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실용 한자어 5개 국어 대조사전

실용 한자어 5개 국어 대조사전 (한·중·일·베·영)

하영삼, 신근영, 남미영, 박준원, 신세리, 임현열, 최승은, 하강진, 황연, 등응렬, 하화진, 온민, 이우, 이천, 장앵보, 정흠미, 진덕유, 황시금 (지은이)
도서출판3
5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9,500원 -10% 0원
2,750원
46,750원 >
49,500원 -10% 0원
0원
49,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실용 한자어 5개 국어 대조사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실용 한자어 5개 국어 대조사전 (한·중·일·베·영)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한국어/한문
· ISBN : 9791187746942
· 쪽수 : 791쪽
· 출판일 : 2025-04-28

책 소개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베트남어의 주요 한자어를 폭넓게 수록하고, 영어 해석을 병기한 다언어 대조 사전. 학술적 엄밀성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식의 실용적 한자어를 표제어로 선별하여 언어 간 비교와 응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목차

머리말
일러두기
사전 본문
부록
1. 중국어 병음(拼音)
2. 가나다순(가나다順) 및 본 사전의 한글 병음
3. 오십음도(五十音圖) 및 본 사전 일본어 라틴 철자
4. 베트남어 자모표

Table of Contents (목차 영어)
Preface
Notes on Usage
Dictionary Main Text
Appendices
1. Chinese Pinyin
2. Korean Alphabetical Order and Korean Romanization Used in This Dictionary
3. Japanese Fifty Sounds Table and Latin Spelling of Japanese Used in This Dictionary
4. Vietnamese Alphabet Table

目錄 (중국어)
前言
使用說明
詞典正文
附錄
1. 中文拼音
2. 韓文字母順序及本詞典使用的韓文音譯
3. 日文五十音圖及本詞典使用的日文拉丁拼寫
4. 越南文字母表

目次 (일본어)
はじめに
凡例
辞典本文
付録
1. 中国語ピンイン
2. 韓国語の「かなだ順」と本辞典の韓国語ローマ字表記
3. 五十音図と本辞典の日本語ローマ字表記
4. ベトナム語アルファベット表

Mục lục (베트남어)
Lời nói đầu
Hướng dẫn sử dụng
Nội dung từ điển
Phụ lục
1. Phiên âm tiếng Trung(Pinyin)
2. Thứ tự bảng chữ cái Hàn Quốc và phiên âm tiếng Hàn được sử dụng trong từ điển này
3. Bảng ngũ thập âm tiếng Nhật và chính tả Latin của tiếng Nhật được sử dụng trong từ điển này
4. Bảng chữ cái tiếng Việt

저자소개

하강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서대학교 미디어콘텐츠대학 교수. 대표 논저로는 <역주해 논개 삼장사 시문 총집>(경진출판, 2024), <밀양 천년의 인물계보와 고전학>(경진출판, 2021), <역주해 역대 촉석루 시문 대집성>(도서출판 경진, 2019), <진주성 촉석루의 숨은 내력>(도서출판 경진, 2014), 「역대 양산군수의 개관과 주요 치적」(2024), 「자전 체재에서 본 <국한문신옥편>의 한국자전사적 위상」(2018), 「<자전석요>의 편찬과정과 판본별 체재 변화」(2014) 등이 있다. 주요 관심사는 지역고전학과 한국자전편찬사 연구이며, 최근 한실인문학연구소장으로서 <양산이씨종가 고문서 번역 학술연구 용역 보고서>(2024.9)를 단독 집필했다.
펼치기
하영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성대학교 중국학과 교수, 한국한자연구소 소장, 인문한국플러스(HK+)사업단 단장, 세계한자학회(WACCS) 상임이사. 부산대 중문과 학사, 대만 정치대 중국과 석사, 박사. 한자어원과 한자에 반영된 문화성을 연구하고 있으며, <한자와 에크리튀르>, <한자어원사전>, <키워드 한자>, <100개 한자로 읽는 중국문화>, <한자의 세계> 등의 저서와 <완역설문해자>(5책), <허신과 설문해자>, <갑골학 일백 년>(5책), <한어문자학사> 등의 역서가 있다.
펼치기
최승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외국어대학원대학교 한일과(한일 순차통역·번역 전공)를 졸업하고 단국대학교 일어일문학과 문학박사.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HK연구교수를 거쳐 현재 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 HK교수, 부소장. 일본 근세 후기부터 근대 초기의 초등교육, 특히 문자 학습에 관심을 갖고 연구 중이며, 한일 국제회의 통역사 및 번역가로도 활동 중이다. 저서(공저)로는 <십이지 동물, 어휘 속에 담긴 역사와 문화>(따비), <꽃과 나무, 어휘 속에 담긴 역사와 문화>(따비)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쇄국, 그리고 일본의 비극 : 세계적 시권(視圈)으로 본 근세 초기 일본>(보고사, 공역), <전후일본한자사>(역락)가 있다.
펼치기
신근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푸단대학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 HK+사업단에서 HK 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전산언어학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2022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분야 신진 연구자 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관련 연구를 수행 중이다. 주로 중·한 언어 비교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인지·화용·문화적 관점에서 언어 현상을 해석하고 있다.
펼치기
신세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 HK교수. 국립대만사범대학교에서 ≪戰國楚竹簡代詞?究≫로 2015년 1월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2015~2017년 조선대학교 초빙교수, 2017~2020년 한국외국어 대학교 BK연구교수, 2021~2023년까지 조선대학교 학술연구교수로 재직하였다. 현재는 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의 HK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淸華大學藏戰國竹簡(伍)≫ <封許之命> 封建禮 賜予品目의 상징물과 기타 문물분석”을 주제로 3년간 중국 고대문자와 고대언어를 분석하였고, 고대중국사회의 문화에 대해 공부하였다. 또 여러 공동연구를 수행하면서 연구의 기초를 현장감 있게 다질 수 있었다. 2016년부터 한국중국언어학회에서 편집이사, 홍보이사, (현)총무이사로 활동하였다. 현재 출토문헌연구회, 죽간강독, 중국어방언연구, 중국어소리연구, 음성 음운연구회 등에서 선후배 연구자들과 배움의 시간을 채워가는 중이다.
펼치기
임현열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성대학교 교수. 역자는 동일 형태소의 자유 변이 현상을 인지음운론적 관점에서 연구하여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어 음운론에서 비표준 발음의 다양한 양상이 인지적 특성을 반영하여 발생하고 확산된다는 사실을 밝혔다. 또한, 한국어 교육에 대한 깊은 관심을 가지고 한국어 발음 교육과 관련된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하였다. 최근에는 컴퓨터를 활용한 언어 연구에 큰 관심을 가지며, Python 코딩을 통해 더욱 많고 다양한 실험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대용량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언어 현상을 탐구하는 데 주력하고 있으며, TTS(Text-to-Speech) 발음 연구에도 꾸준히 관심을 기울여 왔다. 최근에는 parcelmouth라는 Python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해당 분야에서 새로운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펼치기
박준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 경성대학교 한문학과 명예교수
펼치기
등응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주하이 미디어그룹(珠海傳媒集團(廣播電視臺)) 고급 엔지니어 퇴직
펼치기
하화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정주대학교(鄭州大學) 문학원(文學院), 중화한자문명연구센터(中華漢字文明?究中心) 교수
펼치기
온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정주대학교(鄭州大學) 문학원(文學院), 중화한자문명연구센터(中華漢字文明?究中心) 교수
펼치기
이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항주전자과기대학 국제중문전파학과 강사
펼치기
이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정주대학교(鄭州大學) 문학원(文學院), 중화한자문명연구센터(中華漢字文明?究中心) 박사과정
펼치기
장앵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정주대학교(鄭州大學) 국제교육대학 박사 과정
펼치기
정흠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정주대학교(鄭州大學) 문학원(文學院), 중화한자문명연구센터(中華漢字文明?究中心) 박사과정
펼치기
진덕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정주대학교(鄭州大學) 외국어와 국제관계대학 박사후연구원, 응우옌빗타인대학 외국어대학 강사
펼치기
황시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정주대학교(鄭州大學) 문학원(文學院), 중화한자문명연구센터(中華漢字文明?究中心) 박사과정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