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규율과 방향

규율과 방향

(변천 중인 음운 구조)

허다안 (지은이), 신세리, 김기원 (옮긴이)
역락
1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000원 -0% 0원
570원
18,4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규율과 방향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규율과 방향 (변천 중인 음운 구조)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언어학
· ISBN : 9791167428929
· 쪽수 : 276쪽
· 출판일 : 2025-02-28

책 소개

언어는 구성 성분이 서로 일정한 관계를 맺으면서도 끊임없이 변동하는 구조체이다. 언어 현상의 기본 속성 중 하나는 끊임없는 변화이며, 이에 따라 언어 구조성도 변화하게 된다. 중국어 방언을 소재로, 방언 접촉의 관점에서 음운 변천에 관해 저술한 책이다.
이 책은 중국어 방언을 소재로, 방언 접촉의 관점에서 음운 변천에 관해 저술한 것이다. 이 책을 관통하는 가장 중요한 기본 개념은 “언어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구조이다”라는 점이다.
언어는 구성 성분이 서로 일정한 관계를 맺으면서도 끊임없이 변동하는 구조체이다. 우리가 언어의 구조성을 이해하게 된 것은 비록 한 시점에서의 단면을 통해 관찰한 결과이지만, 언어는 변화 과정에서 개혁이나 전환이 일어나더라도 여전히 자립적인 존재로 유지된다. 이때 “고정된 단면”은 관찰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설정한 것이 며, 결국 관찰의 초점은 끊임없이 대사(代謝)하는 하나의 생명체로서의 언어 그 자체로 돌아가야 한다. 언어 현상의 기본 속성 중 하나는 끊임없는 변화이며, 이러한 변화는 언어 구조를 이루는 구성 성분과 그 관계 양 측면에서 일어난다. 결국 구성 성분이 변하거나 두 요소 간의 관계가 달라짐에 따라 언어 구조성도 변화하게 된다. “언어는 끊임없이 변동하는 구조”라는 개념은 바로 이러한 관점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 책은 총 8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개념적 기초를, 제8장은 전체 내용을 정리한다. 제2~4장은 음운 구조 변화의 이론적 측면(규율의 성격과 변천의 방향, 구조 조정)을 다루며, 제5~7장은 방언 접촉이 실제 구조 변화로 이어지는 구체적 사례를 분석한다. 용싱(永興) 방언, 깐(贛) 방언, 그리고 중국 남서부 지역의 음운 확산 현상 등을 통해, 규칙이 어떻게 생성·전파·변형되는지를 살펴볼 수 있다.

목차

1장 개념과 구조
제1절 변화하는 구조
제2절 연구 목적
제3절 기본 접근 방식
제4절 논제(論題)의 선택
제5절 각 장의 간단한 소개

2장 규율에 대한 몇 가지 성찰
제1절 규율의 의미
제2절 규율의 형식
제3절 규율과 변천의 단계성
제4절 규율과 구조적 특징

3장 특수한 변화 방향
제1절 회귀적 변화
제2절 규율 역전
제3절 유추적 변화(比附演變)

4장 구조 조정
제1절 재평가
제2절 비평행적 변화
제3절 무중생유(無中生有)
제4절 음운 타협(音韻妥協)

5장 방언 접촉: 용싱(永興) 방언의 유기유성성모에 대한 고찰
제1절 두 세트로 대립되는 유성성모
제2절 유기유성성모의 음운 조합 특징
제3절 유기유성성모의 형성
제4절 주가오(竹篙) 방언의 사례
제5절 유성음의 무성음화 과정

6장 방언의 역사: 깐방언(贛方言)
제1절 특징 없는 방언
제2절 원시 깐어(贛語)의 특징
제3절 깐방언과 커방언의 관계
제4절 깐방언의 발전
제5절 논의가 필요한 문제

7장 규율 영향면 연구: X/F의 서남
제1절 문제의 범주
제2절 네 가지 유형의 지리적 분포
제3절 RA
제4절 RB
제5절 RC
제6절 RD
제7절 규율 요약
제8절 쯔중(資中)과 린샹(臨湘)
제9절 규율의 동태적(動態的) 측면

8장 요약

저자소개

허다안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립대만대학(國立臺灣大學) 박사를 졸업하고 국립대만대학 중국문학과 조교수, 대만 중앙연구원(中央?究院) 역사언어연구소 연구원, 대만 중앙연구원 언어학연구소 소장 등을 역임하였다. 2010년에는 대만 중앙연구원 원사(院士)로 선출되었다. 연구 방향은 언어사(言語史)이며, 연구 분야는 중국어 음운사, 중국어 방언학, Austronesian linguistics이다. 주요 저서는 《南北朝韻部演變?究》(1981), 《聲韻學中的觀念和方法》(1987), 《規律與方向: 變遷中的音韻結構》(1997) 등이 있다.
펼치기
신세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 HK교수. 국립대만사범대학교에서 ≪戰國楚竹簡代詞?究≫로 2015년 1월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2015~2017년 조선대학교 초빙교수, 2017~2020년 한국외국어 대학교 BK연구교수, 2021~2023년까지 조선대학교 학술연구교수로 재직하였다. 현재는 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의 HK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淸華大學藏戰國竹簡(伍)≫ <封許之命> 封建禮 賜予品目의 상징물과 기타 문물분석”을 주제로 3년간 중국 고대문자와 고대언어를 분석하였고, 고대중국사회의 문화에 대해 공부하였다. 또 여러 공동연구를 수행하면서 연구의 기초를 현장감 있게 다질 수 있었다. 2016년부터 한국중국언어학회에서 편집이사, 홍보이사, (현)총무이사로 활동하였다. 현재 출토문헌연구회, 죽간강독, 중국어방언연구, 중국어소리연구, 음성 음운연구회 등에서 선후배 연구자들과 배움의 시간을 채워가는 중이다.
펼치기
김기원 (옮긴이)    정보 더보기
단국대학교 외국어대학 중국학전공 초빙교수 주요 논문으로 「19세기 중국 문헌과 일본 문헌의 외국 지명 유사도 및 번역 표기 특징 연구―19세기 일본 문헌 『米歐回覽實記』를 중심으로」 등이 있다. 연구자의 주요 관심분야는 19세기 근대 어휘의 형성과 발전이며, 중국 근대 어휘를 중심으로 동아시아 어휘의 생성, 전파 및 관계를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