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한국어/한문
· ISBN : 9791167427151
· 쪽수 : 260쪽
· 출판일 : 2024-05-31
책 소개
목차
제1장 출토문헌과 문자
Ⅰ. 시작하며
Ⅱ. 문자와 문자학
Ⅲ. 출토문헌이란 무엇인가?
1. 담체들
2. 출토문헌과 고문자
제2장 고대문명의 기록물
Ⅰ. 시작하며
Ⅱ. 한자의 다양한 서사매체
Ⅲ. 갑골문
1. 갑골문의 명칭
2. 갑골문의 발견
3. 갑골문의 문례
Ⅳ. 금문
제3장 마왕퇴와 곽점의 발견
Ⅰ. 시작하며
Ⅱ. 장강 지역의 기후
Ⅲ. 마왕퇴(馬王堆)
Ⅳ. 곽점(郭店)
제4장 『청화간』과 『상박간』
Ⅰ. 시작하며
Ⅱ. 『?華大學藏戰國楚簡』
1. 『청화간』의 의의
2. 논란
Ⅲ. 上海博物館
『상박』의 의의
제5장 출토문헌과 경서?상서류
Ⅰ. 시작하며
Ⅱ. 『청화간』과 상서류문헌
1. 『상서』란 어떤 책일까
2. 『청화간』과 상서류 문헌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
Ⅲ. 실제분석의 예시: 『금등(金?)』
제6장 출토문헌과 경서?제자서류
Ⅰ. 시작하며
Ⅱ. 제자서류
1. 한자 분석의 필수적 개념들
2. 한자 분석의 간단한 개념 정의
Ⅲ. 출토문헌과 제자서들
1. 「공자시론(孔子詩論)」 제1장
2. ‘은(隱)’의 가차자 ‘린(?)’
3. 합문(合文)
제7장 한자의 여러 서체들
Ⅰ. 시작하며
Ⅱ. 한자서체
Ⅲ. 글자 연습과 실제 분석
1. 금문
2. 전국문자
제8장 역사의 새로운 증거(1)?한자의 변천
Ⅰ. 시작하며
Ⅱ. 한자에 담긴 역사
Ⅲ. 인생의 여정
1. ‘생(生)’
2. ‘노(老)’와 ‘고(考)’
3. ‘질(疾)’
4. ‘사(死)’
제9장 역사의 새로운 증거(2)?문헌의 차이
Ⅰ. 시작하며
Ⅱ. 『청화간(오)』「명훈」편
제10장 나머지 이야기들
Ⅰ. 시작하며
Ⅱ. 석경의 설립: 후한
1. 『조전비(曹全碑)』
2. 『희평석경(熹平石經)』
Ⅲ. 비림박물관의 비석들
1. 『대진경교유행중국비(大秦景?流行中國碑)』
2. 『개성석경(開成石經)』
3. 비림의 천자문들
4. 조비와 묘비명
Ⅳ. 새로운 문헌의 발견
1. 신장위구르 삼국지 판본의 발견
2. 20세기 초 몽골지역의 한간발견
3. 돈황의 발견(敦煌莫高窟藏?洞)
Ⅴ. 참여의 마무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