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68360648
· 쪽수 : 234쪽
· 출판일 : 2021-12-31
책 소개
목차
3학년 1학기 5단원 지구의 모습 - [실감형콘텐츠]
3학년 2학기 3단원 지표의 변화 - [클래스팅]
4학년 1학기 2단원 지층과 화석 - [실감형콘텐츠]
4학년 2학기 4단원 화산과 지진 - [서커스AR(증강현실)]
5학년 1학기 3단원 태양계와 별 - [Solar 3D], [Star Walk 2]
5학년 2학기 3단원 날씨와 우리 생활 - [건습구 습도계2]
6학년 1학기 2단원 지구와 달의 운동 - [달의 위상]
3학년 1학기 3단원 동물의 한살이 -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3학년 2학기 2단원 동물의 생활 - [한국의 조류]
4학년 1학기 3단원 식물의 한살이 - [초록이 매니저]
4학년 2학기 1단원 식물의 생활 - [국가생물종 지식정보시스템]
5학년 1학기 5단원 다양한 생물과 우리 생활 (통합) - [실감형콘텐츠]
5학년 2학기 2단원 생물과 환경 - [실감형콘텐츠]
6학년 1학기 4단원 식물의 구조와 기능 - [서커스AR(증강현실)]
6학년 2학기 4단원 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 - [꿀렁꿀렁 뱃속 탐험(VR)]
책속에서
‘우주’라는 주제는 학생들의 흥미를 느낄 만한 요소가 무궁무진하게 많은데 학생들이 재미없어한다는 것이 안타까웠습니다. 그래서 학생들이 흥미를 느낄 만한 특별한 수업을 준비했습니다.
우주 공간을 직접 경험해볼 수 있다면 가장 좋겠지만, 현실적으로 불가능합니다. 대신 간접적으로나마 VR 콘텐츠로 우주를 체험해보기로 했습니다. 우주 관련 단원은 직접 만져보거나 경험할 수 없어서 특히 VR 콘텐츠 요소 활용에 적합합니다. VR 콘텐츠를 경험하기 위해서는 특정 형식으로 만들어진 앱이나 동영상이 필요합니다.
실제 현실과는 차이가 나지만 학생들의 흥미를 돋우기에는 충분합니다.
4월 중순쯤 4학년 과학 단원은 3단원 식물의 한살이 단원에 들어섭니다. 마침 식물의 한살이를 알아가기에 적당한 봄 날씨입니다.
식물의 한살이 단원은 학생들이 직접 씨앗을 심고 가꾸면서 관찰하는 활동이 많이 이뤄지기 때문에 사전 교육과정 분석 또한 중요합니다. 단원의 특성상 교실 밖으로 나갈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처음 씨앗을 심을 때 학생들은 직접 식물을 심고, 가꾸는 일에서 흥미가 많습니다. 하지만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소수의 학생만 성실히 관찰하고 기록합니다.
꾸준한 관찰이 어렵다는 문제 해결을 위해서 학생들이 꾸준히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관찰일지도 작성합니다. 학생들은 기록하고 쓰는 것을 귀찮게 생각하지만, 스마트기기는 그 자체만으로도 학생들이 너무나 좋아하는 학습 도구입니다.
생명 관련 단원은 [실감형콘텐츠] 앱을 활용하기 가장 좋은 단원입니다. 초등학교 과학 수업이 주로 과학실이나 교실에서 이뤄지다 보니 장소의 물리적 한계 때문에 더욱더 그렇습니다. 교실에서 벗어나기 힘든 현실에서 가상으로나마 체험 위주의 수업을 할 수 있게 해주는 VR 콘텐츠는 직접 경험하기 어려운 개념을 다루는 학습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학생들과 교과서 내용만 다룬다면 이는 단순한 지식에 불과합니다. 그렇다고 무작정 교실 밖으로 나가 자연 속에서 생태계와 관련된 내용을 학습시키는 것도 교육 여건 상 비현실적입니다. 두 방안을 절충해 [실감형콘텐츠]로 생태계 구성을 체험하듯이 알아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