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사/불교철학
· ISBN : 9791168690004
· 쪽수 : 808쪽
· 출판일 : 2022-02-1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유·불 회통의 사상사적 의의가 담긴 책‒ 박맹수(원광대학교 총장) … 005
불교와 유교, 붓다와 공자의 만남‒ 이영호(성균관대학교 교수) … 008
융·복합 시대의 필독서‒ 이상현((주)태인 대표 / 대한하키협회장) … 011
부처가 설했던 바른길만을 이야기하는…‒ 양재열(갯벌문학회 회장) … 013
•역주자 서문 … 014
Ⅰ. 解題
1. 序論 … 024
2. 구성과 해석학적 토대 … 030
1) 구성 방식 … 030
2) 불교적 관점에서의 『논어』 해석 … 040
3. 경전주석 방식 … 046
1) 佛敎 經典 引用 … 047
2) 陽明學派 經說 引用 … 052
3) 朱子 經說 批判 … 056
4) 注釋과 佛敎 公案의 接木 … 060
4. 結論 … 066
* 補論: 譯注의 方法 … 071
1) 飜譯文의 體裁 … 074
2) 飜譯文의 特徵 … 077
3) 原文 校勘과 標點 … 078
4) 原文 注釋 … 078
Ⅱ. 『論語點睛補注』 譯注
일러두기 … 084
「四書藕益解序」 … 087
「四書藕益解重刻序」 … 093
「論語點睛補注序」 … 107
1. 【學而 第一】 … 110
2. 【爲政 第二】 … 144
3. 【八佾 第三】 … 189
4. 【里仁 第四】 … 225
5. 【公冶長 第五】 … 255
6. 【雍也 第六】 … 285
7. 【述而 第七】 … 322
8. 【泰伯 第八】 … 370
9. 【子罕 第九】 … 391
10. 【鄕黨 第十】 … 422
11. 【先進 第十一】 … 437
12. 【顔淵 第十二】 … 469
13. 【子路 第十三】 … 497
14. 【憲問 第十四】 … 526
15. 【衞靈公 第十五】 … 567
16. 【季氏 第十六】 … 604
17. 【陽貨 第十七】 … 621
18. 【微子 第十八】 … 648
19. 【子張 第十九】 … 663
20. 【堯曰 第二十】 … 680
•〔藕益 智旭 大師 眞影〕 … 684
Ⅲ. 【부록】 弘一大師 撰 『藕益大師年譜』 譯注 … 685
•참고문헌 … 788
책속에서
지욱 대사는 비록 天台宗의 宗門에 가까이 몸담고 있었으나 어느 한종파의 경론에 집착하지 않고, 華嚴·天台·唯識·律·淨土·禪 등 실로 다양한 종파의 經論書를 강설하고 주석하였다. 노년에는 유가의 경전을 불교적 관점에서 재해석한 저술들을 남겼다.
또한, 당시에 새로운 종교로서 중국에 들어온 서양 종교 ‘천주교’에 대한 비판 내용을 담은 『辟邪集』 전2권을 저술하기도 하였다. 29 지욱 대사가 이처럼 평생에 걸쳐서 남긴 저술은 총68종 226권에 달한다.
『논어점정』에는 모두 32번에 걸쳐서 ‘方外史曰’이라는 표현이 나오는데, ‘方外史’는 다른 사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바로 지욱 대사 자신을 가리킨다. ‘方外史’가 인용한 論書에 지욱 대사 자신이 주석을 하였던 書名이 보인다.
지욱 대사는 『논어점정』에서 陸象山의 사상을 계승하였던 王陽明의 언설을 10차례 인용하였고, 급진적인 양명학파에 속했던 李卓吾의 언설을 93차례 인용하였다. 특히 이탁오의 저서 『논어평』을 중점적으로 언급하였다. 지욱 대사가 『논어평』을 중요시했던 까닭은 송대 이후로 쇠락해 가던 불교를 晩明 時期에 부흥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여 주었던 인물이 바로 이탁오였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孔子家語』·『莊子』·『周易』 등 다양한 經書와 諸子百家書를 인용하였다.
지욱 대사는 『논어점정』에서 『논어』의 正文을 풀이하는 데 있어 道를 닦는 수행자의 처지에서 불교의 깨달음과 유교의 心法의 切點을 찾고자 애를 썼다. 이 때문에 『논어』를 性理哲學的 觀點에서만 注解한 朱子의 『論語集注』를 62차례에 걸쳐서 비판하였다. 지욱 대사가 『논어점정』에서 주자의 『논어집주』 풀이를 직접 비판한 各 篇의 章數와 章次를 도표로 나타나면 아래의 〈표7〉과 같다. 주자는 남송 때의 대표적인 辟佛論者로서, 『논어집주』에는 불교를 강도 높게 비판한 곳이 여러 군데에 걸쳐서 기술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