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사/불교철학
· ISBN : 9791168563407
· 쪽수 : 558쪽
· 출판일 : 2025-10-10
책 소개
존재의 물음에서 임상 현장까지, 불교상담학의 지평을 여는 학문적 여정
『불교상담학 연구』는 불교철학과 심리상담을 접목하여, 인간의 고통과 치유를 다각도로 탐구하는 학문적 성과다. 저자 윤희조 교수는 전작 『불교심리학 연구』에서 마련한 기초 위에 이번 저서를 통해 한층 더 심화된 논의를 펼친다. 존재론·인식론·진리론과 같은 근원적 철학적 질문에서부터 구체적인 상담 기법과 심리치료의 실제적 방향까지를 폭넓게 아우르며, 불교상담학의 이론과 실천을 균형 있게 보여준다.
책은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1부는 불교상담의 주제를 다루며, 깨달음·무명·사념처와 같은 전통적 수행 개념을 상담의 궁극 목표와 연결시킨다. 2부에서는 불교심리치료를 심도 있게 탐색하여 업, 사무량심, 몸, 돌봄을 치유적 관점에서 해석하고, 불교 특유의 상담 자원을 제시한다. 3부는 서구 심리학의 주요 주제를 불교적으로 재구성한다. 불교 성격심리학, 성격발달, 자아심리학, 실존심리학, 영성심리학을 통해 인간 이해를 확장하고, 융심리학을 불교적 관점에서 새롭게 조망한다. 이는 불교와 서구 심리학의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시도라 할 수 있다.
『불교상담학 연구』는 단순히 상담 기법을 소개하는 수준을 넘어, 불교가 지닌 치유적 지혜를 현대인의 삶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를 깊이 탐구한다. 따라서 연구자에게는 새로운 이론적 지평을, 상담 현장의 실천가에게는 내담자와의 만남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질적 통찰을 제공한다. 삶 전체를 포괄하는 불교상담의 세계를 만나고자 하는 독자에게 일독을 권한다.
목차
저자 서문
해제
1. 본서의 전체적인 틀
2. 불교심리학 연구와 관련성
3. 장별 해제
제1부 불교상담의 주제
1 불교 존재론, 인식론, 진리론
1. 담마와 연기
2. 인식과 세계
3. 진리와 인간
4. 불교심리치료적 함의
2 불교의 깨달음과 의미변화
1. 붓다의 깨달음
2. 대승불교의 깨달음
3 무명과 삼명
1. 문제의식의 관점에서 본 연기
2. 무명
3. 행과 식
4. 삼명의 방법론
4 사념처, 오장애, 칠각지
1. 칠각지의 의미
2. 칠각지와 삼십칠보리분법
3. 칠각지의 결실
4. 칠각지와 치병
제2부 불교심리치료
5 업의 심리치료
1. 업과 행동
2. 업의 의미
3. 업의 용례
4. 업을 대하는 태도
5. 업의 심리치유
6 사무량심의 심리치료
1. 대치적 해석
2. 순차적 해석
3. 심리치료적 함의
4. 자무량심의 심리치료적 함의
7 몸의 심리치료
1. 존재론적 관점에서 본 몸
2. 기능적 관점에서 본 몸
3. 가능적 관점에서 본 몸
4. 사념처의 부정관 재고찰
8 돌봄의 심리치료
1. 병자의 돌봄
2. 유가족의 돌봄
3. 임종자에 대한 돌봄
제3부 불교상담과 서구상담
9 불교 성격심리학
1. 성격의 의미와 범위
2. 불교심리학에서 성격의 정의
3. 성격의 유형
4. 범부의 성격
10 불교 성격발달
1. 탐진치의 개념
2. 나에 대한 세 가지 관점
3. 탐진치의 심천에 따른 성격유형
4. 성격의 발달
5. 성인의 성격
6. 불교에서 성격발달
11 불교 자아심리학
1. 자아의 포괄적 정의
2. 자아의 본래적 정의
3. 자아의 발생적 정의
4. 자아정체성
12 불교 실존심리학
1. 불교에서 실존의 문제
2. 실존의 문제
3. 의미의 문제
4. 자유의 문제
5. 불안의 문제
6. 죽음의 문제
7. 소외의 문제
8. 치유의 문제
9. 선택의 문제
13 불교 영성심리학
1. 신적인 것으로서의 영성
2. 궁극적 가치로서의 영성
3. 천신에게 속하는 영성
4. 붓다에게 속하는 영성
14 불교적 관점에서 보는 융심리학
1. 콤플렉스, 유위법 또는 번뇌
2. 집단무의식의 윤회적 함축
3. 개성화, 개체성 또는 전체성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