄 주식 포트폴리오는
1.혁신보다 주주환원에 올인하는 빅테크들
2.100세 시대엔 100조 바이오주 잡아라
3.2024년 한미 금융주는 부실 우려 벗고 날아오를까
4.새내기주 따라잡을까, 수혜주 살까
5.2024년에도 전쟁 계속되나, 방어주 된 방산주
6.2024년 핫한 성장주 되려면 이 지표를 보라
7.자동차 주식은 만년 저평가 신세 벗어날까
8.오너 지분 1% 변화에도 촉각을 곤두세워야 하는 이유
9.위험천만하지만 짜릿한 매력? 역공매도 기법은
10.워런 버핏도 애지중지하는 에너지 주식은
PART3 부동산 투자 안개 걷힌다. 바닥부터 점검하라
1.2023년은 상저하고…2024년은?
2.어느 때보다 선거 결과가 중요하다
3.내 집 마련하기 가장 좋은 기회…서울·수도권 유망 분양단지
4.내 집 마련, 청약에만 매달리지 마
5.2024년 입주 물량 변화와 전세 시장
6.전국 휩쓰는 전세 사기, 안 당하는 방법
7.GTX가 온다…뚫리는 광역교통망
8.수익형 부동산의 종말?
9.서울 대개조 20년, 부동산 투자지도
10.역대 최저 출생 학군지의 미래
PART4 제도권 편입 원년,코인 시장 ‘질’이 달라진다
1.코인 시장의 핵으로 부상한 ‘비트코인 현물 ETF’
2.디파이, NFT 이을 차세대 이더리움 주자는
3.전통 금융과 블록체인 연결, 주목받는 금융 코인들
4.코인은 오르는데 코인 거래소 실적은 왜 적자?
5.토큰증권, 코인만큼 투자 매력 있을까
6.웹3, 중국 지고 일본 뜨다
책속에서
금융위기 때부터 따져보면 15년간 돈을 푸는 시기가 이어졌던 것이다. 역사상 유례없을 정도로 장기간 돈이 풀렸다. 그러다 보니 경제가 감당할 수 없게 됐다. 풀린 돈은 가파른 물가상승(인플레이션)을 유발했다. 이제는 돈을 거둬들이지 않고는 못 배길 정도까지 됐다. 역시 미국부터 돈을 회수했다. 미국 기준금리는 2022년 3월부터 2023년 9월까지 5.25%포인트나 올랐다. 다른 나라도 미국을 따라갔다. 미국의 통화량 증가율은 코로나19가 기승을 부릴 때는 전년 동기 대비 25%를 넘었지만 이제는 –4%대를 기록하고 있다. 본격적인 썰물 시대가 온 것이다. 이처럼 돈을 회수하고 금리를 높이는 행위는 2024년까지 계속된다. 이 때문에 2024년에는 유동성에 가려졌던 ‘진짜’ 경제 실력이 드러나게 되는 것이다.
- 요동치는 세계경제, 진검승부의 시간이 왔다 중에서
빅테크들은 고금리가 지속되는 상황에서도 인공지능(AI), 자율주행, 가상세계 등 다양한 신사업을 펼쳐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다만 이들은 각자 전략이 달라 투자자들 역시 다른 철학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꾸준한 현금배당과 위기 시 주가가 덜 빠지는 것을 추구하는 안정 성향의 투자자라면 애플 등 ‘주주환원왕’ 비중을 늘리면 된다. 삼성전자는 배당수익률이 애플보다 높아 배당주처럼 보이지만 자사주 매입이 없으므로 주주환원율이 상대적으로 낮다. 많은 설비 투자를 통해 한꺼번에 큰 이익을 노리므로 고위험 고수익 투자자에게 더 적합한 주식이다. 이런 해석은 두 가지 재무 투자지표를 통해 가능하다. 하나는 주주환원율이고 나머지는 유형자산비율이다.
- 불황에도 내 자산 지켜줄 주식 포트폴리오는 중에서
집값은 누구도 예상치 못한 변수가 좌우하는 경우가 많아 추이를 정확하게 예상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꼭 확인해야 하는 지표들은 존재한다. 이 같은 측면에서 수많은 부동산 관련 지표 중 어떤게 허수이고, 어떤 게 진짜 확인해야 하는 지표인지 구분하는 것은 꼭 필요하다.
부동산 학계에선 일반적으로 △가격지수 △거래량 △주택 구매력 △미분양 △전세가율 등 5가지 지표를 가장 중요하게 여긴다. 이 5가지 지표가 어떤 상태인지 점검하면 내년 부동산 시장을 전망하는 데 상당한 도움을 준다.
- 부동산 투자 안개 걷힌다. 바닥부터 점검하라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