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지식 생산의 기반과 메커니즘

지식 생산의 기반과 메커니즘

([부록] 문부성 소할 목록 번역)

홍성준, 허재영, 최석원, 소영해, 이기원, 와타나베 히로시, 아오노 마사아키, 이건식, 김경남, 박나연 (지은이),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HK+ 사업단 (기획)
경진출판
37,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7,500원 -0% 0원
1,120원
36,3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37,500원 -10% 1870원 31,880원 >

책 이미지

지식 생산의 기반과 메커니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지식 생산의 기반과 메커니즘 ([부록] 문부성 소할 목록 번역)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인문학 일반
· ISBN : 9788959962501
· 쪽수 : 552쪽
· 출판일 : 2019-05-25

책 소개

지식인문학총서 지식기반 1권. 단국대학교 일본 연구소가 지향하는 지식 인문학 연구의 초석을 놓기 위한 작업으로 진행되었다. 2부와 부록으로 구성되었다.

목차

제1부

지식 생산과 전파.수용에 따른 지식 권력 연구 방법론 _ 허재영
1. 서론
2. 지식의 개념과 속성
3. 지식의 생성과 영향력
4. 결론: 지식 권력의 연구 과제와 태도

지식 생산의 연구 대상과 범위 _ 홍성준
1. 지식 생산의 개념
2. 지식 생산의 연구방법
3. 연구의 대상
4. 연구의 범위
5. 결론

지식의 탄생과 지식 생산 기반 _ 최석원
1. 들어가며
2. 지식을 구성하는 네 가지의 원천: 이성, 경험, 기억 그리고 상상력
3. 지식 생성의 메커니즘
4. 21세기 지식 생성과 그 유통 과정의 변화

제2부

동아시아 지식교류 탐구의 시작 _ 소영해(邵永海)
: 고대문헌 독법의 원칙과 방법
1. 독서는 문해에서 시작된다[讀書自識字始]
2. 문장 구조와 특성에 관한 분석
3. 각 문장의 화용적 특성에 대한 정확한 분석
4. 장지(章旨)의 이해 및 간파
5. 전체와 부분 관계의 처리
6. 소결

근세적 지(知) 형성의 한 유형으로서 ‘오라이모노’ _ 이기원
1. 머리말
2. 오라이모노 연구의 시점
3. 교훈형 오라이모노의 작가
4. 교훈형 오라이모노의 보급과 서민 교화
5. 교훈형 오라이모노의 知의 안목
6. 맺음말

Religion과 종교 _ 와타나베 히로시(渡邊 浩)
: 19세기 일본인의 곤혹과 대응
1. 일본의 ‘종교’ 현황
2. Religion에 대한 놀라움
3. Religion이란 무엇인가
4. ‘종교’의 필요
5. 그리스도교의 대체물로서의 천황 숭배
6. 천황제 국가의 붕괴와 현황

근대 일본의 종교 정책 _ 아오노 마사아키(?野 正明)
: 국가 신도와 ‘유사종교’
1. 들어가며
2. 일본 ‘내지’ 에서의 신종교와 관련된 법령과 결사
3. 조선에서의 결사와 관련된 법령
4. ‘내지’에서의 유사종교 개념의 두 계통
5. 조선에서 먼저 나타난 ‘유사종교’의 개념
6. 유사종교는 공인된 것인가
7. ‘내지’의 두 갈래, 그 후
8. 나오며

지식 교류의 관점에서 본 현전 유일의 어휘 질정록과 질정관 _ 이건식
: 사행 목적과 근거를 중심으로
1. 서언
2. 현전 유일의 어휘 질정록
3. 조선 시대 질정관 사행 목적과 근거
4. 결언

근대지와 견문 담론의 계몽성과 문체 변화 _ 김경남
: ≪서유견문≫과 ≪세계일람≫을 중심으로
1. 서론
2. ≪서유견문≫과 ≪세계일람≫의 계몽 담론
3. ≪서유견문≫과 ≪세계일람≫의 문체 비교
4. 결론

1827년 순조의 존호의례 진행과 그 의미 _ 박나연
: 지식 활용을 통해 본 명분론 강화 양상
1. 머리말
2. 행사의 진행
3. 행사의 특징
4. 명분 강화를 위한 지식의 활용
5. 맺음말

부록

[해제] 조사시찰단 보고서, 조준영 ≪문부성 소할 목록≫ _ 홍성준
[번역] 문부성 소할 목록 _ 김경남.허재영
[원문] 文部省所轄目錄474

저자소개

허재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전공 교수 국어 문법사를 전공하고, 국어 교육사 및 한국어 교육사, 근현대 한중일 지식 교류사 등을 중점적으로 연구해 왔다. ≪우리말 연구와 문법교육의 역사≫(2008, 보고사), ≪일제강점기 교과서 정책과 조선어과 교과서≫(2009, 경진출판), ≪통감시대 어문교육과 교과서 침탈의 역사≫(2010, 경진출판), ≪일제강점기 어문정책과 어문생활≫(2011, 경진출판), ≪한국 근대의 학문론과 어문교육≫(2013, 지식과교양) 등의 저서가 있으며, 한국학 중앙연구원 근대 총서 개발 책임자로 ≪한국 근현대 지식 유통 과정과 학문 형성・발전≫(2019, 경진출판) 외 7종의 총서 개발, 한국연구재단 인문한국플러스 지원 사업 단장으로 ≪지식 생산의 기반과 메커니즘≫(2019, 경진출판) 외 10종의 총서 개발을 진행하였다. 우리말 교과서와 독본 연구, 지식 교류 차원에서 다수의 자료를 발굴하고 주해하는 작업을 진행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주해 유몽천자≫(2018, 경진출판) 등의 주해 및 번역 작업을 진행하기도 하였다. 2022년 7월부터 2024년 6월까지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장을 역임하였고, 2023년 1월부터 2024년 12월까지 한국사회언어학회 회장을 맡았다. 국립국어원의 ‘중앙 행정기관의 전문용어 개선 지원 및 순화어 정비 연구’ 등 용역 사업을 맡아 진행하였으며, 한국의 언어정책과 사회언어학에 대한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기도 하였다.
펼치기
김경남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한국 고전소설에 나타난 전쟁 소재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여러 대학에서 고전문학과 글쓰기를 강의했으며, ‘근대 기행 담론과 기행문’, ‘근현대 학문 형성과 계몽운동’, ‘한국에 영향을 미친 중국의 근대 지식과 사상’ 등 다양한 연구프로젝트를 수행해왔다. 현재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학술연구교수 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빙교수로 재직 중이다. 최근에는 ‘조선시대 여성의 역할과 근대의 여자교육’, ‘계몽시대 여성 담론과 여성교육’ 문제에 주목하면서 여성교육의 통시적 고찰에 집중하고 있다. 이제 다시 ‘근현대 기행문학의 크로노토프적 재현과 상상’을 주제로 기행문의 시공간에 대한 연구를 이어갈 계획이다. 주요 저서로 『서사문학의 전쟁 소재와 그 의미』, 『시대의 창, 자의식과 재현의 모티프로서 근대 기행 담론과 기행문의 발전 과정』, 『한국의 여자교육서와 여성교육 담론 변천』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와타나베 히로시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6년 일본 요코하마橫浜 출생. 1969년 도쿄東京대학 법학부를 졸업한 뒤, 도쿄대학 법학부에서 조수와 조교수를, 1983년부터 2010년까지는 교수를 역임했다. 이후 호세이法政대학 법학부 교수로 2017년까지 교편을 잡았다. 현재 도쿄대학과 호세이대학의 명예교수이자 일본학사원 회원이다. 주요 저서로 《近世日本社會と宋學》(東京大學出版會, 1985, 增補新裝版 2010; 한국어판: 《주자학과 근세일본사회》, 예문서원, 2004), 《日本政治思想史 十七~十九世紀》(東京大學出版會, 2010; 한국어판: 《일본정치사상사 -17~19세기》, 고려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明治革命·性·文明 政治思想史の冒險》(東京大學出版會, 2021)이 있으며, 공저로 《トクヴィルとデモクラシ-の現在》(東京大學出版會, 2009)가 있다.
펼치기
이기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원대학교 철학과에서 강사로 재직하고 있다. 일본 교토대학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강원대 인문과학연구소 및 철학상담치료 인재양성 프로그램 사업팀에서 연구교수를 역임했다. 저서로 《마음: 철학으로 치료한다》(공저), 《철학상담 방법론》(공저), 《동서철학상담 10강》(공저), 《철학의 여러 문제와 철학실천》(공저), 옮긴 책으로는 《시련과 성숙: 자기변용의 철학》 등이 있다.
펼치기
이건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0년서울 영등포구 문래동 출생 1972년서울 영등포국민학교 졸업 1975년서울 강서중학교(세일중학교) 졸업 1978년서울 우신고등학교 졸업 1983년단국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 졸업 1996년단국대학교 문학박사 1997년-2011년 2월한국학중앙연구원 전문위원, 연구원 2011년 3월-현재단국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 2018년일본 동경대학교 방문 교수 2016년 3월-2018년 2월구결학회장 2021년 3월-2023년 2월한국지명학회장 2024년 7월-현재디지털인문지식유산학회장 1988년현대국어의 반복복합어 연구(석사학위 논문) 1996년고려시대 석독구결의 조사에 대한 연구(박사학위 논문) 2020년『이두사전』 책임 편집 간행 2021년『한국 고유한자의 구성법 연구』 출간 2025년『한국 지명의 체계적 연구』 출간(2025.6.30.)
펼치기
아오노 마사아키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8년생. 오사카외국어대학(大坂外國語大學) 외국어학부 조선어학과를 졸업했다. 쓰쿠바대학(筑波大學) 대학원 지역연구 연구과 석사과정과 동대학원 역사.인류학연구과 박사과정을 거쳐 국제일본문화연구센터(國際日本文化硏究センタ一)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국근대사 전공. 현재 모모야마학원대학(桃山學院大學) 국제교양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朝鮮農村の民族宗敎-植民地期の天道敎金剛大道を中心に>(社會評論社, 2001), 공저로 <종교와 식민지 근대-한국 종교의 내면화, 정치화는 어떻게 진행되었나>(책과함께, 2013) 등이 있다.
펼치기
박나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립안동대학교 글로컬대학 사업단 초빙교수다. 단국대학교에서 “純祖代 孝明世子 관련 王室儀禮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국학진흥원에서 인공지능 고문헌 자동 번역 프로그램 개발 사업에 참여했고(2022∼2024), 국립안동대학교 디지털인문센터에서 디지털 아카이빙 사업을 진행 중이다. 주요 저서로 『(지식 생산의 기반, 지형 변화, 사회화를 위한) DB 구축 이론과 실제』(2019, 공저), 『지식 생산의 기반과 메커니즘』(2019, 공저), 『전환기의 지식, 지식인』(2021, 공저) 등이 있다. 이외에 “한국국학진흥원 개발 고문헌 AI 자동 번역 프로그램과 활용 전망”(2022) 등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홍성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HK교수. 단국대학교 일어일문학과 학사, 석사 졸업. 도쿄대학 대학원 인문사회계연구과 석사, 박사 수료(문학 박사). 일본 근세문학을 전공했으며, 전문분야는 일본문 학・일본문화・일본사상이다. 동아시아학으로서의 일본학 전반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 영역을 확장시키고 있으며, 교육과 연구의 연계 방안을 모색하여 미래 대학 교육을 긍정적으로 변화시 키는 데 기여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연구업적으로는 단독저서로 『曲亭馬琴の読本の研究』(若草書房, 2019)가 있으며, 그밖에 다수의 저역서와 논문이 있다.
펼치기
최석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HK연구교수
펼치기
소영해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북경대학(北京大學) 중국어문학과 교수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599677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