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일본에서의 시경학사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일어일문학
· ISBN : 9791167428967
· 쪽수 : 600쪽
· 출판일 : 2025-04-30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일어일문학
· ISBN : 9791167428967
· 쪽수 : 600쪽
· 출판일 : 2025-04-30
책 소개
각 시대에 《시경》에 관한 서적이 언제, 누구에 의해, 어떻게 일본에 전해질 수 있었는지, 어떠한 사람들이 어떻게 사용하였는지, 정치, 교육, 문학 등의 항목으로 나누어 논하였으며, 또한 《시경》에 관한 서적이 어느 정도 있었는가 등을 규명한다.
일본에서의 시경학사
《詩經》은 중국뿐만 아니라 수많은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어 세계 각지에서 시경학(詩經學)이 형성되어 왔다. 본서는 그중에서 일본의 시경학을 주된 대상으로 삼아, 일본에서 《시경》이 고대부터 현대까지 대체로 어떻게 수용되었고 발전되었는가에 대해 역사적인 측면에서 논술을 시도한 것이다.
그리하여 우선 일본의 시대를 고대, 중세, 근세, 근현대 이렇게 넷으로 나누어 각각을 한 장으로 삼았다. 각 시대에 《시경》에 관한 서적이 언제, 누구에 의해, 어떻게 일본에 전해질 수 있었는지, 어떠한 사람들이 어떻게 사용하였는지, 정치, 교육, 문학 등의 항목으로 나누어 논하였으며, 또한 《시경》에 관한 서적이 어느 정도 있었는가 등을 규명한다. 《시경》 관계 서적의 양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일본 고대의 서적 목록서에 수록되어 있는 것 및 중세 이후에 조선이나 중국으로부터 전래된 것, 일본 학자가 훈점이나 교정 등을 한 서적 등의 숫자를 여러 목록서로부터 찾아내어 통계분석을 시도했다. 또한 가능한 한 그러한 서적의 저작연도·저자·권수 등의 서지정보를 명기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시경학이 일본에 전파된 상황을 명확히 밝히고자 한다.
《詩經》은 중국뿐만 아니라 수많은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어 세계 각지에서 시경학(詩經學)이 형성되어 왔다. 본서는 그중에서 일본의 시경학을 주된 대상으로 삼아, 일본에서 《시경》이 고대부터 현대까지 대체로 어떻게 수용되었고 발전되었는가에 대해 역사적인 측면에서 논술을 시도한 것이다.
그리하여 우선 일본의 시대를 고대, 중세, 근세, 근현대 이렇게 넷으로 나누어 각각을 한 장으로 삼았다. 각 시대에 《시경》에 관한 서적이 언제, 누구에 의해, 어떻게 일본에 전해질 수 있었는지, 어떠한 사람들이 어떻게 사용하였는지, 정치, 교육, 문학 등의 항목으로 나누어 논하였으며, 또한 《시경》에 관한 서적이 어느 정도 있었는가 등을 규명한다. 《시경》 관계 서적의 양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일본 고대의 서적 목록서에 수록되어 있는 것 및 중세 이후에 조선이나 중국으로부터 전래된 것, 일본 학자가 훈점이나 교정 등을 한 서적 등의 숫자를 여러 목록서로부터 찾아내어 통계분석을 시도했다. 또한 가능한 한 그러한 서적의 저작연도·저자·권수 등의 서지정보를 명기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시경학이 일본에 전파된 상황을 명확히 밝히고자 한다.
목차
1장 고대의 시경학(~1192)
제1절 야마토·나라 시대(~794)
제2절 헤이안 시대(794~1192)
제3절 소결(小結)
2장 중세의 시경학(1192~1603)
제1절 가마쿠라 시대(1192~1333)
제2절 무로마치 시대(1336~1573)
제3절 아즈치 모모야마 시대(1573~1603)
제4절 소결(小結)
3장 근세의 시경학(1603~1868)
제1절 에도 초기 출판사업의 배경
제2절 조선판 《시경》의 전래
제3절 번교(藩校)의 시경학
제4절 중국에서 전래된 《시경》 관련 저작
제5절 일본학자의 《시경》 관련 저작
제6절 소결(小結)
4장 근현대의 시경학(1868~2010)
제1절 정리 방법
제2절 저·역자(著·譯者)의 경우
제3절 시경학 연구 내용의 경우
제4절 출판 기관의 경우
제5절 출판 연도의 경우
제6절 소결(小結)
결론(結論)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