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인물전설 연구

인물전설 연구

황인덕 (지은이)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1,000원
19,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인물전설 연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인물전설 연구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고전문학론
· ISBN : 9791165030469
· 쪽수 : 440쪽
· 출판일 : 2020-07-15

책 소개

한국의 역사에서 잘 알려져 있거나, 의미 있는 행적을 남긴 인물들에 대한 구전 전설을 통하여 개별 인물들이 남긴 보편적인 인물상을 확인하는 일면, 종전에 드러나지 않았던 특징에 대하여서도 새롭게 밝히고 있다.

목차

■ 구전담으로 본 ‘상덕(尚徳)’이야기
1. 머리말 ····························13
2. 기록담으로서의 ‘상덕’이야기 ·················15
3. 구전담으로 본 ‘상덕’이야기 ··················20
4. ‘상덕’이야기의 구전담으로서의 성격과 의미 ·········25
5. 정리와 전망 ··························32
■ 전설로 본 원효와 의상
1. 관심의 방향 ··························35
2. 두 사람의 생애상의 특징과 전설화의 방향 ··········38
3. 삼국유사에서의 설화적 차이점 ···············46
4. 구전전설로 본 두 인물의 모습 ················52
5. 원효·의상 전설의 의의 – 결 ·················64
■ 甄萱전설의 한 고찰 ―구비창작담적 성격에 주목하여
1. 머리말 ····························69
2. ‘역사인물담’ 전승의 자율성과 개방성 ·············71
3. 진훤전설의 전승 유형과 완결 지향형 ·············74
4. 완결 지향형의 서사적 성격과 구비창작성 ···········7
5. 지역성의 반영 양상과 구비창작담의 서사적 성격 ·······83
6. 이야기꾼의 개성적 측면과 구비창작 작품과의 관련성 ·····86
7. 맺음 ·····························8
■ 練武邑 지역의 甄萱전설 연구
1. 머리말 ····························91
2. 역사배경과 중요 사실의 전설적 전환 ·············93
3. 신검전설에서 진훤전설로의 전환, 그 1750년대까지의 모습 ··98
4. 그 후의 진훤전설의 전승 양상과 변화상 ···········103
5. 지역전설로서의 새로운 유형담의 형성 ············109
6. 전설 전승환경의 변화와 전설 내용의 변화 ··········13
7. 맺음말 ····························17
■ ‘황희 정승 납거미 유언’ 설화 고찰
1. 머리말 ····························121
2. 설화의 구분과 유형적 성격 ·················123
3. 설화 유형 형성의 배경 ····················129
4. 설화의 인물 형상 ······················135
5. 설화의 시대적 의의 ·····················140
6. 맺음말 ····························145
■ 절부(節婦) ‘허씨부인’ 전설의 전승양상과 설화사적 의의
1. 머리말 ····························165
2. 절행(節行)의 기록과 유교 이념의 반영 ·············167
3. 주요 전설 화소의 형성 기반 ·················172
4. 전설의 전승권과 전승 양상 ·················176
5. 현지 구전담의 설화적 표현 ·················182
6. 허씨부인 전설의 설화사적 의의 ···············186
7. 맺음말 ····························190
■ 매죽헌 성삼문 설화 고찰
1. 머리말 ····························197
2. 사육신 담론의 억압과 설화적 전승의 제약 ··········19
3. <육신록(六臣錄)>의 성립과 구비적 기반 ············204
4. 야담으로의 변화와 설화적 의미의 확장 ···········209
5. 지역전설로서의 전승 양상 ··················217
6. 맺음말 ····························22
■ 전설로 구현된 송구봉의 인물상과 그 의의
1. 머리말 ····························25
2. 전설 자료의 부류별 개황 ···················27
3. 일화류 전설에서 부각된 인물상의 두 모습과 과장화 양상 ··232
4. 허구적 전설에서 구현된 송구봉의 인물상 ··········240
5. 송구봉전설의 시대적 의의 ··················24
6. 맺음말 ····························248
■ 사계(沙溪) 김장생 전설의 유형과 역사적 의의
1. 머리말 ····························265
2. 사계의 위인과 예학 ·····················26
3. 전설 자료와 유형 정리 ····················271
4. 전설 유형의 예학자 전설적 성격 ···············279
5. 예학자형 전승 유형의 주요 내용 고찰 ············283
6. 사계전설의 역사적 의의 ···················297
7. 맺음말 ····························301
■ 신독재 김집 전설 고찰
1. 머리 ·····························313
2. 신독재의 예학자로서의 주요 사실 배경 ···········314
3. 관련 설화 자료의 유형과 내용 소개 ·············320
4. 설화 유형과 내용상의 전반적 특징 ··············326
5. 일화의 설화적 전환의 한 모습 ················31
6. 신독재 설화의 설화사적 의의 – 맺음 ·············35
■ ‘보문산을 부채로 가리고 다닌 우암’ 전설의 유형과 지역 배경
1. 머리말 ····························345
2. 자료의 소개와 유형의 판별 ·················347
3. 전설의 소지역(小地域)별 전승 유형과 성격 ···········350
4. 전설의 공간적 기반으로서의 우암과 대전과의 지연(地緣) 배경 ··353
5. ‘부채로 ~을 가리고 다님’ 화소의 형성 요인과 인물의 특성 ··356
6. 전설적 인물형상 배경으로서의 우암의 학풍 기반 ······360
7. 전설에 반영된 정치사와 그 파장의 지역사적 이면 ······364
8. 우암전설의 지속성과 의의 -맺음 ··············368
■ 속담설화 ‘평양 황고집’ 고찰
1. 머리 ·····························375
2. 역사 인물 ‘평양 황고집’의 이력 ···············37
3. <행장>과 <전>에서 강조된 주인공의 행적과 기록자의 평가 ·380
4. 후대 인물 일화의 변화 양상 ·················387
5. 맺음 ·····························401
■ 구전담을 통한 이철영의 생애 이해
1. 생애의 특수성과 구전자료에 대한 관심의 필요성 ······405
2. 선생의 생애사가 정리되어온 과정 ··············408
3. 구전증언으로 드러난 내용의 종합 ··············416
4. 구전증언으로 본 몇 가지 행적에 대한 사실성 여부 ······421
5. 구전증언의 유형성과 설화성 ·················425
6. 요약과 전망 –맺음 ······················429
■ 참고문헌 ·······························431
■ 찾아보기 ·······························436
■ 수록 논문 게재 일람 ··························44

저자소개

황인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남대학교의 학부와 대학원을 졸업하고, 1989년 이래 충남대학교에서 민속학·구비문학·설화문학 관련 과목을 강의해 왔으며, 「불전계 한국민담 연구」(박사논문:1988) 이후 주로 한국의 설화와 관련하여 다수의 자료집과 논저를 발표하였음. ◇구전설화집 · 『한국구비문학대계 4-6』 (공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4. 12. · 『구전설화집 1』, 학예인쇄사, 1998. 9. · 『대덕의 구전설화』, 2001. 6. · 『완주의 구전설화』, 완주문화원, 2001. 12. · 『진안지방의 구전설화집』, 진안문화원, 2003. 12. · 『이야기꾼 구연설화-이몽득』, 박이정, 2007. 9. · 『이야기꾼 구연설화-민옥순』, 제이앤씨, 2008. 10. · 『백제 관련 설화자료집』, 충청남도역사문화원. 2010. 12. · 『증편한국구비문학대계-금산군』(공편), 한국학중앙연구원, 2014. · 『증편한국구비문학대계-서천군』(공편), 한국학중앙연구원, 2015. · 『증편한국구비문학대계-태안군』(공편), 한국학중앙연구원, 2016. · 『보학담 이야기꾼 구연담』, 한국족보박물관, 2016. 3. ◇저서 · 『한국기록소화사론』, 태학사, 1999. 7. · 『한국 민속학 새로 읽기』(공저), 민속원, 2001. 3. · 『돈암서원』(공저),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9. · 『전승문화의 기반탐구』,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19.1. · 『고전문학논고』,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19. 12. · 『지역구전설화 연구』,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20. 6. · 『인물전설 연구』,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20. 7. · 『한국 이야기꾼 탐색』,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20. 9. · 『구전설화 비교연구』,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21. 2. ◇역서 · 『민담형태론』(Vladimir Propp 저), 대방출판사, 1987. 3. ◇학술 논문 120여 편
펼치기

책속에서

“이렇게 볼 때 인물이야기 혹은 인물전설은 설화 이해에서 늘 높은 관심 속에서 다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이해하게 된다. 또한 그런 만큼, 그에 대한 이해의 방향은 시대.지역.계층.주제 등 다양하게 분화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구비전설의 조사와 연구는 미약한 문헌자료를 보완한다는 의의도 있지만, 문헌 기록에 없는 것을 새롭게 찾아내는 데에 더 큰 의의가 있음은 더 말할 나위가 없다. 그러한 점을 유의하면서 전설을 다양한 각도에서 이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자세하고 세밀한 자료 조사가 뒤따라야만 한다는 사실 또한 다시 말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