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세계문학론 > 중국문학론
· ISBN : 9791166841149
· 쪽수 : 576쪽
· 출판일 : 2022-12-05
책 소개
목차
책을 내며
들어가며
1장 신화와 전설: 신과 사람의 이야기
1. 천지창조 신화와 인류의 탄생: 반고와 여와
2. 사대전설의 유래와 연변 과정: 견우직녀 등
3. 신화의 역사화, 역사의 신격화: 관우와 마조
2장 『시경』과 당시: 바람과 시의 이야기
1. 북방의 바람과 남방의 노래: 국풍과 「이소」
2. 통일과 분열 속의 문학예술: 조조와 도연명
3. 시를 완성한 당나라 시인들: 이백과 두보
3장 지괴와 전기: 귀신과 여우의 이야기
1. 소설의 발전과 지괴의 전통: 『수신기』와 『세설신어』
2. 당나라 전기소설의 세계: 풍자와 협의와 역사류
3. 명청시대 문언전기소설: 『전등신화』와 『요재지이』
4장 송사와 화본: 풍류와 기녀의 이야기
1. 송나라의 다채로운 노래들: 제왕에서 기녀까지
2. 천재문인 소동파의 시사문부: 고금의 「적벽부」
3. 명나라 풍몽룡의 통속문예: 송원명 화본소설
5장 원명청의 희곡: 연극과 공연의 이야기
1. 원대의 관한경과 왕실보: 「두아원」과 『서상기』
2. 명대의 『비파기』와 『모란정』: 조오랑, 두여랑
3. 청대의 『장생전』과 『도화선』: 양귀비, 이향군
6장 장편의 형성: 역사와 영웅의 이야기
1. 『삼국지』의 소설화 과정: 정통의 혈통주의
2. 『수호전』의 영웅인물전: 민중의 저항활동
3. 『서유기』의 환상 탐험기: 기상천외의 발상
7장 소설의 혁신: 사랑과 탄식의 이야기
1. 『금병매』의 남자와 여자: 끝없는 욕망의 추구
2. 『홍루몽』의 사랑과 진실: 진솔한 사랑과 운명
3. 근대의 충격과 지식인: 풍자에서 견책으로
8장 변화의 시대: 새로운 중국의 이야기
1. 신문학의 이론과 혁신: 후스와 루쉰
2. 신시기 문학의 백화제방: 왕멍과 류신우
3. 현대 중국의 새로운 문학: 모옌과 옌롄커
나가며
후기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중국문학사에서 신화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실상 20세기 이후의 일이다. 그것은 서양문학의 영향이라고 할 수 있다. 서양에서는 그리스 신화와 로마 신화가 모든 서양학문과 예술의 원천이 되고 있다. 그러므로 중국의 학자들도 고전 속에서 신화를 찾아보기 시작했다. 하지만 중국에는 ‘신화’라는 이름으로 모아진 책은 없다. 이미 “공자는 괴력난신을 말씀하지 않았다[子不語怪力亂神]”라고 했으니 유학이 독존의 상태로 등극한 한나라 이후에 더더욱 괴력난신의 책을 노골적으로 만들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그렇다고 중국고전에 신화적인 이야기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학자들은 전국시대에 나온 『산해경』과 『초사』 등으로부터 신화적 이야기로 간주될 수 있는 단편 고사를 추출하기 시작했다.
진(秦)나라 이전 중국문학으로서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오늘날의 입장에서 보면 신화전설과 시가라고 할 수 있는데 유교의 창시자 공자의 추앙을 받아 후에 최고의 경전 대열에 등극한 『시경』의 위상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그도 그럴 것이 전통적인 문학관에서 소설의 지위는 낮았으나 『시경』의 지위는 언제나 가장 높았고 경전 중에서도 ‘시서역(詩書易)’의 경우처럼 늘 『서경』과 『역경』의 앞에 자리했다. 시가의 발전 단계에서도 훗날의 한대 오언시나 당대 이후의 근체시와도 구분해 『시경』을 별도의 완전하고 독자적인 문학의 세계로 인정했다.
당나라에서 시가 중심이 된 이유는 이때에 이르러 중국시가 최고의 문학적 성과를 이룩하였고 예술적 경지에 이르렀기 때문일 것이다. 송원명청대에도 시는 계속 지어졌고 또 부단히 확산되었지만 당시만큼의 열정과 순수를 간직하기는 어려웠기 때문에 당시를 중국시의 대표라고 지칭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