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시조집
· ISBN : 9791167970107
· 쪽수 : 278쪽
· 출판일 : 2021-10-12
책 소개
목차
시조선집을 엮으면서 4
제1부 고향서정
촛불 16 │ 내 고향 하동 17 │ 고향 서정 (1) 18
고향 서정 (2) 19 │ 고향 서정 (3) 20 │ 고향 서정 (4) 21
고향 서정 (5) 22 │ 고향 서정 (6) 23 │ 고향 서정 (7) 24
고향 서정 (8) 25 │ 고향 서정 (9) 26 │ 고향 서정 (10) 27
목격 1 28 │ 목격 2 29 │ 목격 3 30 │ 목격 4 31
목격 5 32 │ 목격 6 33 │ 목격 7 34 │ 목격 10 35
제2부 초록단상
당신은 38 │ 시조의 노래 39 │ 임진강 갈꽃 40 │ 느티나무 41
작은 소망 42 │ 입춘 무렵 43 │ 그믐밤 소고(小考) 44
초록 단상 45 │ 병실에서 46 │ 하일점경(夏日點景) (1) 47
하일점경(夏日點景) (2) 48 │ 은하(銀河) 49 │ 나목 50
경칩 단상(驚蟄 斷想) 51 │ 청명절(淸明節)에 52 │ 숲길에서 53
발치애감(拔齒哀感) 54 │ 기로(岐路)에 서서 55
석양의 별루(夕陽의 別淚) 56 │ 건망증 1 57 │ 장미의 계절에 58
한강 59 │ 홍수 이후 60 │ 6월에 61 │ 무계(無計) 62
어느 인생 63 │ 풀섶에서 64 │ 춘설(春雪)에 붙여 65
변경(邊境)의 꽃 66 │ 어떤 자전거 67 │ 자갈치에서 68
제3부 삶의 궤적
어느 일기장 72 │ 삶 73 │ 빈 얼레 74 │ 낙엽 지는 날 75
과원(果園)에서 76 │ 밤 귀뚜리 77 │ 초동(初冬)의 장(章) 78
심안(心眼)의 장(章) 79 │ 색안경 80 │ 산곡(山谷)에서 81
환상(幻想) 82 │ 선풍기 곁에서 83 │ 모시적삼 84
강우기(降雨期) 85 │ 모정(母情) 86 │ 나의 수레는 87
광장의 노인(廣場의 老人) 88 │ 백암온천에서 89 │ 해바라기 90
예감(豫感) 91 │ 솔 92 │ 산정(山情) 93 │ 사모곡(思母曲) 94
상사리 96 │ 청개구리 97 │ 실안개 추상(追想) 98
고향 눈 99 │ 홀로 별 100 │ 서천(西天) 달 101
제4부 길을 걷다가
설날 아침에 104 │ 친구를 만나고 105 │ 동창회 점경(點景) 106
저문 날의 단상(斷想) 107 │ 전언(傳言) 108 │ 그 사람은 (1) 109
그 사람은 (2) 110 │ 그 사람은 (3) 111 │ 그 사람은 (4) 112
지하도를 지나며 113 │ 길을 가다가 (1) 114 │ 길을 가다가 (2) 115
재두루미 116 │ 회감(悔感) 117 │ 해변에서 118 │ 바닷가에서 119
선유도 편상(仙遊島 片想) 120 │ 조약돌 121 │ 물빛 연정(戀情) 122
강변서정(江邊抒情) (1) 123 │ 강변서정(江邊抒情) (2) 124
강변서정(江邊抒情) (3) 125 │ 강변서정(江邊抒情) (4) 126
강변서정(江邊抒情) (5) 127 │ 강변서정(江邊抒情) (6) 128
강변서정(江邊抒情) (7) 129 │ 애가(哀歌) 130 │ 처녀상(處女像) 131
여정(餘情) 132 │ 기다림 133 │ 동화(同化) 134
회신(回信) 135 │ 눈이 내리면 136 │ 경칩에 137
제5부 요즘의 닭은
퇴직 이후 140 │ 거울을 보며 141 │ 눈길에서 142
탐석기(探石記) 143 │ 와석리 소묘(臥石里 素描) 144
오봉산 자락에서 145 │ 설생도(雪生道) 146 │ 닮은 꼴 147
끽다송(喫茶頌) 148 │ 할매섬 할배섬 149 │ 바위 2 150
한촌 소묘(閒村 素描) 151 │ 송하(松下) 이미지 152
봄은 와도 153 │ 백매(白梅) 154 │ 봄이 오는 길목에서 155
휴전선의 복수초(福壽草) 156 │ 밤의 회상 157 │ 상황(狀況) 158
요즘의 닭은 159 │ 허준 생각 160 │ 눈 내리는 밤에 161
이변(異變) 162 │ 소나기 163 │ 우후증(雨後症) (1) 164
우후증(雨後症) (2) 165 │ 낙엽고(落葉考) 166
관악 단풍을 보며 167 │ 전철에서 168 │ 뉴스 유감(有感) 169
제6부 분계선(分界線)의 꽃
분재원(盆栽園)에서 172 │ 제방(堤防)에서 173 │ 2월 창밖에선 174
분계선(分界線)의 꽃 175 │ 춘뢰후경(春雷後景) 176
섬진강 변주 177 │ 여치의 가을 엽서 178 │ 나목(裸木)은 179
강화 고인돌 180 │ 낚시 백서(白書) 181 │ 덕수궁 부엉이 182
고궁(古宮)에서 183 │ 태종대 운(韻) 184 │ 폐선(廢船) 185
산의 몸짓 186 │ 신 노들강변 187 │ 등잔불 188
한 그루 옥수수 189 │ 시계바늘 190
동구릉(東九陵) 단상(斷想) 191 │ 허수아비 192
벽(壁) 앞에서 193 │ 어둠을 깔고 194 │ 조가(鳥歌) 195
귀향초(歸鄕抄) 196 │ 조춘야상(早春夜想) 197 │ 증언(證言) 198
제야(除夜)에 199 │ 서울 장승 200 │ 변계(邊界)에서 201
제7부 곡 없는 반가
산마을에서 204 │ 유심초(有心草) 205 │ 내 마음의 무궁화 206
천한(天寒)에 듣다 207 │ 눈 오는 밤에 208 │ 예감(豫感) 2 209
곡(曲) 없는 반가(返歌) 210 │ 환(幻). 그리고 울림 211
예비(豫備)의 몸짓 212 │ 어머니 생각 213 │ 어느 날 문득 214
아내의 당부 215 │ 눈 오는 제야(除夜)에 216 │ 겨울 해변에서 217
청명절(淸明節)에 218 │ 탄생의 순간 219 │ 보라 꿈 220
심회(心懷) 221 │ 마른 꽃대 222 │ 바위 223
세계평화의 종 공원에서 224 │ 율곡산방 초(栗谷山房 抄) 225
소인(消印) 없는 엽서 226 │ 新 매화타령 227 │ 눈 오는 4월에 228
조춘 소묘(早春 素描) 229 │ 새해 벽두에 230
풀빛 단상(斷想) 231 │ 들꽃 단상(斷想) 232 │ 할미꽃 233
고송 운(孤松 韻) 234 │ 겨울 담쟁이 235 │ 바위섬 236
바위의 말 237 │ 나팔꽃 238 │ 한계령 단풍 239
하조대 해송(河趙臺 海松) 240
제8부 시공(時空)을 되감으며
아닌 밤중에 244 │ 시정 점묘(市井 點描) 245 │ 갯가에서 246
태안반도에서 247 │ 가을에 1 248 │ 가을에 2 249
비 오는 봄날에 250 │ 때때로 251 │ 풍취(風趣) 252 │ 볼거리 253
초가을 점묘(點描) 254 │ 해토머리 단상(斷想) 255 │ 고소성에서 256
봄 앓이 257 │ 아마도 258 │ 홍수 유감(洪水 有感) 259
귀뚜리 우는 밤에 260 │ 시공은 덧없어도 261 │ 의문 262
핑계 263 │ 들길에서 264 │ 진풍경 265 │ 호돌이 266
일막 이장(一幕 二場) 267 │ 허수아비 수상 268 │ 적적한 날 269
모르긴 해도 270 │ 허허! 참 271 │ 미련 272
약력 2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