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심리치료
· ISBN : 9791168362871
· 쪽수 : 196쪽
· 출판일 : 2022-06-09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 가족상담
01 가족상담의 이해
1) 가족상담의 정의
2) 가족상담의 발달
02 해결중심가족상담
1) 해결중심 가족상담의 정의
2) 해결중심상담의 가정
3) 해결중심상담의 주요 원리
4) 해결중심상담의 개입 기법
5) 해결중심 가족상담의 구조
6) 해결지향적 질문
7) 아동을 위한 해결중심상담
2. 심리운동
01 심리운동의 정의
02 심리운동의 이론
1) 심리운동연습처치 이론
2) 능력지향이론
3) 이해이론
4) 시스템이론
03 심리운동의 내용
1) 신체경험
2) 물질경험
3) 사회경험
04 아동과 심리운동
05 아동 관련 심리운동 연구
3. 해결중심 심리운동가족상담 모델
01 해결중심 심리운동가족상담의 목표
02 해결중심 심리운동가족상담 모델에서의 상담 과정
1) 사전준비 및 관계 형성 단계
2) 상담목표 설정 단계
3) 해결책 탐색 및 실행 단계
4) 종결 단계
03 해결중심 심리운동가족상담 모델의 상담기법
04 해결중심 심리운동가족상담사의 역할
4. 해결중심 심리운동가족상담 모델의 적용
01 학교기반 해결중심 심리운동가족상담의 실제
1) 지원 아동 결정
2) 아동 지원을 위한 교사 협력체계 구축
3) 사전 면담 및 관계 형성을 통한 내담자 파악과 협력관계 구축
4) 상담목표 설정
5) 해결책 탐색 및 실행: E-A-R-S 절차 따르기
6) 지원단 협의
7) 내담자의 변화 기록 및 정리
(1) 내담자의 변화 관찰 및 기록
(2) 내담자의 변화 정리
8) 아동의 변화 공유하기 및 변화 공고히 하기
02 해결중심 심리운동가족상담 모델 적용의 효과
1) 연구의 개요
2) 연구의 결과
(1) 참여 아동의 변화
(2) 참여 부모의 변화
(3) 심리운동 활용의 효과
가. 아동에 대한 심리운동 활용의 효과
나. 부모에 대한 심리운동 활용의 효과
다. 아동 및 부모에 대한 심리운동 활용의 효과
라. 교사에 대한 심리운동 활용의 효과
(4) 상담 모델 개발에 관한 함의
03 해결중심 심리운동가족상담 모델 학교 적용에서 고려할 점
부록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가족상담은 가족을 하나의 체계로 보며 그 체계 속의 상호 교류 양상에 개입함으로써 개인의 중상이나 행동에 새로운 변화가 일어나도록 추구하는 치료적 접근으로, 환경적 요소 중에서도 특히 가족을 치료적 매개로 사용하는 기법이다. 개인의 문제를 내적인 문제로서만이 아니라 그를 둘러싼 전체로서의 가족이라는 맥락 속에서 이해하고, 개인과 가족 전체 사이에 존재하는 고정된 상호작용의 양상을 변화시키려고 노력하는 것으로, 시대에 따라 다양한 접근방법이 시도되어 왔다.
해결중심 가족상담(Solution Focused Family Counseling)은 해결중심상담(Solution Focused Brief Therapy)의 기본 철학과 상담 방법을 기초로 어려움을 겪는 가족을 지원하는 상담 방법이며, 해결중심 가족치료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해결중심상담은 문제를 가진 내담자일지라도 자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과 자원을 이미 가지고 있다는 신념에 기초하고 있으며 상담자는 내담자가 자신의 강점과 자원을 인식하도록 조력하여 내담자 스스로가 원하는 목표를 발견하고 성취해 나갈 수 있도록 돕는 상담 방법(Berg & Miller, 1992, 가족치료연구모임 역, 1995)으로, 현대 사회에 매우 잘 맞는 모델로 인정받고 있다.
해결중심 심리운동가족상담은 참여한 내담자가 설정한 상담 목표에 도달하도록 돕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한다. 사례별로 상담에 의뢰된 내담자가 해결하기 원하는 목표는 다르다. 그러나 상담자와 내담자가 상담목표 달성을 위해 해결책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목표가 달성되도록 하는 것은 다르지 않다.
첫째, 해결을 위한 실마리를 찾기 위해 열린 진단에 초점을 둔다.
둘째, 심리운동 활동 과정을 통해 문제 되지 않았던 예외를 발견하고, 이를 확장한다.
셋째, 심리운동 활동 과정에서 내담자의 숨은 자원을 발견하고 문제 해결에 이를 활용한다.
넷째, 심리운동 활동 과정에서 내담자가 바라던 목표 행동이 나타나는지 관찰한다.
다섯째, 심리운동 과정에서 목표를 향한 작은 시작을 내담자가 행동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여섯째, 심리운동가족상담을 통해 목표를 향해 가는 일은 쉽지 않음을 인식하도록 돕는다.
일곱째, 심리운동 과정에서 내담자들이 문제보다 해결의 상황에 초점을 맞추도록 학습기회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