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사/불교철학
· ISBN : 9791168560673
· 쪽수 : 472쪽
· 출판일 : 2022-07-22
책 소개
목차
개정판을 내면서
색인판을 내면서
지은이의 말
서장 불평등에 대하여
불교의 아킬레스건․불교 이해의 보수와 진보․싯다르타의 깨달음․업과 전생설․유비의 오류․신분제의 공고성․또 다른 국부 암베드카르․이단 불교․아잔타와 엘로라․힌두교, 자이나교, 불교의 불살생․윤회와 신분제․해탈․사회적 해방․불평등으로부터의 탈출․연기설․윤회를 넘나드는 연기․무자성․반윤회
제1장 말에서 뜻으로 가는 길
1. 어려운 불교
2. 번역불교
3. 소의경전
4. 화두
5. 선종이란 무엇인가
6. 불성의 두 의미
7. 자력불교와 타력불교
8. 인도에서 불교의 소멸
제2장 힌두교의 신
1. 신을 찬양하라
2. 경전시대의 특징
3. 교차신교
4. 베다의 다신과 일신
5. 우파니샤드의 범아일체
6. 절대화되는 아트만
7. 브라만과 계급
8. 고통의 윤회관
제3장 인도의 3대 종교개혁
1. 숙명론과 그 윤리
2. 신 없는 종교
3. 인도유물론
4. 이원론적 자이나교
5. 불교의 역사성과 법
6. 카비르와 시크교
7. 평등의 종교
제4장 불교의 발전과 쇠퇴
1. 이단불교
2. 실체론과 반실체론
3. 의식의 탄생
4. 중론
5. 유일불
6. 대승불교의 자연사
제5장 암베드카르의 신불교운동
1. 암베드카르와의 만남
2. 50만의 개종
3. 불교 서약
4. 산적 여왕
5. 달리티즘
6. 한용운의 불교유신론
7. 민족모순과 국제모순
제6장 무아와 윤회 논쟁
1. 윤호진
2. 정승석
3. 김진
4. 한자경
5. 최인숙
6. 조성택
7. 가명으로서의 윤회
제7장 윤회를 넘어서
윤회는 힌두교의 것이고, 연기는 불교의 것
한국불교계에 고함
부록1 간디와 인도에 대한 15가지 물음
부록2 불교와 노자
부록3 추천의 글
부록4 서평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윤회가 종교라면 연기는 철학이다. 윤회가 신화라면 연기는 과학이다. 윤회에는 절대자가 있지만 연기에는 절대자가 없다. 윤회는 신의 이름으로, 연기는 도덕의 이름으로 움직인다. … 윤회는 힌두교의 것이고, 연기는 불교의 것이다.
불교의 핵심개념을 꼽으라면 무아, 연기, 무자성, 공 등을 들 수 있겠다. 그럼에도 모든 것의 이론적 바탕은 연기이다.
반윤회는 윤회가 우리가 벗어버릴 것임을 분명히 하는 것이다. ‘탈’脫 윤회야말로 불교가 제시하는 궁극적 목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