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탈일본화 재중국화

탈일본화 재중국화

황잉쩌 (지은이), 오병수 (옮긴이)
학고방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000원 -0% 0원
1,250원
23,7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탈일본화 재중국화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탈일본화 재중국화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91169955041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24-07-25

목차

중국어판 서문 / 기타오카 마사코 [北岡正子]
한국어판 출간에 대한 저자의 서문 / 황잉쩌(黄英哲)
머리말

제1장 국민정부의 타이완 문화재건
1. 「대만 접관 계획 강요 台灣接管計畫綱要」
2. 대만성행정장관공서의 문화재건 정책

제2장 언어 질서의 재정립 – 대만성국어추행위원회
1. 웨이ㅤㅈㅖㄴ공의 타이완 부임
2. 대만성국어추행위원회의 설립
결어

제3장 매체 통제 – 대만성행정장관공서 선전위원회
1. 대만성행정장관공서 선전위원회의 설립과 업무 내용
2. 대만성행정장관공서 선전위원회의 철폐와 성과
결어

제4장 교육〮문화 내용의 재편 – 대만성편역관
1. 쉬셔우창의 타이완 부임
2. 대만성편역관의 설립과 업무 내용
3. 대만성편역관의 철폐와 성과
결어

제5장 신문화 체제의 확립 – 대만문화협진회
1. 대만문화협진회의 성립
2. 대만문화협진회의 활동
결어

제6장 루쉰 사상과 전후 타이완의 문화재건
1. ‘새로운 5〮4 운동’과 타이완의 문화재건
2. 타이완인의 루쉰 이해
3. 반 反 루쉰의 움직임
결어

제7장 루쉰 사상 전파의 또 다른 일면 – 황룽찬
1. 황룽찬의 타이완 부임
2. 황룽찬의 루쉰 목각 사상 전파
결어

제8장 문화재건에 대한 타이완인의 반응
1. 일본화와 ‘노예화’
2. 전후 타이완 문화의 출로 모색
결어

후기
재판 후기
3판 후기
역자 후기
참고문헌
인명 색인

저자소개

황잉쩌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6년 타이완의 타이베이시에서 태어났다. 1985년 일본에 유학하여, 릿츠메이칸대학(立命館大學)에서 문학박사, 칸사이대학(関西大學)에서 문화교섭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1997년부터 아이치대학(愛知大學) 를 현대중국학부에서 교편을 잡았다. 같은 대학의 중국연구소 소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아이치대학 현대중국학부, 대학원중국연구과 교수겸 학과장으로 근무하고 있다. 주로 타이완현대사, 타이완문학, 중국 현대문학을 연구해 왔다. 주요 논저로는 『台灣の「大東亞戰爭」-文学‧傳媒‧文化』(共著,東京:東京大學出版會,2002), 『記憶する台湾-帝国との相剋』(共著,東京:東京大學出版會,2005),『「去日本化」「再中國化」 : 戰後台灣文化重建(1945—1947)』(台北 : 麥田, 2007), 『越境するテクスト-東アジア文化・文学の新しい試み』(共著,東京:研文出版,2008), 『漂泊與越境ー兩岸文化人的移動』(台北:台灣大学出版中心,2016), 『民主化に挑んだ台湾-台湾性・日本性・中国性の競合と共生』(共著,名古屋:風媒社,2021)等이 있다.
펼치기
오병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푸단대학에서 중국근현대사를 공부했고, 동국대학교 인간과미래연구소에서 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사상사 학술사 냉전사에 관심이 많다. 『제국의 학술기획과 만주』(2021) 등을 공저하였으며, 『탈일본화 재중국화: 전후 타이완에서의 문화재건(1945~47)』(2024)을 번역하였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