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65393748
· 쪽수 : 406쪽
· 출판일 : 2020-09-18
책 소개
목차
Contents
Prologue 4
제1장 지식기반의 역량
1. 지식과 역량 14
2. 명시지와 암묵지 22
3. 지식기반 경제 32
4. 왜 지식역량인가? 39
제2장 한국인의 지식역량 평가
1. 고학력 국가 52
2. OECD의 학업성취도 평가 63
3. OECD의 성인 역량 조사 67
4. 평생학습 수준 86
5. 창의력과 실행력 93
6. 소통과 협업역량 107
7. 지식과 역량의 불균형 114
제3장 지식역량 개발의 구조적 여건
1. 삼각의 틀 128
2. 한 번의 승부 135
3. 평가와 보상의 문제 142
4. 계급적 위계와 연공서열 154
5. 불공정한 경쟁 169
6. 경제의 이중구조와 지식역량 개발 191
제4장 역량의 활용
1. 일자리 미스매치 204
2. 청년 실업과 조기 퇴직 214
3. 직업보다 직장 221
4. 역량 개발과 활용 연계의 문제 227
제5장 지식 국가의 새로운 기반
1. 지식역량의 균형적 개발 238
2. 보상체계의 혁신 250
3. 지식역량 기반의 공정한 경쟁 258
4. 인적자원 정책 개발과 정책 간 연계 273
제6장 생애역량의 개발과 창조
1. 생애역량 282
2. 직관과 분석 295
3. 나의 도메인 308
4. 시행착오와 체화 318
5. 융·복합과 창조 327
6. 창의력 개발 337
제7장 교육개혁
1. 교육개혁의 방향 352
2. 직업교육 강화 363
3. 입시와 학교의 개혁 377
4. 대학 개혁 386
Epilogue 397
인용 및 참고 자료 402
저자소개
책속에서
‘지식역량’이란 앎을 기반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역량이다. 개인에게는 삶의 기반이며, 국가 차원에서는 경쟁력의 원천이다. 학교에서 공부하고 배운다. 일을 통해서도 배우고 역량을 개발한다. 경험하면서 학습한다. 이처럼 삶에 필요한 지식을 충분히 학습하고 역량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개발한 역량을 마음껏 발휘할 수 있다면 더욱 좋을 것이다. 역량은 일을 하면서 새롭게 개발되고 향상되기도 한다. 그러나 기술과 지식이 빠르게 발전하는 시대에는 학교에서 배운 것만으로는 충분치 않다. 일과 경험을 통해 배울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학교와 직장에서 무엇을 배우고 어떻게 역량을 활용할 것인지가 중요하다. 각자의 지식역량과 삶을 결정하는 기반이 되기 때문이다.
특히 지식역량을 개발하고 활용하는 기반이 되는 관련 제도와 여건은 모두에게 중요하다. 그것이 한국인의 지식역량을 결정한다. 하지만 한번 만들어진 법령과 제도는 쉽게 바뀌지 않는다. 현실에 부합하지 않으며 비효율적일 수도 있다. 지식역량이 곧 국력인 나라에서 지식역량 개발과 활용에 적합지 않은 구조가 있다면 논의를 통해 바꿀 필요가 있다.
(중략)
이 책은 한국인의 지식역량에 대하여 현상, 원인, 발전 방향을 중심으로 이야기한다. 특히 인적자원 역량을 개발하고 활용하는 거시적 틀에 대한 논의에 초점을 두었다. 우선 한국인의 지식역량을 개괄적으로 진단하고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OECD 등이 발표한 자료가 그 기반이 되었다. 이어서 지식역량 개발과 활용의 구조적인 여건을 분석하고 논의하였다. 한국인의 학력 수준과 지식역량의 배경에 대한 논의이다. 지식역량 관점에서 본 한국인의 자화상을 그려본 것이다. 나아가 한국의 인적자원 개발 여건을 혁신하는 방향에 대해 생각하고 논하였다. 현재의 문제를 개선하고 보다 향상된 지식기반 국가가 되는 방안에 대한 것이다.
- Prolog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