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일반
· ISBN : 9791169834063
· 쪽수 : 234쪽
· 출판일 : 2023-06-09
목차
Ⅰ 감정이 문제인 이유
Ⅱ 감정, 생명의 동력이면서 죄의 원인
문제의식과 문제 제기
“사람은 변하지 않는다”
의인이면서 죄인
선행연구들
감정
감정의 이름들
감정의 형성
감정의 함의
감정의 신학적 의미
· 조나단 에드워즈의 감정 이해
·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
죄
하나님과 율법과의 관계에서 죄
이웃과의 관계에서 죄
죄의 본질과 근원과 결과
죄의 파괴력
유혹의 본질
죄와 감정
성경 속 사례들
· 아담과 하와: 부담감, 두려움, 더 나은 삶에 대한 기대
· 가인: 분노와 시기
· 노아 시대: 감각적 욕망
· 바벨탑: 불안과 두려움
· 사울 왕: 시기심과 불안과 두려움
· 다윗: 공허감과 외로움 그리고 군사적인 안정감 추구
· 바리새인: 파에톤 콤플렉스
· 아나니아와 삽비라: 미래에 대한 불안
· 십자가: 불안과 두려움과 시기
십계명과 감정
· 첫째 계명
· 둘째 계명
· 셋째 계명
· 넷째 계명
· 다섯째 계명
· 여섯째 계명
· 일곱째 계명
· 여덟째 계명
· 아홉째 계명
· 열째 계명
교회 전통에서 죄과 감정: 일곱 가지 죄와 감정
· 교만
· 분노
· 시기
· 나태
· 탐욕
· 탐식
· 정욕
Ⅲ 죄의 궤도에서 벗어나기 위해
참고문헌
미주
저자소개
책속에서
현대인의 의식 생활에 반하는데도 굳이
죄를 의식 가운데 소환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하나님-혹은 초월자-과 더는 상관하고 싶어 하지 않는 현실에서
죄를 말할 필요가 있는가?
다만 기독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심어 주는 건 아닌가? 죄와 감정의 상관관계를 신학적 문제로 삼기까지 필자가 붙잡고 씨름했던 질문이다. 단순한 질문 같은데도 감정의 문제를 연구하기까지 눈에 들어오지 않았다. 다만 그간 ‘죄론’의 맥락에서 그리고 성경에서 언급하는 죄의 본질과 죄의 현상을 현대인이 수긍할 수 있도록 설명하는 것으로 만족했을 뿐이었다. 여기서 얻은 결론이라면, 죄는 불신앙과 불순종이라는 것이다.
이 책은 특별히 성경에 나타난 죄(불순종)의 현상을 심리적 동기 와 관련해서 분석하고 감정의 신학적 의미를 바탕으로 감정과 죄의 상관관계를 밝혀낼 것이다. 이와 더불어서 성령에 따른 감정의 형성과 그것의 긍정적 의미를 고찰할 것이다.
- 들어가는 말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