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이응수 金笠詩集 小考

이응수 金笠詩集 小考

(이응수 김립시집 소고)

김립 (지은이), 이응수 (엮은이), 문세화 (옮긴이)
북랩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400원 -10% 2,500원
800원
16,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5개 12,4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1,200원 -10% 560원 9,520원 >

책 이미지

이응수 金笠詩集 小考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이응수 金笠詩集 小考 (이응수 김립시집 소고)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시론
· ISBN : 9791168360228
· 쪽수 : 526쪽
· 출판일 : 2021-11-23

책 소개

이응수의 <김립시집>의 현대식 해석 결정판. 김립은 조선팔도 방방곡곡 문전걸식 유랑하며 우리 민족 고유의 정한과 울분을 가슴속 깊이 억누른 채 부패하고 몰락해가는 사회지배층을 통렬한 풍자, 조롱, 희작시로 피 토하듯 질타하며 대놓고 비판한 개혁시인이였으며 저항시인이었다.

목차

책머리에

제1부
김병연, 김삿갓이 되다

1장 | 김삿갓(김립)에 대하여


1. 김삿갓 설화의 발단에 대하여
2. 난고(蘭皐) 김병연(金炳淵)에 대하여
3. 김삿갓이라 불리는 인물의 복수성(複數性)에 대하여
4. 김삿갓과 유사한 삶을 살았던 조선과 외국의 시인들
5. 김삿갓의 방랑 전후 시대적 상황
6. 김삿갓 설화의 구성과 전개

2장 | 김립시집 소고

1. 들어가기 전에
2. 일러두기
3. 김병연(金炳淵) 연보(年譜)
4. 소고(小考)에 부쳐
5. 머리말(頭序)
6. 蘭皐平生詩(난고평생시)
7. 論鄭嘉山忠節死 嘆金益淳罪通于天(논정가산충절사 탄김익순죄통우천)
8. 海藏集, 記金蓑笠事(해장집, 기김사립사)
9. 이응수의 고증(考證)

제2부
金笠詩集 편역

1장 | 들어가며


1. 自序 - 이응수
2. 金笠略譜(김립약보)
3. 家系, 年譜
4. 詳解 金笠詩集 前篇 李應洙 註

2장 | 乞食 篇

1. 이십수하
2. 봉우숙촌가
3. 사각송반죽일기
4. 개성인축객
5. 실제
6. 환갑연
7. 빈음
8. 간음야점
9. 자상
10. 증환갑연노인

3장 | 人物 篇

1. 다수부
2. 나부 1
3. 나부 2
4. 상배자만
5. 가련기시
6. 노파
7. 증기
8. 학성방미인불견
9. 추풍방미인불견
10. 증모녀
11. 가상초견
12. 희증처첩
13. 증노기
14. 조유관자
15. 조연장관자
16. 노음
17. 노인 자조
18. 구루
19. 조지사
20. 진일수두객
21. 조산촌학장
22. 훈계훈장
23. 선인영상
24. 견걸인시
25. 팔대시가

4장 | 詠物 篇 - 其一

1. 영립
2. 관
3. 망건
4. 등화
5. 등
6. 로
7. 영영
8. 음영
9. 염
10. 박
11. 기
12. 연죽 1
13. 연죽 2
14. 직금
15. 목침
16. 요항
17. 연
18. 지
19. 필

5장 | 詠物 篇 - 其二

1. 낙화음
2. 낙엽음
3. 낙엽 2
4. 설중한매
5. 명초
6. 과
7. 태
8. 벌목
9. 빙
10. 설 1
11. 소설경
12. 설경
13. 설일
14. 설 2
15. 설 3

6장 | 動物 篇

1. 계 1
2. 계 2
3. 구
4. 묘 1
5. 영묘
6. 묘 2
7. 어
8. 응
9. 슬
10. 와
11. 조
12. 노우

7장 | 山川樓亭 編

1. 금강산 1
2. 금강산 2
3. 금강산 3
4. 금강산 4
5. 입금강
6. 묘향산
7. 구월산
8. 등함흥구천각
9. 안변표연정 1
10. 안변표연정 2
11. 여조운경상루
12. 화김립
13. 안변노고봉과차음
14. 대동강연관정
15. 등문성암
16. 등광한루
17. 모투강제음
18. 한식일등북루음
19. 개성
20. 관왕묘
21. 간산
22. 유산음
23. 영남술회
24. 청효종

8장 | 雜篇

1. 우음
2. 춘야우음
3. 우감
4. 즉음
5. 자영
6. 자고우음
7. 파자시
8. 경세
9. 간빈
10. 산소소출
11. 출새
12. 마도
13. 상원월
14. 문승
15. 하정주
16. 은사
17. 잡영
18. 사향 1
19. 사신
20. 사향 2
21. 즉경
22. 안혼
23. 추음
24. 화전

9장 | 附錄

1. 김삿갓과 金剛山(금강산)
2. 김립시집 증보판 論評 - 이응수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소개

김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조선 후기(1807~1863)의 방랑시인으로 흔히 김삿갓으로 불리며 본명은 김병연(金炳淵)이다. 당시 세도가문(勢道家門) 안동김씨(安東金氏)였던 그의 조부 김익순(金益淳)은 선천부사(宣川府使)였지만, 순조(純祖) 11년(1811년) 홍경래의 농민반란군에 항복(降伏)하고 모반(謀反)에 협조한 반역죄로 참수(斬首)되어 그의 가문은 폐족이 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된 후 평생 삿갓으로 얼굴을 가리고 전국을 걸식유랑하며 당시 부패·퇴락한 세상을 개탄하는 수많은 희작시(戱作詩)를 조롱과 해학을 섞어 읊은 풍자시인이자 자연주의 방랑시인이다. 평생 자신의 본명인 ‘김병연(金炳淵)’이라는 이름을 쓰길 원치 않았으며, 우리가 흔히 그를 김삿갓이라고 부르게 된 것도 1926년 강효석의 야사집(野史集) 대동기문(大東奇聞) 헌종(憲宗) 篇에 ‘김립(金笠, 김삿갓)’이란 호칭이 언급되면서부터였다. 조선 왕조의 전통적 통치이념인 유교의 인의예지(仁義禮智)와 충효(忠孝) 사상에 얽매이지 않고, 속세(俗世)를 떠돌면서도 탈속(脫俗)한 대승(大乘)적 삶을 살며, 가진 자와 힘 있는 자에게 빌붙어 주눅 든 현학적(衒學的) 선비들과 그들의 ‘공자왈 맹자왈’ 식의 고리타분한 고답적(高踏的) 학문을 비웃으며, 한학자(漢學者)이면서 한시(漢詩) 형식마저 파괴해버린 혁명적·창조적 저항시인이었다. 19세기 봉건적 사회지배구조와 성리학적 윤리와 가치를 독점한 일부 지배계층의 철저한 신분 차별로 마음 놓고 드러내지 못했던 인간의 이성과 감정 등 정신적 내면(內面)세계를 시를 통해서 마음껏 표출한 매월당(梅月堂) 김시습과 연암(燕巖) 박지원과 같이 조선의 문학적 르네상스(Renaissance)의 불씨를 지핀 천재시인으로 평가된다. 1807년 경기도 양주군에서 출생했으며(추정), 1863년 57세의 나이로 전라도 화순에서 사망했다. 본관은 안동(安東)이고, 자(字)는 성심(成深), 호(號)는 난고(蘭皐), 이명(怡溟), 지상(芝祥)이고, 별호(別號)로 김사립(金莎笠), 김대립 등이 있지만 흔히 김삿갓 또는 김립(金笠)으로 불린다.
펼치기
이응수 (엮은이)    정보 더보기
함경남도 고원군에서 1909년에 출생하여 경성제국대학 법문학과를 졸업하였으며 해방 후 월북하였다. 학적부의 성명은 일본명 대공응수(大空應洙)로 되어 있다. 일제강점기 때 천도교 잡지 「개벽(開闢)」의 문예부에서 체계적으로 김삿갓 작품의 자료발굴을 시작하였으나 1926년 일제의 조선어 말살 정책으로 「개벽」이 폐간된 후, 대학 시절부터 김삿갓 작품에 관심이 많았던 이응수가 「개벽」 문예부로부터 김삿갓 자료를 이어받고 전국을 돌아다니며 김삿갓의 시를 추가로 발굴하고 수집하였다. 1939년 2월 학예사에서 『김립시집(金笠詩集)』 초판을 발행하여 총 177수의 시를 수록하였으며, 1941년 총 334수를 수록한 『김립시집(金笠詩集)』 증보판을 발간하였다. 해방 후 그는 월북하였으며 1956년 김삿갓 시에 관한 그의 마지막 작품 『풍자시인 김삿갓』을 평양 국립출판사에서 발간하고 1964년 작고하였다. 원본도 없고 판본조차 구하기 힘든 일제강점기 시절에 이응수가 최초로 『김립시집(金笠詩集)』을 발간한 업적은 크게 평가받는다. 일제의 패망 후 남북한 이념대립이 극심했던 경성대학 재학시절 때부터 우리나라 역사와 문학에 열정을 쏟으며 체계적인 김립 연구를 최초로 시도한 이응수가 무슨 연유로 해방 후 월북했는지는 알려진 바 없다. 그 이유가 어떻든 이응수가 월북하여 1956년에 평양에서 마지막으로 발간한 김립 작품 편역(編譯) 결정판인 『풍자시인 김삿갓』에서 그는 김립에 대한 부정적 평가도 언급한다. 그는 김립(金笠)이 평민사상을 갖고 해학과 풍자로 기존 문학 형식을 파괴한, 우리 문학사에서 중요한 작가로 인정하면서도 북한체제에 대한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어서 그랬는지 김립은 적극적인 투쟁이나 혁명정신이 없었다든지, 피압박 대중을 위해 어떤 대책이나 개혁안을 제시하지 못하였다는 부정적 요소도 언급했다. 그가 남긴 최후의 작품 『풍자시인 김삿갓』은 1964년 실천문학사에서 『正本 김삿갓 풍자시인 전집』이란 이름으로 내용을 그대로 옮겨 발간하게 되어 남쪽의 우리도 볼 수 있게 되었다.
펼치기
문세화 (옮긴이)    정보 더보기
<예수는 자유의 몸이시다>
펼치기

책속에서

‘죽장(竹杖)에 삿갓 쓰고 방랑 삼천리 흰 구름 뜬 고개 넘어가는 객(客)이 누구냐….’ 천재시인 「김삿갓」 노래 가사이다. ‘난고 김병연’이 누군지는 몰라도 ‘김삿갓’ 모르는 사람은 없다. ‘김병연(金炳淵)’이라는 세도가문(勢道家門) 안동김씨(安東金氏)의 본명(本名)이 엄연히 있는데도, 설화 속 ‘김삿갓’이란 인물의 복수성(複數性) 때문인지, 아니면 오랜 세월 그렇게 구전(口傳)되어 내려오다 보니 ‘김삿갓’이란 호칭이 저절로 고유명사처럼 되어버린 것인지 모르지만, 여하튼 우리는 그를 김병연이라 부르지 않고, 김삿갓이라는 보통명사로 흔히 부른다. 조선 후기 19세기 초반 봉건사회의 몰락과 유교 윤리적 가치의 퇴폐로 나라의 삼정(三政)이 극도로 문란해지고 구석구석 썩을 대로 썩어 매관매직, 가뭄, 기근, 농민반란, 도적들로 세상살이가 흉흉할 때, 죽장에 삿갓 쓴 김삿갓이라는 천재시인이 출현한다.


『김립시집(金笠詩集)』 초판과 증보판(1939, 1941)을 편역(編譯)하면서 필자의 주관적(主觀的) 견해와 유추로 나름대로 감상문처럼 덧붙인 말을 ‘첨언(添言)’이라는 형식으로 끼워 넣었다. 첨언 글에 덧붙인 필자의 주관적 견해에 이견(異見)이 있을 수도 있겠지만, 설화 속의 인물이 자신을 ‘김삿갓’이라고 일컬은 적도 없는데 우리는 그를 김삿갓이라는 천재시인 페르소나(persona)로 인식하며 오랜 세월 그의 작품을 사랑하고 이해해 왔듯이, 필자의 주관적 견해에도 독자 여러분의 너그러운 이해가 있길 바랄 뿐이다.


김삿갓을 유랑과객으로 살게 했던 그 원죄(原罪)를 그의 조부 김익순의 대역모반죄에 결부시킨다면 그 죄는 결국 홍경래의 난에 기인한다. 그런데 홍경래의 난은 안동김씨 김조순의 세도정치의 관서지역 차별에 기인하지 않는다고 할 수도 없으니, 동시대 몰락양반의 자손인 홍경래와 김병연은 대면한 적은 없지만 서로 물고 물리는 참으로 기구한 인연을 갖고 태어나, 한 많은 인생을 살다 둘 다 꿈을 이루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다. 홍경래가 ‘西北人勿爲重用(서북인물위중용, 관서지방 사람들은 주요 관직에 등용하지 말라)’이라는 이조의 뿌리 깊은 관서지역 차별 정책으로 인해 오랜 세월 중앙으로부터 소외된 것에 격분하여 일으킨 지방 지배층과 사대부의 반란이지 진정한 의미의 농민혁명이나 민중봉기는 아니라는 평가도 있지만, 홍경래는 기존 봉건시대의 몰락과 변화를 앞당긴 인물이 되었고, 김삿갓은 부패하고 부조리한 사회와 세상을 비판하며 새로운 서민문학의 지평을 열어준 인물로 평가할 수 있다. 신석우가 그의 해장집에서 ‘선비가 세상에 이름을 드높이는 길은 다양하다’라고 언급했듯이(士之播名於世 固非一道, 사지파명어세 고비일도), 김삿갓은 정체된 조선 후기 성리학적 문학 형식과 질서의 틀에서 벗어나 20세기 초 한국의 신문학 시대로 가는 길을 열어준 선구자로 평가됨에 부족함이 있을 수 없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8360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