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고고학
· ISBN : 9791167070951
· 쪽수 : 472쪽
· 출판일 : 2023-02-27
책 소개
목차
옮긴이의 말
1장 서론: 대중고고학의 다양성과 불협화음
1. ‘대중’이란 무엇인가?
2. ‘대중고고학’의 정의
3. 대중을 참여시키는 목적
4. 소통과 해석에서의 논점
5. 소통과 해석에서의 과제
6. 이해당사자들
7. 맺음말
1부 대중화: 소통과 해석
2장 미국의 대중고고학
1. 머리말: 미국의 대중고고학
2. 대중적 인식의 초기 발전
3. 고고유적을 위한 올바른 정책: 루스벨트와 보존운동
4. 1930년대의 ‘뉴딜’고고학
5. 문화자원관리의 발전
6. 철학과 방법론의 변화
7. 고고학과 문화자원관리: 관리의 위기
8. 고고학에서의 종족성과 쟁점
9. 교육고고학의 출현
10. 미국의 대중고고학: 과거, 현재, 미래
3장 북미 지역의 고고학과 대중교육
1. 현행 프로그램에 대한 검토
2. 맺음말
감사의 말
4장 대중을 박물관 고고학에 참여시키기
1. 머리말
2. 박물관의 힘
3. 고고학을 위한 봉사자로서의 고고학박물관
4. 대중으로의 시각 전환
5. 접근성과 포함의 문제
6. 디지털 접근성
7. 비공개 자료
8. 과거를 직접 체험하다
9. 대여 상자
10. 적극적 대외봉사활동과 포용
11. 고고학과 문화적 다양성
12. ‘고고학의 예술’
13. 관찰
감사의 말
5장 고대 이집트의 발견: 페트리박물관과 대중
1. 머리말
2. 청중과 질문
3. 아마추어와 ‘대안적’ 이집트
4. 연구에 대하여
5. 연구 결과
6. 가장 인기 있는 시대
7. 가장 많은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생각과 이미지
8. 고대 이집트인의 피부색
9. 현대 이집트에 대한 느낌과 고대 이집트와의 관계
10. 고고학에 대한 느낌
11. 고대 이집트의 현대와의 관련성
12. 어린이와 교육
13. 맺음말: 박물관을 위하여
6장 대중에게 고고학을 보여주기: 현장에서의 통찰력 구축
1. 해석과 전시에 대한 구성주의적 접근
2. 표현 형식
3. 방문자의 구성
4. 구성주의 유적
5. 맺음말
7장 고고학과 영국 매체
1. 언론이 고고학을 보여주는 방식
2. 국가적·애국적 사업으로서의 고고학
3. ‘사라진 문명’
4. 열정을 가진 교수로서의 고고학자
5. 언론 매체에 대한 다른 고정관념
6. 고고학은 어떻게 언론 매체를 이용하는가
8장 더 민주적인 고고학을 향하여?: 인터넷과 대중고고학의 실제
1. 머리말
2. 하나의 시각: 레비 조던 농장의 인터넷 프로젝트
3. 누가 연결망에 있는가? 왜 우리는 관심을 가져야 하는가?
4. 용어의 명확화
5. 기술 외부의 쌍방향 소통 및 민주주의: 레비 조던 웹사이트의 구조화 원칙과 전략
6. 기술 안에서의 쌍방향 소통: 토론집단과 이메일, 피드백 방식
7. 맺음말
2부 공공의 이익?: 이해관계자들
9장 21세기 고고학과 권위
1. 머리말: 국가와 고고학적 가치
2. 선택의 확대
3. 미래를 바라보며
4. 맺음말
감사의 말
10장 브라질의 대중고고학
1. 머리말: 브라질 사회와 대중
2. 브라질고고학과 청중
감사의 말
11장 누구를 위한 고고학인가: 고고학자 혹은 지역주민?
1. 머리말
2. 고고학과 대중: 현재 상황
3. 제안 방법
4. 맺음말
12장 대중고고학과 원주민 사회
1. ‘토착’이란 무엇인가?
2. 웨스턴아일스: 토착사회?
3. 웨스턴아일스의 대중고고학
4. 남부 마다가스카르의 토착사회
5. 남부 마다가스카르의 대중고고학
6. 토착고고학자와 지역고고학자
7. 맺음말
감사의 말
13장 거꾸로 보는 고고학: 호주 원주민과 뉴사우스웨일스에 분포한 그들의 유체
1. 포트잭슨에서의 죽음
2. 다양한 확산
3. 반환의 범위
4. 재매장과 반환의 정신
5. 지역적 공간과 국가적 공간
6. ‘진정한’ 호주 원주민과 ‘진정한’ 대화
7. 장소를 소유하기
14장 불합리의 위안: 대안고고학의 중요성과 타당성
1. 머리말
2. 대안고고학의 정의
3. 대안고고학의 몇 가지 주제
4. 대안고고학의 제시 방법
5. 대안고고학의 성장
6. 대안고고학을 반박하려는 시도
7. 대안고고학을 포용하려는 시도
8. 맺음말
15장 유물법과 동산문화재 관리제도: 발전하는 대중고고학에서의 사례연구
1. 매장문화재에 관한 관습법
2. 금속탐지기의 사용
3. 「유물법(Treasure Act)」
4. 「유물법」에 대한 반대 이유
5. 동산문화재 관련 토론 문서
6. 스코틀랜드와 북아일랜드
7. 「유물법」의 성과
8. 동산문화재 관리계획
9. 맺음말
16장 골동품 시장이 중국고고학 발전에 미친 영향
1. 초기 단계: 고고학적 연구의 시작
2. 둘째 단계: 고고학과 시장이 멀어지다
3. 셋째 단계: 고고학과 오늘날의 골동품 시장
4. 맺음말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