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91169192606
· 쪽수 : 390쪽
· 출판일 : 2024-11-13
책 소개
목차
목차
서론: 변화중인 중국의 가정 구조와 가정 양로
1. 구드의 유산과 중국의 가정 변화 연구
2. 가정현대화 이론 및 비판
3. 중국 가정 변화의 세 가지 특징
4. 정량적 가정 변화 연구의 전개
5. 이 책의 내용과 장절 구성
가정의 구조
제1장 소형화와 핵심화에 대한 재론
1. 역사상 중국 가정의 규모는 어떠했는가?
2. 가정 소형화의 원인은 무엇인가?
3. 서로 다른 지표를 통해서 본 가정의 핵심화
4. 중국 가정 구조의 변화 추세
5. 노인의 주거 방식
6. 결론과 토론
제2장 왜 자녀와 함께 거주하는가?
1. 현대화이론의 예언
2. 중국 다세대가정의 발전
3. 젊은 부부가 관건이다
4. 자녀의 요구가 끼치는 영향
5. 자료, 변수와 분석 방법
6. 분석 결과
7. 결론과 논의
제3장 누구와 살고 얼마나 멀리 떨어져 사는가?
1. 시집살이와 처가살이
2. 근거리 거주와 가족 네트워크
3. 사회 변화와 개인적 필요
4. 자료, 변수와 분석 방법
5. 분석 결과
6. 결론과 논의
제4장 노부부의 독립거주는 문제인가?
1. 모든 사람들이 언급하기를 꺼려하는 문제: 노부부 독립거주
2. 곤혹스런 연구 결과
3. 왜 노부부의 독립거주는 문제가 되지 않는가?
4. 자료, 변수와 분석 방법
5. 분석 결과
6. 결론과 토론
가정 양로
제5장 누가 양로하는가?
1. 아들의 부양인가 아니면 딸의 부양인가?
2. 딸의 부모 부양 역할의 제고
3. 딸의 부모 부양과 관련된 세 가지 문제
4. 자료, 변수와 분석 방법
5. 분석 결과
6. 결론과 토론
제6장 무엇 때문에 보살피는가?
1. 부모 부양과 캥거루 현상
2. 부모 부양에 관한 세 가지 이론적 해석
3. 자녀의 부양을 확보할 수 있는 두 가지 경로
4. 사회변화와 부모 부양 전제조건의 변화
5. 자료, 변수와 분석 방법
6. 분석 결과
7. 결론과 토론
제7장 세대 간 호혜
1. 안락한 생활이 노인들이 희망하는 삶인가?
2. 서구 국가의 연구가 주는 암시
3. 중국 가정의 세대 간 호혜관계
4. 자료, 변수와 분석 방법
5. 분석 결과
6. 결론과 토론
제8장 효도(孝道)의 변천
1. 효란 무엇인가?
2. 사회전환과 효도의 변천
3, 효도관념이 쌍방향적 세대 간 지원에 미치는 영향
4. 효도관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5. 자료, 변수와 분석 방법
6. 분석 결과
7. 결론과 토론
결론: 미래의 가정 구조와 가정 양로
1. 명(名)과 실(實): 현대 중국 가정에서 변한 것과 변하지 않은 것
2. 앎과 행함: 관념과 행위의 변증법적 통일
3. 은혜[恩]와 정감[情]: 세대 간 교환의 이중적 감정 논리
4. 남과 여: 부권적 가정제도의 미래
5. 많음[多]과 적음[寡]: 자녀 감소가 세대 간 관계에 미치는 영향
6. 변론(辩)과 증명(证): 이론과 실증의 결합 및 새로운 창조
참고문헌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