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68560635
· 쪽수 : 428쪽
· 출판일 : 2022-06-17
책 소개
목차
1장. 서론
1.역사적 맥락
2.시스템 사고를 넘어
3.이 책의 개요
[1부] 조직의 학습과 지식 창출에 관한 주류 시각
2장. 조직의 학습과 지식 창출에 관한 주류 사고의 특징
1.지식의 전파 및 확산 그리고 축적
2.지식의 구성과 실천공동체
3.결론
3장. 조직에서 학습과 지식 창출을 둘러싼 논란
1.항구적 논쟁
2.개인과 사회
3.개인과 사회의 분리를 넘어서
4.결론
[2부] 복잡반응과정과 지식의 창발
4장. 상호작용의 역동성
1.복잡적응시스템에서의 인간 이해
2.마음과 자아 및 사회의 진화
3.비유의 원천으로서의 복잡성 과학
4.결론
5장. 상징을 매개로 한 의사소통 행위
1.느낌
2.행위에 대한 성찰
3.추상적 사고
4.상징의 여러 측면
5.결론
6장. 의사소통 행위의 조직
1.언어의 전체적인 규칙과 의사소통의 구조화
2.서사적 형태의 의사소통
3.국지적 규칙과 의사소통의 구조화
4.패턴화 과정으로서의 의사소통 행위
5.주제에 따른 경험의 패턴화
6.결론
[3부] 시스템 사고와 복잡반응과정의 관점
9장. 두 관점의 비교
1.송신자-수신자 관계와 호응하는 관계
2.저장되는 기억과 재구성되는 기억
3.사회로부터 분리된 개인과 사회적 관계 속에서의 개인
4.결과로서의 지식과 과정으로서의 지식
5.체제로서의 언어와 행위로서의 언어
6.제도, 의사소통 및 권력
7.집단현상으로서의 협력적 대화와 일상의 자연스러운 대화
8.결론
10장. 지식 창출과 복잡반응과정
1.지식 관리에 대한 주류 처방의 한계
2.참여적 자기조직화로서의 지식의 진화
부록. 자기생성 이론의 재검토
1.자기생성체계
2.다른 시스템 이론과의 비교
책속에서
지식은 마음의 내용으로 공유되는 것이 아니고 활동 속에서 끊임없이 생성되는 것이다. 지식은 한 사람의 정신에서 다른 사람의 정신으로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관계 맺기의 과정이다.
개인의 마음과 사회적 관계는 함께, 그리고 동시에 발현된다. 지식은 사람과 사람 사이의 디테일한 관계 속에서 끊임없이 구성되는 과정에 있는 것이다. 조직의 자산으로 체계화되고 저장되며 명시적 형태로 포착할 수 있는 것은 새로운 지식이 아니라 이미 만들어진 지식이다. 따라서 학습과 지식의 창조 과정을 관리하는 것에 관한 논의는 무의미해진다.
복잡반응과정의 관점에서 보면 지식은 항상 하나의 과정이며 관계적인 것으로, 단지 개인의 머릿속에 저장했다가 끄집어내어 조직의 자산으로 공유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지식은 대화의 행위이며 대화 방식과 관계 패턴이 달라질 때 학습이 일어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