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만덕유령기담

만덕유령기담

김석범 (지은이), 조수일, 고은경 (옮긴이), 김동현 (해설)
보고사
1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2,350원 -5% 2,500원
650원
14,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3,000원 -10% 650원 11,050원 >

책 이미지

만덕유령기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만덕유령기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한국소설 > 2000년대 이전 한국소설
· ISBN : 9791165873813
· 쪽수 : 218쪽
· 출판일 : 2022-12-12

목차

작가의 글

만덕 유령기담
1949년 무렵의 일지에서 - 「죽음의 산」의 한 구절에서
유방이 없는 여자

작품 해설
옮긴이의 글

저자소개

김석범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25년 일본 오사카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제주도 출신으로 태중에 그를 품고 밀항해 일본으로 건너갔다. 간사이대학교 경제학과, 교토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했다. 1945년 일본 패전 전에는 제주도에 머무르다가 해방 후 서울에서 지냈지만 상황이 여의치 않아 다시 오사카로 돌아갔다. 1957년 단편소설 「간수 박서방」(看守朴書房)과 「까마귀의 죽음」(鴉の死)을 발표하며 데뷔했고, 1970년에 쓴 「만덕유령기담」(万德幽霊奇譚)으로 작가로서 인정받기 시작했다. 초기작에서부터 그는 1948년 제주도에서 벌어진 ‘4·3 사건’을 소재로 다루었는데, 1976년부터 20여 년에 걸쳐 원고지 22,000장으로 완성한 『화산도』(火山島)가 그 대표작이다. 이 작품을 연재 중이었던 1983년에 오사라기 지로(大佛次郞) 상을 수상했고, 단행본 출간 후 1998년에는 마이니치(每日) 예술상을 수상했다. 또한 2015년 제주 4·3 평화상을 수상했는데, 그 시상식장에서 학살자 이승만 정권과 미국을 신랄하게 비판했다가 한국 보수주의자들의 공세를 받았고 한국 정부에 의해 입국 거부를 당했다. 한국어 완역판이 출간된 후에는 이호철통일로문학상(2017)도 받았다. 문학 활동과 정치적 입장이 나뉠 수 없다는 지론을 갖고 『만월』(滿月), 『땅속의 태양』(地底の太陽), 『죽은 자는 지상으로』(死者は地上に), 『과거로부터의 행진』(過去からの行進) 등 많은 소설을 집필했다. 그 외에 일본어로 글을 쓰는 재일 조선인 작가의 문제의식을 담은 『언어의 주박: 재일 조선인 문학과 일본어』(ことばの呪縛: 在日朝鮮人文学と日本語), 『민족·언어·문학』(民族·ことば·文学) 등의 평론과, 재일동포의 인권과 국적 문제, 조국 통일에 대한 염원을 담은 많은 글과 대담이 있다. 『바다 밑에서』는 『화산도』를 이어받아 마무리하는 작품으로, 살육의 조국에서 도망쳐 적국에 목숨을 의탁할 수밖에 없었던 사람들의 시간을 그렸다.
펼치기
조수일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82년생.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HK교수. 건국대학교 사범대학 일어교육과, 도쿄대학 총합문화연구과 언어정보과학전공에서 공부했다. 김석범문학을 비롯한 재일조선인문학을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으며, 저서로는 『金石範の文学-死者と生者の声を紡ぐ』(岩波書店, 2022), 역서로는 김석범 소설집 『만덕유령기담』(보고사, 2022, 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고은경 (옮긴이)    정보 더보기
제주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대학원에서 현대소설을 전공하였고, '김석범 4·3소설연구(2022)'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제주 4·3평화재단 조사연구실 연구원이자, 제주대학교 강사로 제주4·3사건추가진상조사 및 동아시아 문학 등을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김동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제주에서 나고 자랐다. 국민대학교에서 「로컬리티의 발견과 내부식민지로서의 ‘제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제주4·3문학과 오키나와문학을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제주, 우리 안의 식민지』, 『욕망의 섬 비통의 언어』, 『기억이 되지 못한 말들』, 『김시종, 재일의 중력과 지평의 사상』(공저), 『제주, 화산도를 말하다』(공저), 『김석범×김시종-4·3항쟁과 평화적 통일독립운동』(공저), 『냉전 아시아와 오키나와라는 물음』(공저), 『전후 오키나와문학과 동아시아-반폭력의 감수성과 소수자의 목소리』(공저), 『비판적 4·3 연구』(공저), 『언어전쟁』(공저) 등이 있다. 제주의 진보적 예술운동 단체인 제주민예총 이사장으로 있다. 제주4·3 뮤지컬 ‘사월-The Great April’의 대본을 쓰기도 했으며 제주4·3 예술운동과 제주 제2공항 반대 투쟁에도 손을 보태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5875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