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교육/학습 > 독서/작문 교육
· ISBN : 9791168272798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25-02-13
책 소개
목차
[추천사]
[프롤로그] 느린 아이와 20년간 살면서 깨달은, 읽고 쓰기의 필요성과 즐거움
[읽기 전에] 우리 아이도 느린 학습자일까?
ㅡ 1부. 느린 학습자의 문해력 이해하기 ㅡ
1장. 문해력 불안의 시대, 느린 아이의 문해력
“문해력이 중요하다는데, 내 아이는 괜찮은 걸까요?”
남들보다 느린 아이는 이렇게 읽고 씁니다
‘느린 아이를 위한’ 문해력은 새로운 정의가 필요합니다
느린 아이 부모를 위한 문해력 지도 6계명
2장. 부모가 챙겨야 할 문해력 기본기
글 읽기 유창성
어휘력
책대화
생활문해력
글쓰기
ㅡ 2부. 부모와 아이를 위한 문해력 활동 39 ㅡ
01. 낱말 유창성을 연습해요
02. 무의미 단어를 읽어요
03. 어른의 모범독을 따라 읽어요
04. 띄어 읽기를 연습해요
05. 반복해서 읽어요
06. 기발하고 아름다운 동시를 읽고 써요
07. 이야기를 순서대로 정리해요
08. 인물의 성격과 마음을 짐작해요
09. 학습만화나 영상을 활용해요
10. 쉽게 쓰인 글을 읽어요
11. 게임으로 추론을 배워요
12. 말한 내용을 그대로 글로 써 보아요
13. 글 다림질을 연습해요
14. 바른 자세로 글씨를 써요
15. 손가락의 힘을 키워요
16. 받아쓰기와 친해져요
17. 다양한 방법으로 재미있는 받아쓰기를 해요
18. 문장 쓰는 방법을 익혀요
19. 일기를 써요 ① 일기 쓰기가 어려운 네 가지 이유
20. 일기를 써요 ② 일기 쓰기를 함께 해요
21. 그림을 보고 육하원칙에 맞게 말하고 써요
22. 쉬운 설명문을 써 보아요
23. 생각그물을 활용해 글감을 찾고 글을 써요
24. 나와 관련된 글을 써 보아요
25. 아플 때를 위한 생활문해력 ① 병원에 가요
26. 아플 때를 위한 생활문해력 ② 약을 먹어요
27. 간단한 조리법을 읽고 음식을 만들어요
28. 생활과 관련된 시간/날짜 개념을 익혀요
29. 이곳저곳에 읽을거리를 붙여요
30. 직접 영화표를 예매하고 보러 가요
31. 관심 있는 것에 관해 읽고 써요
32. 체험학습 보고서를 직접 써요
33. 우리 가족의 문화를 만들어요
34. 어휘 게임을 해요
35. 학습도구어와 교과 어휘를 챙겨요
36. 사전 찾는 방법을 익혀요
37. 어휘의 뜻을 추론해요 ① 단서를 찾아요
38. 어휘의 뜻을 추론해요 ② 그래픽 조직자를 그려요
39. 그림책을 읽고 어휘와 문장을 익혀요
[에필로그] - 느린 학습자와 함께하는 모든 부모를 응원하며
[부록] - 느린 학습자의 부모가 참고하면 좋은 사이트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느린 학습자라는 말을 들어 보셨나요? 들어는 봤는데 내 아이가 느린 학습자인지 아닌지 혼란스러우신가요? 느린 학습자에 대한 정의는 기관과 주체에 따라 다양하답니다. 하지만 단어에서도 느껴지듯 공통적으로는 뭔가를 배울 때 속도가 더디고, 한 번에 일정 분량 이상의 내용을 배우지 못한다는 특징을 갖고 있지요. 우리가 잘 아는 지적장애, 자폐성장애, 학습장애 아이들이 다 이런 모습을 보입니다. 그러니 이 아이들은 모두 느린 학습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ㅡ ‘[프롤로그] 우리 아이도 느린 학습자일까?‘
저는 느린 아이들이나 양육자, 센터 선생님들을 대상으로 강의를 합니다. 특히 국어 교과서를 활용한 공부법이나 복습 강좌를 열지요. 다음 학기나 학년이 되기 전에 아이들의 빈 구멍을 메꾸고 가는 작업이 꼭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예전에 2학년 아이들과 1학년 국어 교과서를 복습했던 기억이 나네요. 당시 1학년 국어 교과서에는 〈돌잡이〉라는 지문이 있었습니다. 이 글을 같이 읽고 충분히 대화를 나누며, 새로 알게 된 점을 정리해서 써 보게 했습니다. 그런데 한 아이가 이렇게 쓰더군요. ‘돌잡이’의 ‘돌’이 돌멩이인 줄 알았다는 겁니다. 저는 웃음이 났지만, 엄마 마음은 다르더라고요.
ㅡ ‘1부. 남들보다 느린 아이는 이렇게 읽고 씁니다’
수호는 글자만 읽으면 머리가 지끈거리고 아프다고 투덜댑니다. 핸드폰은 한 시간이 넘도록 꼼짝 않고 하는데 독서는 5분을 넘기기 쉽지 않습니다. 핸드폰 게임을 할 때는 집중력이 나쁜 것 같지 않은데 글만 보면 머리가 아프다니 아무래도 핑계처럼 보입니다. 게임을 할 때와 책을 읽을 때의 수호는 왜 이렇게 다를까요? 그 이유는 읽기의 특징과 관련 있습니다. 읽기는 언뜻 보기에 눈으로 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뇌의 활동입니다. 더군다나 매우 복잡한 처리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수호를 이해하기 위해 뇌의 어떤 부분이 읽기와 관련되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인간만이 가지고 있는 대뇌는 아래 그림처럼 크게 네 부분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ㅡ ‘1부. ‘느린 아이를 위한’ 문해력은 새로운 정의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