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91169851602
· 쪽수 : 356쪽
· 출판일 : 2025-10-31
책 소개
판사 출신 변호사 정재민이 변호사 사무실, 경찰서, 구치소, 법정을 오가며 기록한
우리 사회 이야기
★〈시그널〉 〈킹덤〉 드라마 작가 김은희, 프로파일러 권일용 강력 추천★
★소설 《보헤미안 랩소디》 《독도 인 더 헤이그》 작가 신작 에세이★
“믿어서 빼앗기고 믿어서 배신당한 상처는
또 다른 믿음으로만 치유할 수 있다”
정의를 굳건히 믿었던 시절을 지나
그저 억울한 사람이 없길 바라는 변호사가 되기까지의 기록들
판사 시절, 저자의 부모님이 사기꾼 의사에게 거짓 류머티즘 진단을 받고 7년 동안이나 독한 항암제를 복용한 일이 있었다. 그는 의사를 고소했지만 의사에게 무혐의 결정이 내려진다. 이유는 ‘피의자가 환자들에게 류머티즘이라고 거짓말을 한 사실은 인정되나 그런 행위는 피의자가 의사로서의 명성을 높이기 위해서 한 것이므로 재물죄인 사기죄가 성립하지 않는다’는 것. 그는 사법 시스템의 일원으로서 모멸감을 느꼈다. 지방 소도시 종합병원의 사기꾼 의사 하나를 처벌하는 데도 넘어야 할 산이 많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로부터 15년이 흐르는 동안, 저자는 사회와 사람에 대한 신뢰도가 현격히 줄었다고 고백한다. 그렇지만 여전히 사람을 믿을 용기를 놓지 않고 누군가를 변호하며 법의 최전선에서 일한다. 지금보다 더 많이 믿다 보면 남에게 속는 일도 더 많아지겠지만 그렇다고 타인을 믿지 못해 문을 걸어 잠그고 살면 지금보다 삶이 나아질 일도 없고 삶의 막바지에 후회할 것 같기 때문이다.
그는 삶을 헛된 일, 소모적인 일을 하며 허비하고 싶지 않다고 말한다. 조금이라도 좋은 사람을 만나고 지인들과 좋은 대화를 나누고 좋은 일을 하고 좋은 장면을 보고 좋은 기분을 유지하고 좋은 글을 쓰고 싶다고. 자신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이 그렇게 살길 바란다. 그래서 오늘도 우리 공동체를 개개인이 살기 좋은 곳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작은 노력을 기울인다.
“사는 듯 살기 위해서는 타인과 관계를 맺어야 한다”
믿겠다는 결심이 틀리지 않았다는 증거
정재민 변호사는 변호사 일이 대리운전을 하는 일과 같다고 말한다. 고객을 뒷좌석에 태우고 고객이 원하는 방향으로 운전하며 우리를 믿어 달라고 호소하기 때문이다. 한팀이 된 변호사와 의뢰인은 경찰, 검찰, 법원을 들를 때마다 자신들을 믿는다거나 못 믿는다는 채점지를 받아 든다.
저자는 의뢰인을 뒷자리에 태우기 전 먼저 그의 말을 경청한다. 그저 일을 한다고 생각하지 않고 의뢰인와 깊게 관계 맺는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의뢰인의 이야기를 들을 때는 우호적인 입장을 취하면서도 무조건적으로 편들지는 않는다. ‘내가 감히 당신의 감정을 어떻게 다 알겠는가, 당신이 하고 싶은 말을 조급해하지 않고 기꺼이 들어 주겠다, 듣되 선악으로 판단하지 않고 당신의 불행을 내 행복의 땔감으로 사용하지 않겠다, 그저 내 마음속 서랍에 고스란히 담아 두었다가 당신이 민망할 때쯤 깨끗이 잊어 주겠노라’는 마음으로 들으려 한다. 이렇게 주의 깊게 들어 주는 것 자체가, 그렇게 함께 있어 주는 것 자체가 묘한 힘을 발휘한다.
이 모든 일의 바탕에 믿음이 있다. 그러므로 저자는 오늘도 믿겠다고 결심한다. 그로 인해 얻는 행복과 삶의 풍요가 때로 타인에게 속아서 생기는 고통과 손실을 보상해 주고도 넉넉하게 남을 것이라 확신한다.
목차
프롤로그
1장. 변호사 사무실에서_변호사의 인연법을 배우며
음악이 흐르는 사무실 | 패키지여행에서 자유여행으로 | 판사를 그만둔 이유 | 변호사의 인연법 | 사기당하는 사기 전문 변호사 | 사람을 몇 프로 믿고 살아야 하는가 | 소수의 사건만 맡는 이유 | 법률 장인 공방을 추구하며 | 히말라야의 셰르파처럼 | 정신분석가의 카우치처럼 | 인공지능이 못하는 것, 믿음을 주고받기
2장. 경찰서에서_배트맨을 생각하며
경찰에 대한 상반된 이미지들 | 어린 시절 기억 속 경찰 | 경찰과 검찰 사이 | 내가 경찰 조사에 꼭 참석하는 이유 | 수사로 진실을 밝힌다는 말 | 사기가 판치는 세상 | 노트북 수리 사기를 당하다 | 사기꾼 검거가 어려운 이유 | 순진하게 정의를 굳건히 믿었던 시절 | 배트맨을 생각하며
3장. 구치소에서_쇠창살 안에서 희망을 말하며
어느 피의자의 긴급체포부터 구속까지 | 구치소 가는 길 | 구속되면 커피를 마실 수 있을까 | 수용자에게도 부모가 있다 | 변호사는 집사가 아니다 | 자신 없는 변호사가 될 때 | 때로 교화되는 사람도 있다 | 낙원의 감옥
4장. 법정에서_재판을 하다가 재판을 받으며
변호인의 출석을 확인하겠습니다 | 공소사실의 요지를 말씀해 주십시오 | 피고인, 공소사실을 인정하십니까 | 증거 인부를 해 주십시오 | 증인도 불신의 대상이다 | MR을 제거하고 가사만 비교하는 일 | 최후 변론을 시작하겠습니다 | 합리적 의심을 넘어서 | 양형을 정하는 기준 | 전관예우라는 믿음으로 인한 불신 | 선고일에 느끼는 감정 | 법정은 믿음과 불신의 대립으로 떠받쳐진 세계
에필로그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불행도 타인과의 관계에서 비롯되는 것이니 타인을 믿지 않으면 불행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그렇지만 상대를 늘 의심하고 경계하면 사랑을 주고받고 행복을 느낄 기회도 봉쇄된다. 여기서 우리가 가장 행복하게 사는 듯 살기 위해서 ‘사람을 얼마나 믿어도 되는가’의 문제가 제기되는 것이다.
_프롤로그 중에서
변호사로서 상담자나 의뢰인의 입장을 들을 때도 기본적으로 이러한 정신분석가 같은 태도를 취하려고 한다. 윤리적으로 날카롭게 판단하지 않고 우호적인 입장을 취하면서도 무조건적으로 편들지는 않는다. 내가 감히 당신의 감정을 어떻게 다 알겠는가, 당신이 하고 싶은 말을 조급해하지 않고 기꺼이 들어 주겠다, 듣되 선악으로 판단하지 않고 당신의 불행을 내 행복의 땔감으로 사용하지 않겠다, 그저 내 마음속 서랍에 고스란히 담아 두었다가 당신이 민망할 때쯤 깨끗이 잊어 주겠노라는 마음으로 들으려 한다. 이렇게 주의 깊게 들어 주는 것 자체가, 그렇게 고민하고 있는 자리에 함께 있어 주는 것 자체가 묘한 힘을 발휘한다.
_1장 변호사 사무실에서-변호사의 인연법을 배우며 중에서
어느 시점부터는 계속 합의를 유도하기 시작했다. 당사자 간에 합의하여 고소를 취하하면 더 이상 복잡한 수사를 진행시키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처벌받아야 할 사람이 제대로 처벌받도록 노력해야 정의가 세워질까 말까인데, 수사기관마저 자꾸 일을 쉽게 끝내려고 요령을 피우는 것을 보면 우리 사회의 미래가 밝지 않은 것 같아 우울해진다.
_2장 경찰서에서-배트맨을 생각하며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