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직업으로서의 PD

직업으로서의 PD

(어느 방송국 프리랜서 PD의 고백)

정영택 (지은이)
하모니북
17,6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840원 -10% 0원
880원
14,960원 >
15,840원 -10% 0원
카드할인 10%
1,584원
14,256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4개 8,79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2,000원 -10% 600원 10,200원 >

책 이미지

직업으로서의 PD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직업으로서의 PD (어느 방송국 프리랜서 PD의 고백)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취업/진로/유망직업 > 국내 진학/취업
· ISBN : 9791167471901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24-07-05

책 소개

저자 정영택 PD는 음지에서, 창작의 보람이란 어정쩡한 이유에 사로잡혀, 그것도 20년간 영상 제작을 이어온 프리랜서 PD다. 이 책에는 그동안 알 수 없던 프리랜서 PD 이야기. 영상을 만들며 울고 웃었던 그의 청춘 기록이 담겨 있다.

목차

프롤로그|가장 보통의 피디 · 004

EP1. 피디로서의 일상
1. 방송국 입성 · 012
2. 도토리 찾기 · 021
3. 자해 공갈단 · 029
4. 짜고 치는 고스톱 · 037
5. 여배우의 초코파이 · 045
6. 야동의 성지 · 052
7. 곤조의 추억 · 058
8. 모두 각자의 싸움을 하고 있다 · 070
9. 방송은 나가야지 · 078
10. 노동부에 신고를 당했다 · 085
11. 질기고 지독한 증명 · 091
12. 찐따의 프라이드 · 100
13. 과정의 희열 · 106
14. 사수 없는 축복 · 115
15. 빌런 피디 · 121
16. 잘하는 일, 원하는 일 · 131
17. 10년을 했는데, 적성에 안 맞아 · 136
18. 유튜브 구독자 23만 명 만든 썰 · 144
19. 대치동 일타강사 · 151

EP2. 직업으로서의 피디
20. 피디와 헤어 디자이너의 공통점 · 160
21. 돈 아직도 못 받았어? · 167
22. 171의 혈압 · 171
23. 최애의 아이 · 178
24. 뽀빠이의 탄식 · 184
25. 왜 명문대를 가야 되느냐 · 192
26. 직업으로서의 피디 · 198

에필로그|행운을 빌어요 · 206

저자소개

정영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글 읽는 게 좋았고, 음악 듣는 게 좋았다. 그러다 보니 글과 음악을 다루고 싶어졌고, 이 모든 게 가능한 건 영상이라는 사실을 알아버렸다. 그래서 2005년, MBC <뽀뽀뽀>를 시작으로, 방송 연출이란 기나긴 여정을 떠났다. 밤낮이 없거나 바뀌거나 둘 중 하나였던 20년간, FD·조연출을 거쳐 PD에 이르며 어쩌면 들어봤거나 아닌 다수의 교양·예능 방송 프로그램을 연출했다. 에세이집 《직업으로서의 PD》를 썼다. 브런치 brunch.co.kr/@jeongpd
펼치기
정영택의 다른 책 >

책속에서



피디라는 직업을 알게 된 건 고교 시절, MBC 시트콤 <남자 셋 여자 셋>을 통해서였다. TV 프로그램을 만드는 사람을 피디라고 부르는구나. 피디가 되려면 저렇게 신방과에 가야 하는구나. 그땐 스마트폰도, 유튜브도 없던 시절이었으니 그게 다였다. 다른 정보가 없었다. 진심으로 피디라는 직업을 원하게 됐을 때도, 나는 그들에 대해 아무것도 알 수가 없었다. 방송국 피디는 그들만의 리그였고, 나는 그 세계가 궁금했다. 알 수 없으니 동경했고, 그들만의 리그에서 뛰고 싶은 마음도 커져갔다. 결국, 조금은 이른 나이에 프리랜서 연출부로 방송국에 발을 들였다. 그렇게 세월은 흘렀고, 시대는 변했다. 설명할 필요도 없이, 이젠 모두가 피디라는 직업에 친숙하다. 어느 매체에서나 스타 피디들에 대한 정보가 넘쳐나고, 누구나 마음만 먹으면 스스로 영상을 만드는 피디가 되는 세상이 됐다. 하지만, 변하지 않는 것도 있다. 바로 피디들의 삶이다.

매체, 플랫폼, 제작 방식, 제작 도구 등의 격변에도, 지난 20년간 내가 본 피디들의 삶은 변하지 않았다. 그들은 예전에도 지금도, 한 편의 영상을 만들기 위해 여전히 같은 고민을 하고, 해답을 찾아 밤을 지새운다. 피디라는 직업의 무엇이 그들을 하얗게 불태워버릴까? 화려한 조명이 감싸주지 않는 그들의 진짜 삶은 어떤 걸까? 이건 내가 피디라는 직업을 원했을 때, 가장 궁금했던 것이기도 하다. 하지만 지금도 그 답은 찾기 쉽지 않다. 제작 방식이나 제작 도구에 관한 학습 정보는 차고 넘치지만, 피디들의 진짜 삶에 대한 정보는 국한돼있다. 매체는 언제나 극단적으로 성공하거나 실패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전달하려는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2023년 방송통신위원회의 통계를 보면, 방송사 제작 인력 10명 중 6~7명이 비정규직 프리랜서란다. 성공한 소수 스타 피디의 이야기는 다수의 삶을 반영하기 어려울 테다. 그래서 생각했다. 보잘것없지만, 시작부터 프리랜서 피디로 지내온 나의 이야기를 누군가는 듣고 싶지 않을까? 필사적으로 피디들의 진짜 삶을 찾아 헤맸었던 어린 날의 난, 분명 지금의 내게 졸라댔을 것이다. 어서 이야기를 해달라고.

- ‘프롤로그 _ 가장 보통의 피디’ 중에서


‘MBC <뽀뽀뽀> FD 구인’
뭐지, 왜 이런 게 여기 있지. 그때만 해도 방송국은 뭔가 특별한 루트로 들어간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왜 이런 공고가 이질감 넘치게도, 주유소랑 롯데리아 사이에 껴있는 거지? FD는 피디가 아니라 그런가. 학교에서 FD는 플로어 디렉터라고 배웠는데, 촬영 날 스튜디오에서 잔심부름하는 주유소 알바급의 심부름꾼을 구하나 보다. 입대 전 아르바이트했던 촬영장에서의 경험을 떠올리며 생각했다. 뭐, 어때. 여기서 방학 동안 번 돈으로 아카데미 가서 피디 과정을 밟아야겠다! 용기 내 지원했고, 면접 일정이 잡혔고, 여의나루역에 내렸다. 탁 트인 한강과 <남자 셋 여자 셋>을 만든 MBC가 눈에 들어왔다. 조금 설레왔다. 하지만 그 건물이 아니라 했다. 전달받은 주소는 MBC와 몇 블록 떨어져 있는 건물이었다. 엘리베이터에서 내려 안을 들어가니 넓은 사무실에 파티션으로 대여섯 공간이 나뉘어 있었고, 사람들이 있었다. 쭈뼛대며 <뽀뽀뽀>를 찾아왔다고 하니 누군가 안쪽을 가리켰다. <뽀뽀뽀> 팀은 파티션 구역이 아닌 구석진 방을 쓰고 있었다. 노크하고, 문을 열고 - 피디인 줄 알았으나 조연출이었던 - 한 여자에게 면접을 봤다.

“영상 일은 해본 적 있어요?”
“입대 전에, 학교에서 근로학생으로 영상 제작업체에서 일했었습니다.”
“휴학 가능해요?”
“네, 가능합니다….”
방학 동안만 일할 생각이지만 일단은 붙은 다음의 일이니까 거짓말했다. 방송국 첫 면접은 그렇게 10분도 안 돼서 끝났다. 그리고 그날 밤 문자가 왔다.
“영택 씨, 합격하셨고요. 월요일 오전 8시까지 오세요.”
- ‘방송국 입성’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7472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