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91168366183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22-12-16
책 소개
목차
가자미와 나
1. 국회에 가고 싶은 이유
2. 내과로 갈까요? 외과로 갈까요!
3. 쓰레기 소비를 언제까지 해야 하나요?
4. 내가 정말 봉(鳳)으로 보이시나요?
5. 신의 영역을 탐한 자들
1) 카노사의 굴욕
2) 무염지욕(無厭之慾)
3) 수어지교(水魚之交)
4) 신의 영역을 탐한 자들은 누구?
6. 법의 패륜과 무너진 공정
7. 21세기 조선? 거대한 국가 기업?
8. 자신이 믿는 ‘신’께 오물을 투척한 종교
9. 요즘 애들과 라떼
10. 적득기반(適得其反)
1) 심리적 이간질
2) 억압당하는 자유
3) 강자(强者)의 논리에 얽매인 자유
4) 아줌마를 없애자!
5) 적득기반(適得其反)
11. 모멸과 농락당하는 고결한 사랑
1) 사랑이 악할 수도 있을까?
2) 더럽고 추해도 사랑일까?
3) 핸드메이드 러브
12. 학습하고 답습된 악습, 그 끝 없는 소모전
13. 언어 독립
14. 기울어진 상식
저자소개
책속에서
그러나 우리나라 대기업들에는 그런 예의란 찾아볼 수 없었습니다. 단 자신들의 성장에 복지가 빠진 것을 지적하면 복지를 생략한 것은 군부 독재 정부의 탓이지 자신들의 책임은 아니라는 태도를 고수했습니다. 그리고 대기업들의 고자세를 방임한 것은 국회입니다. 국민의 복지가 너무나 간략하고 간편하게 생략되는 것은 국민을 향한 폭력이나 다름없습니다.
그리고 또다시 이어진 대기업의 폭력적인 행동은, 정말 어처구니 없게도 사기로 끝난 ‘IMF 금 모으기 운동’입니다. 전 국민이 한마음으로 나라를 살리기 위한 애국심 하나로 또다시 대기업 살리기에 뜻을 모았지만, 결과는 이미 다 밝혀진 대로 참담하게도 뒤통수를 강타하는 것이었습니다. 씁쓸하죠? 군부 독재 정부 때 국민은 대기업의 경제를 위한 대 프로젝트에 참여했지만 돌아오는 것은 별 소득 없이 대기업의 배만 채워준 결과였고, 진심 나라를 사랑하는 애국심 하나로 뜻을 모아 ‘금 모으기 운동’에 자발적으로 참여했지만, 대국민을 상대로 한 ‘대 사기극’으로 뒤통수를 호되게 강타당한 것입니다.
이것이 모든 것을 넘치도록 많이 가진 자인 대기업들의 생생한 민낯입니다. 그러나 국가는 대기업에 모든 면에서 관대하고, 그들이 만족할 때까지 채워주기 위해 매우 유연한 정책을 시행합니다. 그리고 국민이 대기업에 호의적이어도 대기업은 호의를 악으로, 은혜를 원수로 갚는 행태만 고수합니다.
분명한 죄의 명분이 없어도 의혹을 만들어 부풀려 여론으로 압박하고 압수수색을 강행하고, 원하는 결과물이 없자 아주 작은 양심을 져버린 가책이라도 나올 때까지 여기저기 난장판이 되든 말든 수많은 곳을 압수수색, 표적 수사, 보복 수사, 표적 판결을 받게 하는 것, 이것은 정말 악의 근본 아닙니까? 하지만 엄밀히 따지면 이건 ‘내로남불’이 아닙니다. 왜냐하면, 한쪽은 분명한 범죄를 행했지만 다른 한쪽은 범죄 의혹은커녕 의도 자체도 엄두도 내지 못했기 때문에 양측의 행동이 똑같은 상태에서 자기합리화로 해석한 ‘내로남불’이라는 표현은 맞지 않습니다.
‘법’은 명확한 범죄행위의 자료와 기록의 모든 의혹이나 분명한 죄도 자신의 모든 권력과 연합해서 찬란하고 요사스러운 언어유희로 자의적인 판단과 자기합리화로 빠져나가는 그 뻔뻔한 행동을 자행했습니다. 그리고 이미 죄 없는 한 사람의 가정을 처참하게 멸문 자화시켰으며, 또 다른 한 사람을 도륙시키기 위해 똑같은 행동을 반복하는 이 후안무치의 모습을, 아무런 죄책감 없이 자행한 것을 과거독재 시절이 아닌 최근에 똑똑히 봤습니다. 정말 지독하게 사악하고 악랄한 모습입니다.
그리고 ‘그들은 「이단」 이라서 우리와는 무관하다.’라며 선 긋기에 바쁜 일부 일반 교회의 행태는 또 어떻게 보시나요? 정말 종교의 자유를 외치며 권리만을 주장하고 집단행동을 서슴지 않는 모습이 ‘이단’인 집단의 행동일 뿐 일반 교회와는 전혀 무관한 것일까요? 그러면 어느 일반 교회 내에서 확진자가 나온 것을 숨기기에 급급해 거짓말을 권하는 일부 목회자와 그것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이행하는 교인들의 모습에서 사회적인 책임감을 가지는 모습을 찾아볼 수 있나요? 교회 내에서 확진자가 나온 것이 모든 교회에 악영향을 미칠 것 같아서 거짓을 권했다는 그것이 오히려 사회적인 책임을 회피하는 것보다 더 큰 악영향이 아닐까요? 이렇듯 사회에 무책임하고 ‘종교’의 권리만 주장하는 상당히 이기적인 모습에 종교인도 비종교인도 실망을 넘어 격분한 분노는 환멸로 이어졌습니다.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입니다.
이런 단면을 포함, 역사를 살펴보면 모든 ‘종교’는 한결같이 국적 불문하고 사회적 책임을 일관성 있고 고집스럽게 회피했습니다. ‘종교’의 공통된 이기적 단합은 사회적 영향과 그 파장은 외면하고 그 결과에도 무책임으로 일관합니다. 이것은 ‘종교지도자’들의 인식과 태도 문제인데요, 그래서 절대로 간과해서 안 될 것이 바로 ‘종교지도자’들의 사상이며 태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