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소설론
· ISBN : 9791167420374
· 쪽수 : 284쪽
· 출판일 : 2021-09-03
책 소개
목차
머리말/5
Ⅰ. 역사추리소설이란 무엇인가
1. 팩션과 역사추리소설 그리고 역사소설, 추리소설
2. 기존의 논의들과 앞으로의 전개에 관해
Ⅱ. 우리나라 역사소설과 추리소설의 흐름 탐색
1. 역사소설의 변천사
1.1 우리만의 역사소설 다지기: 1930년대
1.2 시대의 증언과 대응: 1945~1980년대
2. 추리소설의 변천사
2.1 여명기부터 김내성까지: 1930년대
2.2 전쟁, 펄프픽션 그 안의 추리소설: 1945~1970년대
2.3 다양한 작가 군과 새로운 움직임-1980년대 이후
3. 진원의 시대, 1990년대
3.1 역사관의 지각 변동과 추리서사
3.2 낯선 역사소설의 출현
Ⅲ. 2000년대 꽃피는 ‘역사’ 및 ‘추리’ 콘텐츠
1. 드라마와 영화에서 뽐낸 역사추리서사
1.1 드라마-미시사를 바탕으로 한 영웅의 대활약
1.2 영화-다양한 시도와 시리즈화
2. 우리 문학의 뜨거운 호응
3. 역사추리소설 작품 및 작가군 정리
Ⅳ. 주요 작가 및 작품 분석
1. 김탁환?역사추리소설의 방향성 제시
1.1 이야기꾼 김탁환
1.2 실천하는 지식인이자 탐정 그리고 진취적 여성의 등장
1.3 정조, 소설, 백탑파 간의 팽팽한 긴장감
1.4 이상적인 정치의 장, 그 이율배반에 관해
2. 오세영?팩션으로 키운 민족적 자긍심
2.1 팩션의 선두주자
2.2 ‘무역’으로 연결된 베니스와 개성
2.3 구텐베르크와 르네상스 대 장영실과 세종
2.4 세계사의 흐름에 조선을 외치다
3. 이정명?분방한 상상력과 깊이 있는 역사의식
3.1 감춰진 진실과 화려한 로망
3.2 다시 보는 그림과 젠더
3.3 충실한 장르 규칙과 진실의 이면
4. 김다은?편지로 주고받는 억눌린 욕망의 귀환
4.1 전복과 귀환의 양면성
4.2 다중의 ‘백팔’과 뒤통수치기
4.3 여러 갈래의 진실, 다성의 목소리
Ⅴ. 2000년대 역사추리소설의 특징 및 성향
1. 정조와 세종의 시대를 흠모
2. 양날의 검, 민족주의
3. 인문학적 지식과 다채로운 풍속
4. 조선 혹은 한국형 탐정의 출현
Ⅵ. 2010년대 이후의 역사추리소설
1. 작품과 경향
2. 패러디를 통한 영역 확대
2.1 추리소설과 패러디
2.2 패러디란 무엇인가
2.3 경성의 탐정, 이상(李箱)으로 구현된 현재적 욕망
2.4 김내성 패러디, 자신감의 표출
2.5 가능성과 시도의 발판
3. 앞으로의 전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