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근대소설 미학과 ‘記者-作家’

한국근대소설 미학과 ‘記者-作家’

박정희 (지은이)
역락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3,250원 -5% 0원
1,750원
31,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35,000원 -10% 1750원 29,750원 >

책 이미지

한국근대소설 미학과 ‘記者-作家’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근대소설 미학과 ‘記者-作家’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소설론
· ISBN : 9791167423627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22-07-28

책 소개

근대소설의 미적 특징을 규명하기 위한 대상으로 ‘기자-작가’의 저널리즘 체험과 저널리즘에 대한 인식에 집중하고자 한다. 저널리즘의 상황을 누구보다 민감하게 체험했으며 인식이 뚜렷했을 ‘기자-작가’의 소설을 중심으로 근대소설이 획득한 미적 특징을 새롭게 규명한다.

목차

제1부 1920~30년대 한국근대소설과 ‘記者-作家’
1. 서론
1.1. 문제제기 및 연구의 목적
1.2. 연구의 시각과 연구 대상
2. ‘사실’의 미학화 의지와 미적 구조의 구축: 현진건
2.1. ‘편집’의 예술론과 단편소설의 창작
2.2. ‘극적 광경’의 포착과 ‘보고-논평’의 서술 구조
2.3. ‘편집’의 전략과 스크랩북의 서사화
3. 계몽의 서사 구조와 대중성 획득의 서사 전략: 심훈
3.1. ‘투사-기자’로서 글쓰기와 반(反)자본주의
3.2. 저널리즘 문예장르와 ‘영화소설’의 창작
3.3. ‘모델’의 의미강화 전략과 ‘현장-보고’의 효과
4. ‘정치서사’의 기획과 이중 플롯의 전략: 염상섭
4.1. 불가해한 현실의 탐구자로서 ‘기자-작가’의 글쓰기
4.2. ‘토론’의 서술 전략과 현실인식의 확장
4.3. 이중 플롯의 구성과 ‘스캔들’의 서사화
5. 결론

제2부 한국근대소설과 저널리즘
신문의 시대와 신소설―신소설에 나타난 ‘신문/기사’의 양상과 그 의미
1. 서론
2. ‘신소설’에 나타나는 신문기사의 양상
2.1. ‘신문을 보닛가’: 신문기사의 인용
2.2. ‘신문에 낫데’: 작중 인물-사건의 기사화
2.3. ‘신문에 광고 놓기’: 사람 찾기
3. 신소설에 나타난 신문매체 인식과 그 한계
4. 결론
근대초기 ‘가짜뉴스’에 대한 인식 가능성과 그 의미―『萬人傘』(1909)
1. 서론
2. 신소설 『만인산』에 대한 논의를 위한 전제들
3. 번안소설의 신문―기사에 대한 인식과 『雪中梅』(1908)
4. ‘가짜뉴스’에 대한 인식 가능성과 그 한계: 『萬人傘』(1909)
5. 결론을 대신하여
한국 근대소설에 나타난 ‘記者’의 존재양상과 그 의미―‘記者 주인공 소설’을 중심으로
1. 서론
2. 신문기자의 초상: ‘志士-記者’와 ‘搜査-記者’
3. ‘文士-記者’의 자의식과 ‘職人’으로서 기자 생활
3.1. ‘文士-記者’와 언론보도의 한계에 대한 인식
3.2. ‘월급’의 노예: ‘저기압’ 아래 우울과 자극제로서 ‘사건’
4. 언론 상황에 대한 ‘기자-작가’의 대응
4.1 언론사의 상업화에 맞서는 방법
4.2. 기자직 청산과 작가로서의 ‘창작욕’ 회복
5. 결론을 대신하여: 근대소설과 ‘기자-작가’
1920~30년대 ‘릴레이 소설’의 존재방식과 그 의미에 대한 연구
1. 서론
2. ‘조선 최초’의 릴레이 소설 「홍한녹수」
3. 저널리즘의 기획의도와 독자확보 전략
4. ‘릴레이 소설’의 소멸 이유와 의미
5. 결론을 대신하여
아지프로 텍스트, 벽신문과 벽소설
1. 서론
2. ‘壁’이라는 미디어: 벽신문과 ‘벽소설’
3. 일본 프로문학의 ‘벽소설’ 논의와 조선 프로문학의 그 전유
4. 볼셰비키 아지프로 텍스트 ‘벽소설’의 존재방식과 그 특징
5. 결론을 대신하여 : ‘벽소설’, 계급문학의 또 다른 가능성을 위하여

참고문헌

부록
1. 〈‘신문/기사’가 나타나는 신소설 작품 목록〉
2. 〈1920~30년대 ‘기자’ 주인공 소설 작품 목록〉
3. 〈1920~30년대 ‘릴레이 소설’ 작품 목록〉
4. 〈1930년대 ‘벽소설’ 목록〉

저자소개

박정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상남도 밀양에서 출생했다. 울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서울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했다. 2012년 『문학사상』 평론 부분 신인상으로 등단했다. 현재 울산대학교 국어국문학부에서 근무하고 있다. 한국근대문학사에서 배제되거나 소홀하게 다루어진 연구주제들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송영소설선집』과 『심훈전집』(전9권)을 간행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74255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