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김해영 박사의 한비자 읽기

김해영 박사의 한비자 읽기

(대한민국 리더들의 필독서)

김해영 (지은이)
청어
3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김해영 박사의 한비자 읽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김해영 박사의 한비자 읽기 (대한민국 리더들의 필독서)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91168553095
· 쪽수 : 704쪽
· 출판일 : 2024-12-23

목차

머리말 4
한비자와 저작 7
한비자는 어떤 사상가인가 9
일러두기 14

제01장 초견진(初見秦) 18
제02장 존한(存韓) 30
제03장 난언(難言) 41
제04장 애신(愛臣) 46
제05장 주도(主道) 50
제06장 유도(有度) 57
제07장 이병(二柄) 68
제08장 양권(揚權) 74
제09장 팔간(八姦) 84
제10장 십과(十過) 91
제11장 고분(孤憤) 118
제12장 세난(說難) 127
제13장 화씨(和氏) 135
제14장 간겁시신(姦劫弑臣) 139
제15장 망징(亡徵) 156
제16장 삼수(三守) 164
제17장 비내(備內) 168
제18장 남면(南面) 174
제19장 식사(飾邪) 179
제20장 해로(解老) 191
제21장 유로(喩老) 224
제22장 세림 상(說林上) 241
제23장 세림 하(說林下) 260
제24장 관행(觀行) 278
제25장 안위(安危) 281
제26장 수도(守道) 287
제27장 용인(用人) 292
제28장 공명(功名) 299
제29장 대체(大體) 302
제30장 내저설 상(內儲說上) 칠술(七術) 306
제31장 내저설 하(內儲說下) 육미(六微) 342
제32장 외저설 좌상(外儲說左上) 370
제33장 외저설 좌하(外儲說左下) 407
제34장 외저설 우상(外儲說右上) 433
제35장 외저설 우하(外儲說右下) 465
제36장 난일(難一) 490
제37장 난이(難二) 511
제38장 난삼(難三) 526
제39장 난사(難四) 545
제40장 난세(難勢) 556
제41장 문변(問辯) 564
제42장 문전(問田) 567
제43장 정법(定法) 571
제44장 설의(說疑) 576
제45장 궤사(詭使) 590
제46장 육반(六反) 597
제47장 팔설(八說) 608
제48장 팔경(八經) 619
제49장 오두(五蠹) 632
제50장 현학(顯學) 653
제51장 충효(忠孝) 667
제52장 인주(人主) 675
제53장 칙령(勅令) 680
제54장 심도(心度) 684
제55장 제분(制分) 688

한비자 연보 693
참고문헌 695
찾아보기 698

저자소개

김해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철학박사, 문화정보학박사 1962년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생으로, 강원도 화천에서 자랐습니다. 사회생활을 하면서 중·고등과정을 검정고시로 마치고 성균관대학교에 진학하여 유교철학을 전공, 학사[3년 조기졸업]와 석사, 박사를 마쳤습니다. 이외, 국민대학교 정치대학원 석사, 수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에서 선학(禪學)을 전공하여 석사를 받았으며, 동방대학원대학교에서 문화정보학을 전공하여 박사를 받았습니다. 김해영 박사는 그간 경기대학교 행정학과, 장안대학교 사회복지과, 수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등에서 동학들과 줄탁동시(啐啄同時)를 했습니다. 아울러 법무부 보호관찰소 등지에서 다년간 강의를 했고, 수원의 태장마루도서관 철학동아리에서도 다년간 지도교수로 활동한바 있으며, 현재는 수원미래발전연구회장으로 있습니다. 김해영 박사의 지적 경륜은 학계뿐 아니라, 일반 독자들에게도 큰 가치를 제공할 것입니다. 연구소 : http://cafe.daum.net/sy621208
펼치기

책속에서

『한비자』는 법가를 집대성한 저작이다. 한비가 활동했던 전국시대는 역사상 제후국들이 서로 정벌 전쟁을 일삼은 혼란의 시대였다. 또 각국에선 신하가 군주를 시해하고, 자식이 부모를 살해하는 등 비윤리적인 행위들도 빈번하게 일어났다. 이런 시대에 한비의 조국 또한 늘 외세의 침략을 받아 쇠퇴 일로를 걸었다. 한비는 기존의 방식과 체제론 나라가 부강할 수 없다고 판단해 법치란 이념으로 다스릴 것을 주장했다.

한비(韓非)는 법가(法家)사상가다. 법가는 크게 3개의 계열로 구분한다. 첫째, 법(法)을 강조한 상앙, 둘째, 술(術)을 강조한 신불해, 셋째, 세(勢)를 강조한 신도다. 상앙의 법(法)은 민중들의 사익(私益) 추구를 막고, 국가의 공익(公益)을 우선하는 것이 원칙이다. 신불해의 술(術)은 신하들이 내세우는 이론과 비판을 그들의 행동과 일치시키는 기술이다. 신도의 세(勢)는 군주만이 가질 수 있는 유일한 권세(權勢)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 한비자(韓非子)는 ‘법’의 상앙(商鞅), ‘술’의 신불해(申不害), ‘세’의 신도(愼到) 등 이 3개 학파의 주장을 두루 수용해 발전시켰다. 특히 법(法)과 세(勢)를 중시했다. 군주는 그것을 확고하게 지녀야 한다고 본 것이다. 하지만 ‘법’과 ‘세’만으론 나라를 다스리는 데 한계가 있다고 판단해, 신불해의 술(術)을 받아들여 법술(法術)이란 개념을 사용한다. 『한비자』란 책에 ‘법술지사(法術之士)’란 말이 많이 나오는 이유다.

한비자는 성악설(性惡說)을 주장한 순자(荀子)의 제자다. 하지만 그는 유가(儒家)를 비판하고, 오히려 도가(道家)를 수용했다. 유가를 비판적으로 보았다는 것은, 한자(韓子)로 불리다 한비자(韓非子)로 이름이 바뀐 것만으로도 짐작이 된다. 당(唐)나라 때까지만 해도 한자(韓子)로 불렸던 그가 유가의 정통이 아닌 법가로 분류되면서, 유가의 도통(道統)을 이은 한유(韓愈)에게 한자의 이름을 넘겨주고, 한비자로 변경된 이유다.
『한비자』 55장의 내용은 선행 법가사상을 중심으로 당시 사상가들의 다양한 이론을 수용했다. 따라서 전국시대의 정치, 사회적 분위기를 다방면에 걸쳐 생동감 있게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한비자』 55장은 다양한 범주의 철학사상과 변법의 정치적 실천을 결합해 법치주의를 지향하는 일관된 내용을 담고 있다. 서한(西漢)시대 역사가인 사마천(司馬遷)은 『사기(史記)』에서 한비자를 이렇게 평가하고 있다.

즉 한비자의 사상은 노자(老子)와 장자(莊子), 신불해(申不害)를 「노자한비열전(老子韓非列傳)」에서 함께 논하며, 한비자를 “형명(刑名)과 법술(法術)의 학설을 선호하나, 그 학설의 근본은 황로사상[黃老思想 : 황제(黃帝)와 노자(老子)를 시조로 하는 도가사상(道家思想)의 계열]에 있다.”라고 했다. 주지하듯 한비가 활동하던 전국시대(戰國時代)는, 노예제(奴隸制) 사회에서 봉건제(封建制) 사회로 막 변혁(變革)되던 시기다.

따라서 한비는 상앙(商鞅)의 일상(壹賞), 일형(壹刑), 일교(壹敎)의 법치사상과 신불해(申不害)의 군인남면지술(君人南面之術), 무위이치(無爲而治)의 술치사상(術治思想), 신도(愼到)의 도법론(道法論), 인순론(因循論), 세치론(勢治論) 등 선행 법가사상을 종합해 기존의 통치이념인 신권법(神權法)과 종법예치(宗法禮治) 사상을 대체하고자 했다. 이 때문에 당시에 활동한 사상가들은 정치적 성격이 보다 강할 수밖에 없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