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중년의 자기계발
· ISBN : 9791169580366
· 쪽수 : 259쪽
· 출판일 : 2023-03-06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_ 4.0시대 라이프스타일, 당신은 은퇴 후 무엇을 어떻게 준비하는가
1장 멀티 해비테이션 시대가 열렸다
아내에게도 은퇴가 필요하다
코로나19가 바꾼 라이프스타일
새로운 주거 트렌드, 멀티 해비테이션
4050, 도시 탈출과 워라밸을 준비할 때
행복한 욜드의 삶을 준비하자
전원생활을 꿈꾸는 나는 귀농일까, 귀촌일까
농촌에서 직업을 바꾸지 말고, 인생의 방향을 바꿔라
2장 귀농귀촌, 이 마음만큼은 가져가자
도시에 집은 두고, 마음은 가지고 가라
목숨 걸지 않는 힐링이 되는 귀농귀촌
수익 낼 생각부터 하지 마라
오늘 하루만 자연인이 되어라
맥가이버가 되기로 마음먹자
처음부터 욕심 없이 준비하라
창업보다 어려운 게 농업, 농사만 잘한다고 되는 게 아니다
3장 농촌공동체와 같이 사는 방식
은퇴 전의 사회적 지위는 잊어라
울타리부터 치지 마라
공무원 만날 때는 점퍼 입고 가라
선(先) 관계 유지, 후(後) 지역사회 활동
농촌의 프라이버시는 도시와 다르다
이웃을 존중하고 인정하자
갈등과 민원은 사전에 해소하라
4장 성공적인 귀농귀촌을 위해 알아야 할 실전 노하우 12
정보와 첩보를 구별하라
가족과 상의하고 가능하면 아내와 동행하라
행복을 다이어트하라
나의 전원생활을 머릿속에 상상해 보라
땅, 함부로 사지 마라
집부터 짓지 마라
빚내서 시작하지 마라
남의 손을 빌릴 때는 명확한 근거를 남겨라
작물은 토양과 기후, 특수작물 재배는 신중히 결정하라
안전사고 대비는 철저할수록 좋다
황혼이혼, 남의 일 아니다
새로운 환경에 적응할 준비를 하라
5장 나는 치유농장을 꿈꾼다
다시 시작하는 반백년을 어떻게 해야 하나
치유농업이 살길이다
6차산업으로 시너지를 창출하라
산림소득사업 공모, 가능하다
놀이터에서 꽃차로 나 자신과 타인을 치유하며 살고 싶다
언제든지 떠날 준비를 하라
주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사람들은 대부분 귀농과 귀촌을 비슷한 말로 쓰고 있지만 이 둘은 확연히 의미가 다르다. 귀농은 농촌 이외의 지역에서 농촌으로 이주해 농업을 주업으로 살아가는 것이다. 귀촌이란 다양한 이유로 인해 농촌에 주거지를 마련하되 농업 이외의 소득원으로 생활하는 것이다. 귀농과 귀촌은 농촌을 터전으로 생활한다는 공통점은 있지만, 수입원의 차이가 극명하게 구분된다. 통계에 의하면 귀농인이 다른 수입원으로 귀촌인이 되기도 하고, 귀촌인이 텃밭을 가꾸다 범위를 확대해 귀농인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세밀한 구분보다 ‘어떻게 삶의 조화를 통해 행복한 전원생활을 할 것인가’ 하는 문제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귀농과 귀촌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내가 ‘이 일’을 잘할 수 있으며, 그 일을 통해 재미를 느끼고 행복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 마음만 있다면 용어의 차이는 큰 의미가 없다.
이제는 귀농귀촌과 농업만을 연계하는 단순함보다 다양한 사업을 하기 위한 나만의 콘텐츠가 필요하다. 귀농귀촌은 하고 싶은데 농사일은 적성에 맞지 않는다면 하고 싶은 일과 관련된 자격을 갖추는 것이 좋다. 이를 통해 새로운 인생의 방향을 정하고 필요하다면 관련 자격증을 취득한다. 각종 정부 지원 사업을 시행하면서 가장 먼저 요구하는 것은 관련 자격증의 유무다. 농촌 생활에 필요한 자격증은 내가 가고자 하는 길에 맞는 관련 분야의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자격을 갖추는 것이다. 농촌에서 하고 싶은 일이 정해지면 바로 자격증 취득을 위한 준비를 하라.
귀농귀촌해서 생긴 갈등은 한번 속상해하고 웃어넘길 수 있는 일이 아니다. 두 사람만의 갈등으로 끝나지 않는 문제가 있다. 현지인들보다 좀 더 합리적인 귀농귀촌인들은 문제가 발생하면 ‘법대로 하자’고 하거나 행정민원으로 해결하려고 하는데 이것은 최악의 방법이다. 법이나 민원으로 해결하는 것은 숙고해야 한다.
현재 대부분의 농촌에서 갈등은 민원 문제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다. 민원이란 주민이 행정기관에 원하는 바를 요구하는 것이다. 통상 농촌에서는 개인적 애로 사항을 요청하기도 하지만 갈등 관계에 있는 사람의 잘못을 들춰 시청 민원실이나 군과 읍의 행정복지센터에 상대의 잘못을 시정 조치해 줄 것을 요구한다. 민원을 접수한 공무원은 절차에 따라 처분을 이행할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