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제주 사람 허계생

제주 사람 허계생

이혜영 (글), 허계생
한그루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400원 -10% 2,500원
800원
16,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제주 사람 허계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제주 사람 허계생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한국전쟁 이후~현재
· ISBN : 9791168670693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22-12-10

책 소개

'한사람 생활사'는 평범하지만 특별한 개인의 삶을 통해 시대와 사회를 이해하려는 책이다. 개인의 삶은 알고 보면 특별함으로 가득하다. 허계생 삼춘의 이야기에는 제주 사람들의 지혜로운 삶의 모습이, 공동체와 함께했던 연대의 풍경이, 웃음과 눈물이 교차하는 여성의 한 생애가 펼쳐진다.

목차

[어린 시절] 우리 계생이가 일등이라
14 4·3에 휩쓸리지 아니헌 집이 이샤?(4·3에 휩쓸리지 않은 집이 있어?)
22 쌍둥이 어젯밤에 숨 안 거ㅤㄷㅝㄴ?(쌍둥이 어젯밤에 안 죽었어?)
26 고무질도 잘하고, 사까닥질도 잘하고(고무줄도 잘하고, 뒤집기도 잘하고)
34 내터져 고사린 꺾도 못허고(내 넘쳐 고사리는 꺾지도 못하고)
44 어머니 몰래 물허벅 지엉(어머니 몰래 물허벅 지고)
53 새 도둑놈은 도둑놈도 아니(띠 도둑놈은 도둑놈도 아니야)

[청소년 시절] 어른이 된다는 것은
58 낭밧 아니민 돈 나올 데가 엇어(육묘장 아니면 돈 나올 데가 없어)
63 김발 되는 새, 지붕 되는 새(김발 되는 띠, 지붕 되는 띠)
69 장낫으로 촐 비어 눕지멍(벌낫으로 꼴 베어 눕히며)
79 수눌엉 밭갈고 수눌엉 검질 매고(품앗이로 밭갈고 품앗이로 김매고)
88 피농사 지으멍 생이 잡으멍(피농사 지으며 새 잡으며)
95 불치가 잇어사 모물농사 짓주(재가 있어야 메밀농사 짓지)
100 독 잡아그네 감저 파다그네(닭 잡아서 고구마 파서)
103 모물 도둑 잡기(메밀 도둑 잡기)
107 방애 지고 고레 골아(방아 찧고 맷돌 갈아)

[결혼과 출산] 애기 놓고 살아보려고
114 몸뗑이만 보내불어(몸뚱이만 보내버려)
119 왕왕작작한 결혼잔치(시끌벅적한 결혼잔치)
129 무서운 게 엇인 사름(무서운 게 없는 사람)
137 이노무 애기를 지우젠(이놈의 아기를 지우려고)
140 유채 장시, 콩 장시(유채 장사, 콩 장사)
145 벵원 두 번 강 난 첫똘(병원 두 번 가서 낳은 첫딸)
151 송당 새 사당 선흘서 폴고(송당 띠 사다가 선흘에서 팔고)
154 사람 털어졍 아니 아프느냐?(사람 낳는데 안 아프냐?)
156 쉐 질루고 도새기 질루고(소 기르고 돼지 기르고)
163 우리 애기들은 진짜 착헤서(우리 아이들은 진짜 착해서)

[시부모님 돌아가시고] 시어머니 계실 때가 호강이었지
170 단식허멍 견디멍(단식하며 견디며)
174 나 죽을 거난에 섭섭해도 하지 말라(나 죽을 거니 섭섭해하지 마라)
179 시어머니 잇인 때가 호강이랏주(시어머니 계실 때가 호강이었지)
183 엇인 시절에 무사 예의가 경 많으니(없는 시절에 왜 예의가 그렇게 많은지)
192 폴아지지 않으난 빚만 나고이(팔리지 않으니 빚만 생기고)
195 사람이 죽으란 법은 엇인 거라이(사람이 죽으란 법은 없는 거야)
203 미깡낭 아니민 어디서 돈이 나올 말이라게(귤나무 아니면 어디서 돈이 나오겠어)

[소리의 길] 내 세상을 살 날은 없을 줄 알았어
210 이노무 서방 언제 죽어불코(이놈의 서방 언제 죽어버릴까)
214 소리 지를 수 있는 델 다녀봅서(소리 지를 수 있는 데를 다녀보세요)
220 소리가 병을 낫게 헌 거지(소리가 병을 낫게 한 거지)
231 댕겸시민 배워진다게(다니다보면 배워진다)
236 이추룩헌 세상도 이시카(이런 세상도 있을까)

[생활사 살펴보기]
20 4·3사건과 소개_불타버린 7년, 상흔의 70년
32 넋들임_아이들을 돌보는 삼신할망
39 숯가마와 숯막_중산간 사람들의 겨울 부업, 숯 굽기
42 제주도의 내창_바닥이 드러난 마른 내의 세계
50 제주도의 물_돈보다, 쌀보다 귀한 물
61 제주도의 녹화사업_제주도 풍경을 바꾼 나무들
67 새의 쓰임_지붕이 되고, 비옷이 되고, 덮개가 되고
75 소와 촐_소 없이도 안 되고, 촐 없이도 안 되고
84 수눌음_누구든 땀흘려 일해야 먹고살 수 있는 사회
86 보리_보리에 의지해 살아온 사람들
93 도리송당의 피농사_껍질을 아홉 겹 둘러쓴 피농사로 살아가는 여자들
98 제주도의 메밀농사_진정한 메밀의 본고장
109 방아와 맷돌_곡식 껍질을 벗겨야 먹고사는 여성들의 노동 도구
124 제주도의 결혼 의례_마을공동체가 함께 치르는 일뤠잔치
143 제주도와 유채_유채꽃밭의 역사
148 제주도 사람들의 출산과 육아_삼승할망이 돌보는 아이들
159 제주도와 돼지_돼지와 제주도 사람들의 수천 년 인연
188 제주도 사람들의 장례문화_죽은 이를 보내는 여정
206 제주도 감귤의 역사_죽음의 귤이 살림의 귤로, 보리밭의 세상에서 과수원의 세상으로
226 제주도의 민요_노래와 함께한 삶
228 제주도의 농업노동요_위로와 용기와 격려의 노래

242 제주어 작은 사전

저자소개

이혜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2년 부산에서 태어나고 자라나 서울에서 일하다 2011년 제주도에 왔다. 시민단체 녹색연합에서 《작은것이 아름답다》 기자로 일하며 글쓰기를 시작해 자연, 사람, 생태, 평화를 주제로 사회적 활동과 글쓰기를 이어왔다. 우연히 선흘마을에 살게 되었지만 마을 어르신들과 벗이 되어 서로 돌보며 처음으로 몸과 마음이 정착하게 되었다. ‘마을출판사 먼물깍’, ‘세대를 잇는 기록’을 꾸리며 제주도를 공부하면서 기록해가고 있다. 쓴 책으로 《산골마을 작은학교》(공저, 2003, 소나무), 《갯벌,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을까》(2004, 사계절), 《희망을 여행하라》(공저, 2008, 소나무), 《인권도 난민도 평화도 환경도 NGO가 달려가 해결해 줄게》(2014, 사계절), 《제주 사람 허계생》(2022, 한그루)이 있다.?
펼치기
허계생 ()    정보 더보기
1953년 계사년에 구좌읍 송당리에서 태어났다. 4·3사건 와중에 할아버지가 돌아가시고, 곧 아버지까지 여의고 어머니와 농사를 지으며 자랐다. 가난한 살림에 사내 몫을 해야 하는 고단한 생활이었지만 당당한 사람으로 컸다. 스무 살에 조천읍 선흘리로 시집와 딸 셋과 아들 하나를 낳아 기르며 여러 장사로 나서고 농사를 지었다. 시부모님 돌아가시고 원인 모를 병이 찾아와 살길을 찾다가 소리에 눈을 떴다. 2004년 한춘자 명창에게 제주 민요와 노동요를 사사받고 2010년에는 전국민요경창대회에서 대상을 받았다. 응어리가 노래로 풀어졌던지 병도 나았다. 여러 행사에서 공연을 하고 텔레비전 리포터로 활동하기도 하며 두 번째 삶을 살아가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애기들 살아난 후제(뒤에) 우리 어머니가 오빠를 서당엘 보냈주. 공부를 잘해 거기서 일등만 허는 거라. 한 달에 한 번 시험을 보는데 일등을 해노난 우리 어멍이 욕을 하는 거라. 서당에서 일등을 허민 시루떡을 한 시리썩(시루씩) 쳐오랜(쪄오라고) 허여. 서당 아이들을 먹일 거라. 어머니는 힘도 엇인디 그걸 해오랜 허니 욕하는 거라. 일등허지 말라고. 경헌(그런) 시절이라.


옛날은 또 큰일을 허젠하면 물을 질어간 거주. 부주라. 한 열댓살 되면 동네에 큰일 있다 하면 다 물부주해. 돈이 잇어게(있어야 말이지). 물부주는 안 허는 사람이 엇엇어. 큰일을 허젠 하면 다들 질어다줘. 집을 짓젠 해도 흙질을 허젠 하면 산듸짚(밭볏짚) 뿌리멍 벌겅헌 흙 파당 사람으로도 볼르고(밟고) 소로도 볼르고 하려면 물이 잇어사주(있어야지). 집짓는 집에도 다 물부주 해야지. 아니믄 집을 짓을 수가 엇주게. 송당에는 촐흑이(찰흙이) 많았어. 이제 생각하믄 그때가 인심은 좋았지 .


잔칫날은 되난 궨당들이(친척들이) 왕 준비를 허엿주. 옛날은이 도새기(돼지) 한 마리로 잔치 허엿주게. 거줌(거의) 한 마리로 다 헷주. 두 마리나 잡앙 잔치하는 집이 베랑(별로) 엇엇어. 도새기 한 마리 잡은 걸로 내장 허영(마련해서) 삶앙 그거 호꼼썩(조금씩) ㅤㄴㅘㅇ(놔서) 가문잔치 하고, 배설이영(창자랑) 껍데기영 간이영 뿍뿍이영(허파랑) 한 점썩 노멍(놓으면서) 그거 동네사람들헌티도 태우멍(나눠주면서) 잔치들을 헹 먹는 거라.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