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미래를 읽는 최소한의 과학지식

미래를 읽는 최소한의 과학지식

(젊은 과학자들이 주목한 논문으로 시작하는 교양과학)

최지원, 정유진, 박홍재, 서호규, 이원재, 염민규, 이기현, 신안나, 김은솔, 배장원, 이정현, 박준후, 이주송, 조윤식, 김세희, 이성선, 김영혜, 구준모 (지은이)
가나출판사
18,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650원 -10% 0원
920원
15,7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2,950원 -10% 640원 11,010원 >

책 이미지

미래를 읽는 최소한의 과학지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미래를 읽는 최소한의 과학지식 (젊은 과학자들이 주목한 논문으로 시작하는 교양과학)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수학/과학
· ISBN : 9791168090460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22-09-28

책 소개

교과서 속 과학을 넘어 현재의 과학이 어떻게 나아가고 있는지와 일상 속에 어떤 과학이 숨어 있는지 산업혁명 최전방에 있는 17인의 젊은 과학자와 과학기자가 전하는 생생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목차

들어가며 시작된 미래, 무엇을 준비할 것인가

01 바이러스의 치열한 생존기, 인류의 역사가 되다
01 바이러스의 치열한 생존기, 인류의 역사가 되다 _ 바이러스

02 유전자 혁명, 신의 영역에 도전하다
01 신의 영역, 유전자에 도전하다 _ 크리스퍼
가능성의 이야기들_정상과 비정상에서 벗어나다
02 인간이 설계한 생물이 탄생하다 _ 합성생물학
03 나의 경험도 유전된다 _ 후성유전학

03 암은 정말 불치의 병인가
01 우리 몸을 지키는 면역세포로 암을 고친다! _ 면역항암제
02 생명의 혁명, 암 환자를 위한 미니 아바타 _ 오가노이드
03 비만에서 행동까지, 나를 결정하는 숨은 지배자 _ 장내미생물

04 우리 뇌는 어떻게 작동할까
01 빛으로 뇌를 지배한다 _ 광유전학
02 이세돌을 이긴 알파고의 공부법 _ 인공지능
03 세상의 모든 정보를 모아 세상을 바꾼다 _ 빅데이터

05 산업의 판도를 바꾸다
01 컴퓨터의 새로운 패러다임 _ 양자컴퓨터
가능성의 이야기들_양자 가능성, 그 다음을 보다
02 우리 사회를 하나로 연결하는 기술 _ 블록체인
03 0.3nm의 그래핀 한 층, 전자업계를 흔들다 _ 그래핀
04 세상에서 가장 작은 움직임을 만들다 _ 분자기계

06 에너지, 지구를 지킬 남다른 가능성을 찾다
01 ‘콘센트 좀비’가 되지 않는 가장 현명한 방법 _ 이차전지
02 전기를 만들어 내는 나뭇잎, 태양빛을 흡수하다 _ 인공광합성
03 플라스틱으로 오염된 지구를 살려라! _ 바이오플라스틱

참고문헌

저자소개

김은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에서 인공지능을 전공하고 박사학위를 받은 뒤, 한양대학교 컴퓨터소프트웨어학부 조교수로 있다. 주로 비디오와 같은 멀티모달 데이터를 이해하는 기계학습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이미지와 소리, 언어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를 학습하여 그 주제나 내용을 자동으로 분석하고 이를 활용하여 비디오 검색, 질의응답, 생성을 할 수 있는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최지원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강 대학교 컴퓨터 공학과를 졸업해 동아사이언스에서 약 5년간 《과학동아》를 만들었다. 이후 《한국경제신문》에서 바이오 산업을 취재했으며, 현재는 《동아일보》에서 과학 및 제약 바이오 분야를 취재하고 있다. 새롭게 개발되는 공학 기술 전반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
펼치기
김영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홍익대학교에서 동양화를 전공하고 프랑스 디종 보자르에서 아트를 공부했다. 지금은 아이들과 성인을 대상으로 미술을 지도하며 그림 작업을 하고 있다. 그린 책으로는 《도자기에 핀 눈물꽃》, 《광릉숲의 비밀》, 《꿈과 마음이 담긴 집 몽심재》 등이 있다.
펼치기
정유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박사과정을 마친 후 유전체교정연구단에서 선임연구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를 이용하여 인간 질병을 동물에서 재현해 병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반대로 유전자 가위를 통하여 치료하는 방안 또한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박홍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계산및합성생물학 연구실에서 박사과정을 밟은 후 체코국립과학원에서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DNA를 읽고, 쓰고, 고치는 분자적 기법을 균류에 적용해 균류 유전체의 특성을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서호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과학대학원에서 박사과정을 밟았다. 박사과정을 밟는 동안에는 크로마틴연구실에서 프로테아좀 단백질이 지닌 후성유전학적 성질을 연구했고, 현재는 미국 클리브랜드 클리닉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바이러스 단백질을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이원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박사과정을 마치고 미국 앰디 앤더슨 암센터에서 인스트럭터(Instructor)로 재직 중이다. 난소암의 복강 내 전이 매커니즘에 관련된 암세포와 면역세포 간의 상호 작용을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염민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의 줄기세포연구소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생쥐 유전 모델과 오가노이드 그리고 수학적 모델링을 활용하여 대장암 발생 과정에서 암세포와 주변 정상세포 간의 상호작용을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이기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생명과학을 전공으로 박사과정을 밟았으며, 이후 중앙대학교 시스템생명공학연구실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했다. 현재는 CJ 바이오사이언스 바이오-디지털 플랫폼 센터에서 선임연구원으로 있으며 인체 마이크로바이옴에서 신약 후보 균 또는 물질을 발굴하는 연구를 가속화하기 위한 생명정보 플랫폼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펼치기
신안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과학기술원 행동유전학연구실에서 박사과정을 완료 후 인테그로메디랩에서 신경과학을 활용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박사과정 동안 주로 광유전학 기법을 이용해 우울증이나 파킨슨병과 같은 질병이나 동물의 본능적 행동의 원리를 연구했다.
펼치기
배장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과학기술원에서 산업및시스템공학과 박사과정을 마치고 현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업경영학부 조교수로 있다.
펼치기
이정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에서 물리학 박사과정을 마치고 현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차세대반도체연구소 양자정보연구단에서 선임연구원으로 있다. 미시세계의 원자의 움직임에 매료되어 양자컴퓨터, 양자정보를 포함한 원자물리학에 전반적으로 관심이 많으며 현재는 다이아몬드 내 점결함 큐비트를 이용한 양자컴퓨터 개발에 힘쓰고 있다.
펼치기
박준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남대학교 컴퓨터공학과에서 박사과정을 마치고, 아이오트러스트에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근무하고 있다. 블록체인 환경의 프라이버시 보호, 스마트 컨트랙트 오라클, 사용자 키 관리와 같은 블록체인 전반의 기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를 하고 있다.
펼치기
이주송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기능성복합소재연구센터에서 박사과정을 밟고 있다. 그래핀뿐만 아니라 원자 크기의 고유의 독특한 성질을 지닌 2차원 소재를 합성 및 분석을 통해 성능을 개선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주로 반도체, 부도체 특성을 나타내는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계물질(TMDs) 및 육방정 질화붕소(h-BN)를 화학기상증착법을 통해 단결정으로 합성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펼치기
조윤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지능형 유도조합체 연구단과 멀티스케일 에너지과학연구실에서 공동으로 박사과정을 마치고 현재 기업 연구소에 재직 중이다. 고분자 사이에서 발생하는 초분자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새로운 광학 소재 또는 이차전지 소재 등을 개발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펼치기
김세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울산기술과학원(UNIST)에서 배터리과학및기술 전공 박사학위를 취득한 뒤 LG화학을 거쳐 현재 한국화학연구원 에너지소재연구센터에서 선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프린팅 기법을 이용한 다형상 고안전성 전고체 리튬이온전지를 연구했으며, 차세대 이차전지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펼치기
이성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울산기술과학원에서 배터리과학및기술 전공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한국세라믹기술원 박사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프린팅 기법을 활용하여 원하는 사물 위에 다양한 모양으로 만들 수 있는 고체상 슈퍼 커패시터를 연구했으며, 현재 차세대 전지 개발을 위해 힘쓰고 있다.
펼치기
구준모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유기나노공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마친 후, 한국화학연구원을 거쳐 스웨덴 KTH 왕립공과대학교에서 박사후연구원 생활을 하였으며, 현재 한국화학연구원 바이오화학연구센터 선임연구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바이오매스 기반의 단량체를 활용하여 일상생활에서도 활용 가능한 생분해성 플라스틱 소재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고분자 중합, 구조 물성 분석, 생분해에 걸친 전주기 평가 연구로 확장하고 있다. 토양 및 퇴비 환경과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관계에 매우 큰 관심을 갖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정부의 연구개발(R&D) 예산이 처음으로 30조 원을 넘어섰습니다. 정부가 이토록 많은 돈을 과학기술에 투자하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과학기술이 곧 그 나라의 경쟁력이기 때문입니다. 과거 영국이 산업혁명을 통해 세계적인 경제 강국이 된 것처럼, 우리나라를 포함한 전 세계의 나라들은 또 한 번의 산업혁명을 일궈 내고자 소리 없는 전쟁을 치르고 있습니다.
- 「들어가며_시작된 미래, 무엇을 준비할 것인가」 중에서


1세대, 2세대 유전자 가위 모두 훌륭한 기술이었지만, 새로운 유전자를 연구할 때마다 그에 맞는 유전자 가위를 새로 설계하고 만들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었습니다. 다시 말하면 책에서 고치고 싶은 단어가 생길 때마다 그에 맞는 가위를 하나하나 설계해야 하는 것과 같습니다. 과학자들은 원하는 단어를 모두 잘라 낼 수 있는 범용 가위를 만들고자 했습니다. 이 가위가 바로 ‘크리스퍼(CRISPR; Clustered Regularly Interspaced Short Palindromic Repeats)’입니다.
- 「02장 01 신의 영역, 유전자에 도전하다_크리스퍼」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80909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