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문화예술교육개론

문화예술교육개론 (김미진 외)

김미진, 박주희, 송하영, 안시현, 오민석, 장소피아, 전신영, 정재엽, 조순자, 최수정 (지은이)
공동체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0% 0원
540원
17,4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문화예술교육개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문화예술교육개론 (김미진 외)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91167259387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25-04-30

책 소개

문화예술교육의 이론적 배경과 실제적인 접근 방식을 아우르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책은 학생, 교육자, 정책 입안자뿐만 아니라, 문화와 예술을 사랑하고 이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고자 하는 모든 독자들을 대상으로 한다.
문화와 예술은 인간의 삶을 풍요롭게 하고, 감성과 창의력을 키우며, 서로 다른 이들의 마음을 이어주는 다리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문화와 예술이 교육과 결합할 때, 우리는 더욱더 열린 사고와 창의적 해결방식을 지닌 세대를 양성할 수 있습니다. 이 책은 바로 그러한 가능성을 탐구하고, 실천으로 이어갈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기 위해 기획되었습니다.

『문화예술교육개론』은 문화예술교육의 이론적 배경과 실제적인 접근 방식을 아우르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 책은 학생, 교육자, 정책 입안자뿐만 아니라, 문화와 예술을 사랑하고 이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고자 하는 모든 독자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목차

제1부 문화예술교육의 이론적 기초

제01장 문화예술교육의 이해 10

1. 문화예술교육의 어원 10

2. 문화예술교육의 정의 11

3.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 13

4. 문화예술교육의 가치와 효과 14

제02장 문화예술교육의 범주와 흐름 19

1. 문화예술교육의 개념과 의의 19

2. 문화예술교육의 대상 21

3. 문화예술교육의 법적 기반과 범주 23

4. 문화예술교육의 특징 26

5. 문화예술교육 자원 27

6. 문화예술교육 정책 방향과 문화예술교육사의 역할 38

제03장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다양한 관점 43

1. 문화예술교육 공급자(예술가와 예술단체)의 관점 44

2. 문화예술교육 지원 주체(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관점 46

3. 지역사회 및 지역문화의 관점 48

제04장 문화예술교육의 전략적 기획 58

1. 전략적 기획의 필요성 58

2. 일반적인 전략적 기획 과정 60

3. 전략의 수준 73

4.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기획 75

5. 문화예술교육의 수업지도안 80

제05장 문화예술교육의 이론과 철학 89

1. 주요 이론들 89

2. 주요 철학자들 98

제06장 문화예술교육의 법과 정책 100

1. 「문화예술교육 지원법」의 제정 배경 및 취지 100

2. 「문화예술교육 지원법」의 구성체계 101

3. 「문화예술교육 지원법」 관련 법령 103

4. 「문화예술교육 지원법」의 내용 106

5. 「문화예술교육 지원법」에 대한 논의 115

제2부 문화예술교육의 실제와 적용

제07장 문화예술교육의 방법론 120

1. 다양한 교육 방법과 전략 121

2. 창의적 교수법 122

3. 문화예술교육의 현장 실제 143

제08장 미술 분야의 문화예술교육 146

1. 미술수업 문화예술교육 146

2. 평가와 피드백 147

제09장 음악 분야의 문화예술교육 157

1. 기초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음악교육 158

2. 문화예술교육의 큰 틀에서 보는 음악교육의 지향적 가치 163

3. 음악 중심 문화예술교육의 다양한 사례 164

제10장 국악 분야의 문화예술교육 176

1. 학교 국악 문화예술교육 177

2. 국악 문화예술교육 평가와 피드백 182

3. 국악 문화예술교육 환경 조성을 위한 과제 192

제11장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지역문화예술교육 196

1. 학교문화예술교육 196

2. 지역문화예술교육 206

제12장 미래의 문화예술교육 214

1. 디지털 시대의 문화예술교육 214

2. 인공지능 시대의 문화예술교육 221

3. 지속가능한 문화예술교육 225

■ 부록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제도 소개 229
■ 참고문헌 235

저자소개

조순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 국악대학을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한국음악이론 석 ·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중앙대학에서 한국 전통음악 이론 과목과 무형유산 강의를 맡고 있으며, 성신여자대학교 창의융합학부에서 〈테마로 보는 전통문화〉 강의를 통해 대학생들의 한국 전통문화에 관한 관심을 고취하는 데 힘쓰고 있다. 2014년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을 취득하고 학교 및 사회문화예술교육 현장에서 교육 및 공연활동을 지속하였으며, 전통문화유산연구소 대표로서 판소리, 민요를 비롯 한국 무형유산에 관한 연구 및 확산하는 일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펼치기
박주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에서 '존 듀이의 미적경험에 토대한 예술교육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평소 문화와 예술에 관심이 많으며 인간 삶의 원천이 예술임을 늘 고민하고 있다. 한국게임학회 교육이사, 한국e스포츠산업학회 기획이사를 겸하고 있으며 교육과 예술 분야 전반에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안시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포스트모던음악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음악학 석사 · 예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예원예술대학교 실용음악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며, 학과장으로 일하고 있다. 대중음악계에서 다양하게 활동하고 있으며 월드뮤직, 대중음악, 문화예술교육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지성과 감성을 겸비한 대중음악 아티스트 양성을 위해 열심히 교육한다.
펼치기
오민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와세다대학교에서 교육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고려대학교 연구교수를 거쳐 현재 아주대학교 평생교육 및 HRD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예술대학교 등에서 문화예술 관련 강의를 통해 수강생의 문화예술 역량 강화와 문화예술 관련 전문가로 성장, 활약할 수 있도록 지원해 왔다. 최근에는 장애인 문화예술교육 관련 연구와 실천에 몰두하고 있다.
펼치기
김미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예원예술대학교에서 회화를 전공하며 미술학 석사 과정을 마치고, 현재 홍익대학교 대학원에서 회화(Fine Art) 박사과정을 밟고 있다. 2013년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을 취득한 이후 다양한 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쌓았으며, 현재는 예원예술대학교에서 문화예술교육 관련 강의를 맡고 있다. 강의를 통해 학생들이 예술적 사고와 교육자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돕고 있으며, 이론과 실무를 연결하는 통합적 접근을 실천하고 있다.
펼치기
송하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홍익대학교에서 미술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홍익대학교를 비롯한 여러 대학과 예술기관에서 예술 실천과 이론을 아우르는 교육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추상 회화 작업을 기반으로 작가로서 활동을 지속하고 있으며, 전시와 프로젝트를 통해 예술의 감각적 표현과 소통 방식을 탐구하고 있다. 문화예술의 다양한 영역에서 전방위적으로 활동해 온 경험을 바탕으로, 문화예술의 사회적 가치가 보다 깊이 자리 잡고 동시대의 삶 속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실천을 이어가며, 그 가능성을 넓혀가는 데 꾸준한 관심을 두고 있다.
펼치기
장소피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예술대학교 실용음악과에서 작곡을 전공하였다. 현재 게임음악 작곡가로 활동 중이며, 뮤지카 인터렉티브의 대표이다.
펼치기
전신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상명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교육공학 석 ·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정화예술대학교 교양학부 조교수로 재직하면서, 교수학습센터장을 맡아 실기교육방법론을 비롯한 다양한 교직과목을 가르치고 예술분야 교수학습과정 연구와 개발을 담당하고 있다. 2015년부터 대학 교육혁신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과 교수학습 프로그램 연구에 매진해 왔으며,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17년 상명대학교 학부교육선도대학육성사업(ACE) 공로자로 선정되어 교육부장관 표창을 수상하였다. 현재 정화예술대학교 교수학습센터장으로서 예술 분야의 효과적인 교육과정 개발 및 교수법 개선을 위한 연구와 실천에 관심을 두고 있다.
펼치기
정재엽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문화예술경영학 석사, 영국 런던대학교 버크벡 칼리지(Birkbeck College)에서 공공정책학 석사를 취득하였으며, 중앙대학교에서 경영학 박사(문화예술경영)학위를 받았다. 현재 예원예술대학교 교양학부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교육혁신원장과 교수학습지원센터장을 겸하고 있다. 교수로 임용되기 전에는 공연기획 제작자로 공연예술 현장에서 활동하였다. 주요 연구분야는 문화예술경영, 문화콘텐츠산업, 문화예술정책, 문화예술교육, 지역문화 등이다.
펼치기
최수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원대학교(현 가천대) 음악대학 피아노과를 졸업하고 도독, 뤼벡, 함부르크 국립음대에서 피아노연주자과정을 수료하고 이탈리아 볼로냐 국립음악원에서 피아노 연주 최고 학위과정을 졸업하였다. 성균관대학교 예술학협동과정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하였고 예술과 학문에의 깊이 있는 성찰을 위한 연구와 연주, 교육을 병행하며 예술과 교육이 나아갈 방향, 우리 시대 음악의 역할에 대한 진지한 질문을 이어가고자 한다. 현재 예원예술대학교 공연예술학부 음악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며 예술연구동인 프로베 온 음악감독, 음악예술학회, 한국 피아노연주와 교수법협회(K3PA) 회원으로 활동하며 교육과 문화예술의 현장에서 음악적 소통을 활발히 하고 있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