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고전문학론
· ISBN : 9791169954624
· 쪽수 : 434쪽
· 출판일 : 2024-10-30
책 소개
목차
저자 서문 5
제1부 중국 시선집詩選集의 유입과 편찬
제1장 임유정林惟正의 《임좨주백가의시집林祭酒百家衣詩集》 13
1.머리말 13 / 2.집구시集句詩에 대하여 15 / 3.임유정의 《임좨주백가의시집》 19 / 4.맺음말 41
제2장 신위申緯의 《전당근체선全唐近體選》 43
1.머리말 43 / 2.신위의 학당學唐과 당시선집 편찬 배경 45 / 3.신위의 《전당근체선》 48 / 4.맺음말 67
제3장 최성환崔瑆煥의 《성령집性靈集》 69
1.머리말 69 / 2.최성환의 생애 72 / 3.최성환의 《성령집》 75 /
4.〈성령집서性靈集序」를 통해 본 ‘유아有我’ 88 / 5.맺음말 94
제4장 이상규李祥奎의 《당률휘수唐律彙髓》 97
1.머리말 97 / 2.이상규의 생애 98 / 3.《당률휘수》의 편찬 체제와 특징 101 / 4.맺음말 112 /
제2부 시구도詩句圖와 시의도詩意圖의 전파와 수용
제1장 시구도詩句圖의 전통과 적구摘句 비평의 정착 117
1.머리말 117 / 2.시구도에 대하여 118 / 3.시구도의 특징과 적구 비평의 정착 130 / 4.맺음말 138
제2장 조선 후기 당시시의도唐詩詩意圖의 제작 배경과 내용 139
: 조선풍 남종 문인화의 실천과 변용양상을 중심으로
1.머리말 139 / 2.조선 후기 당시시의도의 제작 배경 140 / 3.조선 후기 당시시의도의 내용 151 / 4.맺음말 161
제3장 《당시화의唐詩畵意》에 실린 두시杜詩와 그 미학적 속성 163
1.머리말 163 / 2.신위의 《당시화의》 164 / 3.《당시화의唐詩畵意》에 실린 두시 182 / 4.맺음말 199 /
제4장 시의도詩意圖를 활용한 한시漢詩교육론 201
: 고등학교 《한문》 교과서 속의 한시를 대상으로
1.머리말 201 / 2.중․한 한시 연계 교육의 필요성 202 / 3.시의도詩意圖를 활용한 한시 교육 207 / 4.맺음말 213 /
제3부 중국 문단과의 교류와 인식
제1장 조선 후기 《이십사시품二十四詩品》 관련 문헌을 통해 본 문예론 217
1.머리말 217 / 2.사공도 문헌의 조선 전래 219 / 3.조선 후기 《이십사시품》 관련 문헌을 통해 본 문예론 224 / 4.맺음말 234
제2장 신위申緯의 연행燕行과 《주청행권奏請行卷》 237
: 옹방강翁方綱과의 문묵연文墨緣을 중심으로
1.머리말 237 / 2.신위의 연행과 《주청행권》 238 / 3.옹방강과의 만남과 문묵연 244 / 4.맺음말 259
제3장 신위申緯의 서화 수장과 감식안 261
1.머리말 261 / 2.신위의 중국 서화 수장 배경 264 / 3.신위의 회화 감식안과 회화 창작 활동 275 / 4.맺음말 298
제4장 한국 고전 문학에 형상화된 ‘중국’ 301
1.머리말 301 / 2.한국 역대 문인의 해외 체험과 ‘중국’ 302 / 3.그림 속 상상 공간으로서의 ‘중국’ 313 / 4.작품 속 배경으로서의 ‘중국’ 319 / 5.맺음말 323
참고 문헌 325
찾아보기 3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