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67914118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23-08-21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한문학
저문 산 어두운 연기에 물은 길기만 하고
한시(漢詩)에 나타난 부평과 계양
1. 머리말
2. 특정 지역으로 들어오며
3. 지역에 머물며
4. 지역을 떠나며
5. 결론
김용(金涌)이 부평 떠나며 지은 노래 13장(富平歌十三章)
1. 머리말
2. 사림파 도학자로서의 김용의 가치 지향
3. 부평 경험이 계기된 경우들
4. 결론
현대 시조
눈을 감고서는 아무리 무엇을 찾으려 해도 보이는 법이 아닙니다
최성연의 인천 시조(時調)에 대하여
1. 머리말
2. 소안의 시조관(時調觀)
3. 인천 시조들
4. 결론
소안 시조의 현대 시조 문학사적 위상
1. 머리말
2. 생활 시인의 시조관(時調觀)
3. 시조 쓰기의 변모 과정과 현실 인식
4. 소안 시조의 위상
5. 결론
설화
고갯길 넘어서기 전에 목마름을 해소할 수 있는 샘물은 너무나 고마운 대상이다
연수구 설화의 유형과 특징
1. 머리말
2. 연수구 설화의 유형
3. 연수구 설화의 특징
4. 결론
소재의 확장
인천이라 제물포 살기는 좋아도
수로(水路) 부인, 물길 부인 - 지명을 이해하는 한 방법
젊은이 늙은이 마음껏 놀아보세 - 능허대 풍경
인천 갑부(甲富) 이야기, 「김부자전(金富者傳)」
신미양요 150주년 즈음에
모찌떡 하나 못 먹고 죽은 처녀 – 인천 지방 유행 동요
인천 권번 출신의 트롯(Trot) 가수
인천 개항장의 거지(걸인, 乞人), 채동지(蔡同志)
지속 가능한 섬을 위하여 - 인천팔경과 섬[島]
섬 정책과 조이불망(釣而不綱)
꿈같은 대청도 근해의 고래잡이- 신화처럼 소리치는 고래 잡으러
조강(祖江)의 물이 서해 5도의 어장으로 흘러
하천(河川)이 살아야 도시가 산다
솔개의 아직도 못다 한 사랑
저자의 집필 도서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