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91169571289
· 쪽수 : 364쪽
· 출판일 : 2024-02-23
책 소개
목차
발간사
추천사
저자의 말
제1장. 여성군자 권씨부인
<01> 역사를 바꾼 여사(女士)의 한마디
<02> 명문가 안동권씨 시중공 문중의 귀공녀
<03> 명문 3가문의 품격 있는 규중문화 융합
<04> 안동권씨와 연안이씨 규중의 롤모델
<05> 소녀와 연성(蓮城)의 추억
<06> 경화세족 안동권씨와 신흥명가 연안이씨의 혼사
<07> 명분과 현실에서 찾은 반친영 혼인
<08> 꿈같은 부부의 삶
<09> 여사로 존중된 여인의 삶
<10> 세 가지 복록을 누린 구순(九旬)의 정경부인
<11> 명가 이정화 가문과 봉군의 영광
제2장. 일곱 색깔 무지개빛 교육
<01> 1백 년 시공을 뛰어넘는 상서로운 태몽
<02> 삯바느질로 생계를 꾸린 여성 가장
<03> 생계 유지와 교육이 가능한 희망의 땅
<04> 선비의 유토피아 금마와 권씨부인의 선택
<05> 익산에서 안정을 찾은 어머니와 자녀
<06> 익산 동헌과 향교가 있는 그곳의 삶
<07> 홀어머니의 삼천지교(三遷之敎)
<08> 권씨부인의 7가지 무지개색 자녀교육
<09> 할머니의 밥상머리 교육과 권씨부인
<10> 할머니의 회초리 훈계와 아버지의 몽둥이 법도
제3장. 여성군자의 꿈을 담은 아들 4형제
<01> 장남 이보, 동생들에게 아버지와 같은 존재
<02> 의병장 이보를 배향한 사당 은천사(隱泉祠)
<03> 임진왜란과 호남의 의병
<04> 의병장 이보(李寶)가 죽음을 알고도 금산으로 달려간 이유
<05> 의병장의 의연한 최후와 곧은 절개
<06> 통덕랑 이갱의 능력과 무심한 하늘
<07> 이갱의 부인 동복오씨의 황해도 이주
<08> 은일군자(隱逸君子) 이자의 자연귀의
<09> 만나지 못한 형제, 엇갈린 운명
<10> 진주 되어 흐르는 어머니 눈물과 전쟁
제4장. 폭풍의 혁명 전야와 조선의 새 아침
<01> 혁명가 이귀의 어머니와 스승 율곡 이이
<02> 성균관 학생회 간부와 과거시험 응시자격 박탈
<03> 바른 말 선비 이귀와 영의정의 보복
<04> 조선의 삼총사, 연평 오성 한음!
<05> 친구 이항복의 영전에서 밝힌 혁명의 의지
<06> 이미 건넌 강, 폐모살제와 선비의 선택
<07> 무르익은 반정 분위기, 혁명의 그날
<08> 혁명 무산 고비마다 빛난 리더십
<09> 이귀의 이상 사회 건설을 향한 77년 인생
<10> 3대의 가족이 실행한 혁명 가업(家業)
제5장. 여성군자의 손자들이 쓴 조선의 역사
<01> 의병장의 아들 이시달과 익산의 명문가 진주소씨
<02> 왕의 꽃 금사낙양홍을 꺾은 재상 이시백
<03> 난국 수습의 화신 이시백의 무한성장 동력
<04> 영광을 사양한 이시담의 행복한 금마 전원생활
<05> 국립 대전현충원과 이시담의 묘
<06> 조세 개혁의 주역 이시방과 대동법
<07> 정사공신 이시방과 광해군의 마지막 이야기
<08> 연평부원군 이귀 집안의 재산 상속 원칙 2가지
<09> 사우당 이시담이 손자에게 재산 증여한 별급문기(別給文記)
<10> 남한산성의 역사가 된 이귀 삼부자
<부록> 의정공 문중 선조 행적
<01> 증 영의정 연성부원군(延城府院君) 이공(李公) 신도비명
<02> 지평공 임진왜란 의병장 이보(李寶) 묘갈문
<03> 연평부원군 이공 묘지(延平府院君 李公 墓誌)
<04> 장성현감 이귀가 의병을 일으킨 장성의 오산 남문 창의(倡義) 비문
<05> 증 영의정 연성부원군(延城府院君) 가계도
책속에서
[염계 주돈이의 애련설(愛蓮說)]
물 위와 땅 위에는 초목의 아름다운 꽃들이 매우 많다.
이중에 진(晉)나라 도연명(陶淵明)은 유독 국화를 좋아하였고,
당나라 이후 사람들은 모란을 매우 사랑하였다.
연꽃은 진흙에서 나왔으나 더럽혀지지 않고,
맑은 물결에 씻겼으나 요염하지 않다.
속은 비어 있는데 겉은 곧다.
덩굴지지 않고 가지 치지도 않는다.
향기는 멀어질수록 더욱 맑고,
품위 있는 모습으로 깨끗하게 서 있다.
멀리서 바라볼 수는 있지만
함부로 대하거나 가지고 놀 수 없다.
나는 이 같은 연꽃을 사랑한다.
- 이 책 본문 中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