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선교사

한국선교사

누카리야 카이텐 (지은이), 정호경 (옮긴이)
민족사
7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70,200원 -10% 0원
3,900원
66,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4개 68,47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선교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선교사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91168690738
· 쪽수 : 751쪽
· 출판일 : 2025-02-10

책 소개

저자 누카리야 카이텐은 일본 조동종 선승으로서, 고마자와대학을 졸업했고, 1920년에는 고마자와대학 학장을 역임했다. 이후 그는 1929년 이 책을 쓰기 위하여 우리나라에서 머물면서 많은 자료를 모았다. 그리고 전국 30여 개 본산을 방문하여 각 사찰에 소장되어 있는 자료도 수집했다. 그 자료를 가지고 고마자와대학에서 한국불교사를 강의했고, 그 결과 1930년에 출판된 책이 바로 <한국선교사>이다.

목차

原著者 序文
감사
일러두기
<朝鮮禪敎史>를 번역하면서
발간사

제1편 교학 전래의 시대
제1장古朝鮮
제2장삼한과 삼국의 정립
제3장 해동불교의 기원
제4장 고구려 및 백제의 멸망과 불교의 성쇠
제5장 삼국 통일과 신라의 교학
제6장 大賢의 唯識, 勝詮의 華嚴

제2편 禪宗의 흥기시대
제1장 해동 禪宗의 시작
제2장 慧昭, 惠哲, 體澄, 無染의 禪風
제3장 梵曰, 道允, 智詵, 行寂, 順之 등의 禪風

제3편 禪教 并立의 시대
제1장 고려의 태조와 여러 禪師
제2장 敎禪의 융창과 文敎의 발흥
제3장 鼎賢의 瑜伽, 義天의 천태, 李資玄의 선
제4장 學一, 坦然의 禪風 및 僧人의 타락
제5장 知訥의 禪學 獨創
제6장 了世의 參禪, 高宗의 刻藏과 시대사상
제7장 承逈의 楞嚴禪과 慧諶의 <선문염송>
제8장 天英, 冲止의 興禪, 紹瓊의 西來, 見明의 博文
제9장 指空의 禪機
제10장 復丘의 利生과 普愚의 接化
제11장 惠勤의 간화선
제12장 混修, 覺雲의 宗風과 粲英의 法燈

제4편 禪敎의 쇠퇴시대
제1장 조선 초기의 禪敎
제2장 배불의 기세와 涵虛堂의 玄風
제3장 세조의 興法과 守眉, 智嚴 등의 門風
제4장 普雨, 一禪, 靈觀
제5장 일본군의 침입과 휴정의 활동
제6장 休靜 문하의 龍象
제7장 靈奎, 敬軒, 印悟
제8장 浮休善修, 碧巖覺性, 虛白明照
제9장 白谷處能, 楓潭義諶, 기타의 宗師
제10장 翠微守初와 栢菴性聰의 문류
제11장 月潭雪霽, 霜峰淨源, 月渚道安, 喚醒志安, 晦菴定慧
제12장 禪敎혼합, 北斗숭배, <불조원류>
제13장 黙菴最訥, 蓮潭有一의 博學鴻詞
제14장 雪坡尚彥, 兒菴惠藏, 華嶽知濯, 白坡亘璇
제15장 草衣意恂 優曇洪基
제16장 混元世煥, 梵海覺岸, 雪竇有炯, 徐震河
제17장 조선의 종말

저자소개

누카리야 카이텐 (지은이)    정보 더보기
1867년 동경에서 태어났다. 1893년(메이지 26년) 게이오기주쿠 대학(慶應義塾大学) 문학부(文学部) 졸업했다. 렌코지(連光寺) 제25대 주지(住職), 고마자와 대학(駒澤大学) 초대 학장(学長). 불교학(仏教学), 동양 사상사(東洋思想史), 양명학(陽明学) 전공. 일본의 불교학자로 조동종의 승려이자 문학 박사이다. 도호(道號)는 불산(仏山). 인도, 중국, 한국 선학(禪學) 사상사 등 동양 선학을 연구했고, 선불교를 내성 주관주의(内省主観主義)로 파악한 이른바 ‘누카리야 선학’(忽滑谷禪學), 누카리야파(忽滑谷派)라 불리는 선학(禪學) 사상을 확립했다. 1925년(59세) 조동종 대학(曹洞宗大學)이 고마자와대학(駒澤大學)으로 승격하는 데 큰 역할을 담당했으며, 초대 학장으로 취임하였다. 이 시기 그의 가장 큰 업적은 인도와 중국 선학 사상사를 연구한 ��禪學思想史��(상권, 1923년, 하권, 1925년. 玄黃社)이다. 이 책은 그가 “선가(禪家)에는 아직 사상사가 없었다. 본서를 효시(嚆矢)로 한다”고 말했듯이, 중국 선학 사상사의 효시적인 책이다. 이 책은 스즈키 다이세쯔(鈴木大拙)나 중국의 호적(胡適)에도 영향을 미쳤다. 1905년 그는 중국에 존재했던 《대범천왕문불결의경(大梵天王問佛決疑経)》을 위경이라고 정의한 논문을 발표했다. 이 논문은 敎外別傳, 拈華微笑, 正法眼藏, 涅槃妙心의 전거가 되는 경전으로 그 경전을 僞經이라고 부정한다는 것은 곧 선종의 뿌리를 뒤흔드는 것이었다. 또 이 시기에 이슬람 연구나 양명학 연구에도 몰두해 이슬람의 성사 무함마드에 대한 연구도 시작했다. 1911년(메이지 44년)에는 조동종으로부터 유럽 종교 학술 시찰의 명을 받고 3년간 유학했다. 유럽 유학 도중 하와이에서 종교 시찰원으로 열흘을 머물렀고, 샌프란시스코를 비롯한 각지에서 불교 강연회를 실시했다. 1914년(다이쇼 3년)에 유학을 마치고 돌아와, 이듬해 일본 정부로부터 문학박사라는 칭호와 일본의 국가학위(國家學位)를 받았다. 누카리야 카이텐은 공직과 연구 두 분야에서 모두 충실했다. 가이텐의 제자는 일본뿐만 아니라 중국과 대만, 한국 등 동아시아 전체에 영향을 미쳤고, 중국의 후스(胡適)와 스즈키 다이세쓰(鈴木大拙), 야나기다 세이잔(柳田聖山)에게 계승되어 ‘누카리야 불교학’으로 불리는 학파를 형성하기까지 이르렀다. 1929년 6월부터 8월에 걸쳐 한국을 방문하여 사찰의 사적과 고승들의 생애 등을 조사했다. 그리고 많은 문헌들을 수집하여 고마자와대학(駒澤大学)에서 朝鮮禪敎史를 강의했고, 그 결과 1930년(64세)에 ��朝鮮禪敎史��(春秋社)가 출판되었다. 4년 후인 1934년(쇼화 9년)에 도쿄에서 강연하던 도중, 뇌일혈로 쓰러져 그대로 세상을 떠났다. 향년 68세.
펼치기
정호경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13년 9세에 금산군 보석사로 입산, 1914년 충북 보은군 법주사에서 東秀護庵 스님을 은사로 사미계를 수지. 1921년 3월 10일 법주사 老明義塾 제3학년을 졸업하였다. 1922년 경성 보성고보(보성전문학교), 1929년 중앙불교전문학교(전 동국대), 1934년 일본 대정대학(大正大學) 불교학과를 졸업하였다. 전남 순천 선암사 강원 강주, 1948-1950년까지 법주사 주지, 1965-1967년 경남 통도사 강원 강주, 1969년 법주사 강원 강주, 1969년 경기도 양주 흥국사에 불교전문강원 강주를 역임하였다. 당시 학인은 덕민스님(불국사), 무비스님(범어사) 등 23명이었다. 그 후 1969년-1984년까지 약 15년 동안 충남 계룡산 동학사 전문강원 강주를 역임하였고 15년 동안 동학사 강원에서는 239명의 문하생을 배출하였다. 기타 선암사, 통도사, 법주사, 흥국사 강석 수강자들을 합하면 약 1.000여 명의 제자들을 배출하였다. 1980년-1990년 1월(음력 1989년 12월 12일) 입적 무렵까지 동학사 조실로 계시면서 강원 학인들을 지도하였으며 湖鏡講伯의 전강을 받은 제자로는 경해일법, 경천현주, 경월일초, 경화보관, 혜성, 수증스님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