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한국어/한문
· ISBN : 9791165878658
· 쪽수 : 1038쪽
· 출판일 : 2025-06-30
목차
머리말: 나의 한국 지명 연구 발자취
1부_삼한 시대의 지명
馬韓小國 優休牟涿國 표기와 조선 시대 富平都護府 注火串面 표기의 의미 유사성과 차별성에 대하여
2부_삼국․통일신라 시대의 지명
新羅 啄評 解讀
論山 皇華山城 出土 瓦銘文에 나타난 지명 표기 ‘葛那城, 笠乃, 立乃’ 등의 국어사적 의의
新羅 地名 表記 奈乙의 해독과 고대국어 ‘*을[水]’을 보존한 중세어 어휘
西畿停 관련 借字 表記의 역사와 현존 어형
3부_고려 시대의 지명
고려 시대 차자 표기 漕運浦口名 未音浦/鹵水浦 해독
중국식 한자 지명 표기의 음가적 표음성과 비상관적 표의성
4부_조선 시대의 지명
韓國 固有漢字의 發達
朝鮮 初期 洞里村名의 國語學的 硏究
黃胤錫의 1775년 全國 地理誌 編纂 凡例의 특징 분석
조선 시대 富平府의 삼국 시대 표기 계승 면명 표기에 대하여
조선 시대 부평부 洞里村名 후부 요소의 특징에 대하여
富川 지명의 체계적 신해독
정조 대왕 ‘부천 능행길’의 노정 복원
5부_개화기의 지명
『朝鮮地誌資料』 京畿道 廣州郡 수록 地名 表記의 분석적 연구
조선 시대 경기도 楊州牧 행정구역 명칭의 우리말 명칭 표기의 복원
일본 제국주의의 한국 행정구역 통폐합 과정과 그 결과
1917년 함경남도 영흥군 地誌調書 편철 문서에 나타난 面名과 洞里村名 표기에 대한 국어학적 연구
6부_지명의 어원
‘고개’의 어원과 한국 固有漢字 岾의 造字法에 대하여
이건식 교수의 ‘지명 연구’ 엿보기 [강재철]
이건식 교수와 만남, 그 이후 [신종원]
출처일람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