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석범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25년 일본 오사카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제주도 출신으로 태중에 그를 품고 밀항해 일본으로 건너갔다. 간사이대학교 경제학과, 교토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했다. 1945년 일본 패전 전에는 제주도에 머무르다가 해방 후 서울에서 지냈지만 상황이 여의치 않아 다시 오사카로 돌아갔다. 1957년 단편소설 「간수 박서방」(看守朴書房)과 「까마귀의 죽음」(鴉の死)을 발표하며 데뷔했고, 1970년에 쓴 「만덕유령기담」(万德幽霊奇譚)으로 작가로서 인정받기 시작했다. 초기작에서부터 그는 1948년 제주도에서 벌어진 ‘4·3 사건’을 소재로 다루었는데, 1976년부터 20여 년에 걸쳐 원고지 22,000장으로 완성한 『화산도』(火山島)가 그 대표작이다. 이 작품을 연재 중이었던 1983년에 오사라기 지로(大佛次郞) 상을 수상했고, 단행본 출간 후 1998년에는 마이니치(每日) 예술상을 수상했다. 또한 2015년 제주 4·3 평화상을 수상했는데, 그 시상식장에서 학살자 이승만 정권과 미국을 신랄하게 비판했다가 한국 보수주의자들의 공세를 받았고 한국 정부에 의해 입국 거부를 당했다. 한국어 완역판이 출간된 후에는 이호철통일로문학상(2017)도 받았다. 문학 활동과 정치적 입장이 나뉠 수 없다는 지론을 갖고 『만월』(滿月), 『땅속의 태양』(地底の太陽), 『죽은 자는 지상으로』(死者は地上に), 『과거로부터의 행진』(過去からの行進) 등 많은 소설을 집필했다. 그 외에 일본어로 글을 쓰는 재일 조선인 작가의 문제의식을 담은 『언어의 주박: 재일 조선인 문학과 일본어』(ことばの呪縛: 在日朝鮮人文学と日本語), 『민족·언어·문학』(民族·ことば·文学) 등의 평론과, 재일동포의 인권과 국적 문제, 조국 통일에 대한 염원을 담은 많은 글과 대담이 있다.
『바다 밑에서』는 『화산도』를 이어받아 마무리하는 작품으로, 살육의 조국에서 도망쳐 적국에 목숨을 의탁할 수밖에 없었던 사람들의 시간을 그렸다.
펼치기
오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2년 성신여자대학교 졸업
2012년 나고야대학대학원 석·박사과정수료 후 박사학위 취득
2013년 나고야대학대학원 국제언어문화연구과 학술연구원
현 재 아이치슈쿠토쿠대학 상근강사로 재직 중
-저서
『재일동포문학과 디아스포라』(JNC, 공저, 전3권)
-주요 논문
「金石範文學における「朝鮮的なもの」」, 『日本語敎育』 韓國日本語敎育學會, 第63輯, 2013年 3月
「在日朝鮮人文學における「におい」―金石範の作品を中心に―」, 『日本文化學報』 韓國日本文化學會, 第56輯, 2013年 2月
「在日朝鮮人文學における「チマ·チョゴリ」の表象」, 『表現硏究』 表現學會, 第90號, 2009年 10月 등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