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인의 지식역량 진단과 처방

한국인의 지식역량 진단과 처방

김승일 (지은이)
북랩
16,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120원 -10% 0원
840원
14,2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1,800원 -10% 590원 10,030원 >

책 이미지

한국인의 지식역량 진단과 처방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인의 지식역량 진단과 처방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65393748
· 쪽수 : 406쪽
· 출판일 : 2020-09-18

책 소개

경영전략과 산업정책의 전문가인 김승일 박사가 한국인의 지식역량에 관하여 진단하고 해법을 제안한다. 이 책은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고 해법을 찾는 여정의 시작이다. 실태를 인식하고 현상을 진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목차

Contents

Prologue 4

제1장 지식기반의 역량
1. 지식과 역량 14
2. 명시지와 암묵지 22
3. 지식기반 경제 32
4. 왜 지식역량인가? 39

제2장 한국인의 지식역량 평가

1. 고학력 국가 52
2. OECD의 학업성취도 평가 63
3. OECD의 성인 역량 조사 67
4. 평생학습 수준 86
5. 창의력과 실행력 93
6. 소통과 협업역량 107
7. 지식과 역량의 불균형 114

제3장 지식역량 개발의 구조적 여건
1. 삼각의 틀 128
2. 한 번의 승부 135
3. 평가와 보상의 문제 142
4. 계급적 위계와 연공서열 154
5. 불공정한 경쟁 169
6. 경제의 이중구조와 지식역량 개발 191

제4장 역량의 활용
1. 일자리 미스매치 204
2. 청년 실업과 조기 퇴직 214
3. 직업보다 직장 221
4. 역량 개발과 활용 연계의 문제 227

제5장 지식 국가의 새로운 기반
1. 지식역량의 균형적 개발 238
2. 보상체계의 혁신 250
3. 지식역량 기반의 공정한 경쟁 258
4. 인적자원 정책 개발과 정책 간 연계 273

제6장 생애역량의 개발과 창조
1. 생애역량 282
2. 직관과 분석 295
3. 나의 도메인 308
4. 시행착오와 체화 318
5. 융·복합과 창조 327
6. 창의력 개발 337

제7장 교육개혁
1. 교육개혁의 방향 352
2. 직업교육 강화 363
3. 입시와 학교의 개혁 377
4. 대학 개혁 386

Epilogue 397

인용 및 참고 자료 402

저자소개

김승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원도 영월에서 출생하였다. 건국대 법학과를 나와 서울대에서 경영학 공부를 하였다(경영학 박사). 경영 컨설턴트로서 15년, 중소기업 정책 연구자로서 15년간 일했다. 한국 생산성본부 전문위원, 광림(주) 사장,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중견기업연구원 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정책 연구 분야에서는 주로 대-중소기업 관계 및 관련 정책을 중심으로 연구하고 일했다. 중소벤처기업부, 산업통상자원부, 공정거래위원회, 기획재정부 등의 자문위원, 정부혁신컨설팅단 부단장 등으로 활동하였다. 공정거래질서 확립에 기여한 공로로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저서로 『경영혁신의 주체와 프로세스』, 『창업은 경영이다』, 『전략경영: 사상과 기법』, 『헌법 제119조: 공정경쟁이 경제를 살린다』 등이 있고 역서로 『플랫폼 생태계: 아키텍처, 거버넌스, 전략의 정렬』이 있다. 현재 국가경쟁력, 경제 사회적 격차, 인적자원 개발 관련 정책 등에 관심을 두고 연구하며 저술 활동 등을 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지식역량’이란 앎을 기반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역량이다. 개인에게는 삶의 기반이며, 국가 차원에서는 경쟁력의 원천이다. 학교에서 공부하고 배운다. 일을 통해서도 배우고 역량을 개발한다. 경험하면서 학습한다. 이처럼 삶에 필요한 지식을 충분히 학습하고 역량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개발한 역량을 마음껏 발휘할 수 있다면 더욱 좋을 것이다. 역량은 일을 하면서 새롭게 개발되고 향상되기도 한다. 그러나 기술과 지식이 빠르게 발전하는 시대에는 학교에서 배운 것만으로는 충분치 않다. 일과 경험을 통해 배울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학교와 직장에서 무엇을 배우고 어떻게 역량을 활용할 것인지가 중요하다. 각자의 지식역량과 삶을 결정하는 기반이 되기 때문이다.
특히 지식역량을 개발하고 활용하는 기반이 되는 관련 제도와 여건은 모두에게 중요하다. 그것이 한국인의 지식역량을 결정한다. 하지만 한번 만들어진 법령과 제도는 쉽게 바뀌지 않는다. 현실에 부합하지 않으며 비효율적일 수도 있다. 지식역량이 곧 국력인 나라에서 지식역량 개발과 활용에 적합지 않은 구조가 있다면 논의를 통해 바꿀 필요가 있다.

(중략)

이 책은 한국인의 지식역량에 대하여 현상, 원인, 발전 방향을 중심으로 이야기한다. 특히 인적자원 역량을 개발하고 활용하는 거시적 틀에 대한 논의에 초점을 두었다. 우선 한국인의 지식역량을 개괄적으로 진단하고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OECD 등이 발표한 자료가 그 기반이 되었다. 이어서 지식역량 개발과 활용의 구조적인 여건을 분석하고 논의하였다. 한국인의 학력 수준과 지식역량의 배경에 대한 논의이다. 지식역량 관점에서 본 한국인의 자화상을 그려본 것이다. 나아가 한국의 인적자원 개발 여건을 혁신하는 방향에 대해 생각하고 논하였다. 현재의 문제를 개선하고 보다 향상된 지식기반 국가가 되는 방안에 대한 것이다.

- Prologue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53937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