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영화란 무엇인가?

영화란 무엇인가?

한국영화학회 (엮은이)
한국문화사
3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3,000원 -0% 0원
1,650원
31,350원 >
29,7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2,970원
26,7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7개 25,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33,000원 -10% 1650원 28,050원 >

책 이미지

영화란 무엇인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영화란 무엇인가?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영화이론/비평
· ISBN : 9791169190473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22-11-18

책 소개

1972년 창립된 한국영화학회는 지난 반세기 동안 한국의 ‘영화연구’와 ‘한국영화’의 연구를 선도해 왔다. 한국영화학회는 2022년 창립 50주년을 맞이하여 영화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을 다시 묻고, 또 나누고자 한다.

목차

『영화란 무엇인가?』를 펴내며 | “영화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학자들의 때 묻지 않은 응답_005

제1부 “영화란 무엇인가?”라는 물음
영화란 무엇인가에 대한 오답을 찾아서_019
영화는 아직 발명되지 않았다: 한국영화 효시작, 연쇄극 <義理的 仇討>는 영화가 아니다_027
영화의 진화, 개념의 요동_036
영화의 역사를 따라온 한 가지 물음 ‘영화인 것’과 ‘영화 아닌 것’, <옥자>는 영화인가_041
시대정신(Zeitgeist)의 표상_051
영화의 이름들_057
영화는 꿈이다_063
영화는 상상과 사유의 기회이다_069
영화는 안락의자에서 즐기는 멀고 이국적인 나라로의 여행_073
만약 우리의 언어가 영화라면_076
영화가 무엇인지 다시 묻다_081
영화란 무엇이어야 하는가_086
영화는 한 번도 결론지어진 적 없다_093
영화는 인간에 대한 응답이 되어야 한다_101
영화는 기억을 구현하는 매개체다_106
영화는 모든 것을 녹여내는 용광로다_110
축시(丑時)와 인시(寅時) 사이_113
영화란 무엇인가? 영화는 (여전히) 영화다_119

제2부 예술 혹은 장르로서의 영화
리듬의, 리듬에 의한, 리듬을 위한 예술_127
‘영화’라는 모빌리티가 제기한 문제의식_133
영화는 왜 예술의 장르가 되고자 할 때 장르를 버리는가: 영화에서 대중, 예술, 장르의 문제_138
영화는 드라마다_144
다큐멘터리 리얼리즘과 영화_150
사회적 관계에서의 ‘히어로 영화’: 증상으로서의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_156

제3부 영화와 기술: 철학에서 효과까지
영화와 기술_165
기술철학의 비전으로 바라본 영화_171
디지털 시대의 롱 테이크:‘스펙터클’에서 ‘집중효과’까지_176

제4부 내셔널 시네마라는 경계
(내셔널)시네마는 무엇 인가?_185
영화란 무엇인가?: 이 시대 한국영화에 필요한 문제틀을 찾아서_191
한국영화의 메타 장르성에 대하여_197
한국영화의 타자들, 조선족_202
<기생충>을 둘러싼 영화사적 고찰_207
한국영화의 사운드: <달콤한 인생> 다시 보기_214
오즈 야스지로를 통해 생각하는 영화 작가의 존재 방식_221
영화란 무엇인가: 하마구치 류스케의 <드라이브 마이 카>와 <아사코>를 중심으로_227
영화란 무엇인가?: ‘홍콩영화’의 기원 논쟁 고찰을 시작으로_232
모두의 꿈을 담아: 대만영화의 기회와 전기_241
가치관을 공유하는 서사: 신주류 중국영화의 국제 전파의 한 전략_246
중국 ‘주선율’ 영화의 문제_252

제5부 영화와 관객, 영화와 산업
영화는 유행이다_261
어린이가 이야기하는 영화_267
국제공동제작, 영화란 무엇인가_271
영화에서 영화촬영지 방문으로 확장되는 크로노토프_277
출판IP와 영화산업의 확장 가능성_282

제6부 영화의 동시대성과 미래
메타 사피엔스(Meta Sapiens) 시대의 영화의 운명_289
극장이 사라진 시대와 남겨진 우리_295
OTT 시대 극장의 의미와 영화 관람_301
넷플릭스 시대의 뒤얽힌 영화적 경험_307
넷플릭스의 시각성_317
‘플랫폼’: 테제와 안티테제의 인다라망_322

“영화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의 의미_329

저자소개

한국영화학회 (엮은이)    정보 더보기
사단법인 한국영화학회(Korean Cinema Association, KCA)는 1972년 5월 28일 창립된 한국을 대표하는 영화연구 단체이다. 영화연구의 활성화와 회원의 정보 교환을 목적으로 창립되었다. 학술지 『영화연구』를 발간하고 학술대회를 개최하며 영화 교육을 위한 출판 사업 등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영화학 도서와 자료를 수집하고, 국제 교류를 통해서 한국영화를 해외에 소개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제1부 | “영화란 무엇인가”라는 물음

영화란 무엇인가에 대한 오답을 찾아서
문관규

풍경 이미지
<만다라>(임권택, 1981) 첫 장면은 허허벌판이 길게 펼쳐져 있다. 시외버스는 프레임 위에서 아래로 직선으로 뻗어 있는 신작로 길을 따라 천천히 다가온다. 카메라는 버스를 기다리며 관객도 덩달아서 객석에 앉아 버스가 전경에 당도할 때까지 기다린다. 그 기다림의 시간과 사각의 프레임 안에서 관객은 무엇을 볼 수 있으며 영화는 무엇을 보여주고 있는가. 프레임의 사각형 안에는 1980년대라는 역사의 시간이 흘러가고 남북으로 길게 펼쳐진 길이라는 공간이 자리하며 그 길은 버스가 오가는 도로이지만 행인들이 고단한 발걸음을 옮기는 육로이자 스님의 만행 길이기도 하다.
<만다라>의 첫 장면은 한국의 1980년대와 호남의 풍경을 펼쳐서 이미 존재한 그 시간과 풍경을 프레임에 찍어 올려 극장 안의 객석의 시간과 동시에 병행하게 한다. 프레임은 특정 시간을 봉인하기도 하지만 한국적인 풍경을 끌어당기기도 하며 이를 바라보는 관객의 기억을 각인하기도 한다. 영화는 시간과 풍경 그리고 개인의 이미지가 각인되고 서로 만나는 풍경 이미지로 수렴된다. 영화는 한국으로 대표되는 우주에 편재한 풍경 속에 특정 역사적 시대와 인간이 동시에 살아가게 한다.
바쟁은 정신적 실재의 표현인 미학적 열망과 외부 세계를 복제하듯이 드러내는 심리적 바람이라는 회화의 열망을 운동의 문제와 리얼리즘의 문제까지 아우르는 해결책을 모색한 매체로 영화를 주목했다. 하지만 영화는 이미 정신적 실재도 외부 세계의 복제도 뛰어넘어 역사와 인간의 풍경을 흐르게 한다. 서양의 조형예술사의 맥락에 영화의 위상을 찾아서 규정하려는 서양학자의 태도도 고개 끄덕일 대목이 가득하다. 하지만 한국에서 태어나 한국의 영화를 바라본 필자에게 즉물적으로 영화는 시대와 인간 그리고 카메라에 담긴 시청각 이미지가 서로 대화하고 갈등하면서 영화라는 독창적인 세계를 창조한 거대한 하나의 풍경에 근접하고 있음을 체험적으로 목도했다.
풍경은 이미 존재한 역사이기도 하고 이미 우리의 삶에 가까이 있는 실제 자연이기도 하고 인간의 오랜 내면에 새겨진 문화적 유전자이기도 하며 하나의 눈인 카메라가 포획해낸 독자적인 이미지이기도 하지만 모두 하나의 시각적 가족 공동체로 귀속될 때 풍경 이미지로 수렴된다. <만다라>에는 한국의 1980년대와 닮은 풍경이 서식하며 지아장커의 <임소요>는 산시성 소도시의 풍경과 중심으로 편입되지 못하고 배회하는 열아홉 살 청춘의 내면 이미지가 정박한다. 고다르의 <네 멋대로 해라>에는 누벨바그 시대의 파리 풍경과 인물의 내면이 풍경으로 자리하고 상호 소통하고 불화하면서 누벨바그 영화라는 이미지와 서사를 완성하고 관객은 이들의 풍경과 대화와 갈등을 자신의 삶 속으로 이식하여 누벨바그를 환대하고, 누벨바그를 기억하고, 누벨바그를 역사 속에 배치한다.

설명 불가능한 영화적인 것
영화는 영화라는 존재, 영화적인 것을 통해 존재한다. 영화는 프레임에서 출발하지만 궁극적으로 영화적인 것에 도달하기 위한 긴 도정에 가깝다. 영화적인 장면은 인위적으로 만들기도 하지만 감독의 연출 의지와 촬영 현장의 분위기와 연기를 통해 비로소 현현한다.
이창동의 <시>(2010)는 깊고 아픈 영화다. 미자는 외손자가 저지른 과오를 사죄하기 위해 피해자 어머니가 살고 있는 동네를 찾아간다. 치매에 걸린 미자는 피해자 어머니를 만나러 온 고유한 용건을 망각하고 그만 자연이 주는 시적 정취에 빠져들고 만다. 미자는 피해자 어머니를 설득하기 위해 찾아온 자신의 임무를 망각하고 자연의 아름다움에 빠져들어 온 정신이 시적 감흥에 몰입되고 만다. 이 장면은 배드민턴 장면과 쌍벽을 이루는 명장면이며 영화적인 것의 현현을 목격할 수 있게 한다. 미자는 외손자를 경찰에 인도할 준비를 하면서 나무 아래서 외손자와 배드민턴을 친다. 배드민턴 공이 나뭇가지에 걸리고 미자가 나뭇가지에서 공을 떨어뜨리기 위해 한눈을 파는 사이 후경에서 경찰이 외손자를 연행해간다. 외손자가 경찰에 연행되는 사이에도 덤덤하게 다른 경찰과 배드민턴을 치는 먹먹한 장면에서 영화적인 것이 불쑥 스크린으로 솟아오른다.
홍상수의 <북촌방향>(2011)에도 영화적 장면이 불쑥 삽입된다. 이 작품은 성준(유준상 분)이 서울에서 머문 기록을 담은 로드무비다. 성준은 첫날에 인사동 고갈비 집에서 술을 마시고 옛 연인 경진의 집에 하루 머물며, 둘째 날은 북촌의 카페 ‘소설’에서 술을 마시고, 세 번째 날에 ‘다정’ 한정식에서 식사를 마치고 카페 소설에서 술을 마신 다음 새벽에 거리에서 눈을 맞으며 흔들거린다. 카페 소설에서 술을 마신 이들이 각자의 취기에 따라 거리에서 비틀거릴 때 하늘에서 함박눈이 쏟아진다. 카페 소설에서 술과 대화로 밤을 지새운 이들이 문을 열고 나왔을 때 폭설의 설경과 대면하는 풍경이 영화 프레임에 가득 채워진다. 새벽의 눈 내리는 풍경은 취한 시선과 정신으로 바라보는 낯선 이미지의 세계를 드러낸다. 폭설 장면은 영화적인 것의 시각적 도래를 관객에게 즉물적으로 제시한다. 취기로 흔들거리는 등장인물의 움직임은 이미 영화적인 것에 편입되어 배치되고 영화는 수많은 프레임과 컷의 흐름 속에서 돌연한 영화적 존재의 돌출과 마주하게 된다. 이때 문득 관객은 상투적인 시선을 거두고 창조적 사유의 무한한 문을 열게 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91965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